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상고사 2

조선상고사 2

신채호 (지은이), 서동익 (옮긴이)
도서출판 오린(OLIN)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상고사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상고사 2 
· 분류 : 전자책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94658858
· 출판일 : 2021-11-15

목차

조선상고사(제2권) / 차례

■ 서문序文
-신(申) 단재(丹齋)의 조선상고사 권두(卷頭)에 적음
■ 편역자의 말
-《조선상고사》편역본에 대하여

제6편: 고구려 · 백제 두 나라의 충돌
제1장 고구려 · 백제 양국 관계의 유래
1. 남낙랑 · 동부여의 존망과 고구려 · 백제 양국의 관계

제2장 근구수왕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쇠퇴
(附: 백제의 해외 정벌)
1. 백제의 대방(帶方) 병합(倂合)과 반걸양(半乞壤) 전쟁
2.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전사와 백제의 재령(載寧) 천도
3.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 후의 해외경략(海外經略)

제3장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의 북진정책과 선비(鮮卑) 정복
1. 광개토태왕의 북토(北討) 남정(南征)의 시작
2.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의 과려족(顆麗族) 원정
3. 광개토태왕 왜구(倭寇) 격퇴(부: 백제의 천도)
4. 광개토태왕의 환도(丸都) 천도와 선비(鮮卑) 정복

제4장 장수태왕(長壽太王)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천도
1. 장수태왕(長壽太王)의 역대(歷代) 정책(政策)의 변경
2. 위기승(圍碁僧)의 음모와 백제의 피폐(疲弊)
3. 고구려군의 침입과 근개루왕(近蓋婁王)의 순국(殉國)

제7편: 남방 여러 나라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
제1장 4국 연합군의 합전(合戰)과 고구려의 퇴각
1. 신라(新羅) · 백제(百濟) 양국의 관계와 비밀동맹의 성립
2. 신라·백제 ·임나(任那)·아라(阿羅) 4국의 대 고구려동맹
3. 4국 동맹의 40년간 계속

제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1. 동성대왕(東城大王) 이후 다시 강성해진 백제
2. 장수태왕의 음모와 위병(魏兵)의 침입
3. 위병(魏兵)의 두 차례 침입과 두 번의 패배
4. 동성대왕의 해외 경략과 중도의 붕(崩: 죽음)

제8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
제1장 신라의 발흥(勃興)
1. 진흥대왕(眞興大王)의 화랑(花郞) 설치
2. 여섯 가라(加羅)의 멸망

제2장 조령과 죽령 이북의 10개 군 쟁탈 문제
1. 무령왕의 북진과 고구려의 궁축(窮蹙)
2. 안장왕의 연애전쟁과 백제의 패퇴(敗退)
3. 이사부(異斯夫)·거칠부(居柒夫) 등의 집권과
신라 · 백제 양국의 동맹
4. 신라의 10개 군 탈취와 신라 · 백제 공수동맹의 파열
5. 백제 성왕(聖王)의 전사와 신라의 국토 확장
6.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침략과 바보 온달의 전사

제3장 동서전쟁(同壻戰爭)
1. 백제 왕손 서동(薯童)과 신라 공주 선화(善花)의 결혼
2. 결혼 후 10년 동안의 양국 동맹
3. 동서전쟁: 김용춘의 총애 다툼과 무왕(武王)의 항전
4. 동서전쟁의 희생자

제9편: 고구려와 수의 전쟁
제1장 임유관(臨愉關) 전쟁
1. 고구려· 수(隋) 전쟁의 원인
2. 수(隋) 문제(文帝)의 모욕적인 언사의 국서(國書)와
강이식(姜以式)의 북벌 주장
3. 임유관(臨愉關) 전쟁

제2장 살수(薩水) 전쟁
1. 고구려 · 수(隋) 제2차 전쟁의 원인과 동기
2. 수(隋) 양제(煬帝)의 침입과 그 전략
3. 고구려의 방어와 그 작전계획
4. 고구려군의 패강(浿江) 승전
5. 고구려군의 살수(薩水) 전승
6. 고구려군의 오열홀(烏列忽) 대첩

제3장 오열홀(烏列忽) · 회원진(懷遠鎭)에서의 전쟁과 수의 멸망
1. 수(隋) 양제(煬帝)의 재침과 오열홀(烏列忽) 성주의 방어
2. 수(隋) 양제(煬帝)의 세 번째 침략과 노수(弩手)의 저격

제10편: 고구려 대(對) 당唐 전쟁
제1장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1. 연개소문의 출생과 소년시절의 서유(西遊)
2. 연개소문 귀국 후의 내외 정세
3. 연개소문의 혁명과 대도살(大屠殺)
4. 연개소문의 대당(對唐) 정책

제2장 요수(遼水) 전쟁

제3장 안시성(安市城) 전투
1. 안시성 전투 전 피차간의 교섭과 충돌
2. 당 태종의 전략과 침입 노선
3. 연개소문의 방어 및 진공(進攻) 전략
4. 상곡(上谷)의 횃불과 당 태종의 패주(敗走)
5. 화살 독으로 인한 당 태종의 사망과 연개소문이 당 정벌
6. 연개소문의 사적(事跡)에 관한 거짓 기록들
7. 연개소문의 사망 연도에 관한 착오 l0년
8. 연개소문의 공적(功績)에 대한 간략한 평가

제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제1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위대한 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1. 부여성충(扶餘成忠)이 계책(計策)을 건의하다
2. 대야성(大耶城)의 함락과 김품석(金品釋)의 참사
3. 고구려 · 백제 동맹의 성립
4. 안시성 전투 때의 성충(成忠)의 건의

제2장 김춘추(金春秋)의 외교와 김유신(金庾信)의 음모
1. 김춘추의 복수(復讐) 운동
2. 김유신의 등용(登用)
3. 김유신 전공(戰功)의 과장과 허위
4. 김유신 특유의 음모

제3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자살
1. 금화(錦花)와 임자(任子)의 참소와 이간질
2. 성충(成忠)의 자살과 그를 따르던 무리들의 축출

제4장 신라 · 당 두 나라 군사의 침입과 백제 의자왕의 붙잡힘
1. 신라와 당의 연합 침입
2. 계백(皆伯)과 의직(義直)의 전사
3. 의자왕(義慈王)의 피집(被執:사로잡힘)과 백제의 두 서울 함락

제5장 백제 의병(義兵)의 봉기(부여복신의 약사)
1. 의자왕(義慈王)이 포로가 된 후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
2. 패망한 중 · 남 두 지방 의병과 굳게 지킨 서부(西部) 의병
3. 부여복신(扶餘福信)의 연전연승

제6장 고구려의 당군(唐軍) 격퇴와 백제 의병의 전성(全盛)
1. 연개소문 사후(死後) 고구려의 내정(內政)
2. 평양의 당군(唐軍)과 웅진(態津) 신라군의 대패

제7장 부여복신(扶餘福信)의 죽음과 고구려의 내란
1. 적과 내통하다 붙잡혀서 참수당한 자진(自進)
2. 부여복신(扶餘福信)의 피살(被殺)
3. 부여복신 사후 풍왕(?王)의 망함


[책속의 책]
《조선상고사》 국 · 한문 혼용 초판 원본

[부록 1]
단재 신채호 연보

[부록 2]
《조선상고사》(제1권) 차례

저자소개

신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가이자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다.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1880년 충청남도에서 출생했다. 호는 단재丹齋, 가명은 유맹원劉孟源이다. 어려서부터 조부에게 한학을 배웠으며 18세 때 성균관에 입학하여 26세가 되던 1905년 성균관박사가 되었다. 그해 《황성신문》의 기자가 되었고, 이듬해 《대한매일신보》의 주필이 되었다. 1907년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에 참여했고 시론, 논설 등을 쓰며 애국계몽운동과 항일언론운동을 펼쳤다. 또한 〈독사신론〉을 포함한 역사관계 논문과 다수의 영웅전을 써서 민족의식과 독립정신 고취에도 힘썼다. 1910년 신민회 동지들과 중국 칭다오로 망명한 후 민족교육과 항일운동에 전념하는 한편 답사와 저술 등을 통해 상고사 연구에 힘썼다. 1919년 상해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1927년 신간회 발기인으로 활약했다. 1928년 4월 무정부주의동방연맹대회에 참석한 그는 5월, 타이완에서 체포되어 다롄으로 이송되었다. 1930년 10년형을 선고받고 뤼순감옥으로 이감되었으며, 1936년 옥중에서 뇌일혈로 순국했다.
펼치기
서동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 북한 전문가. 저자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하여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 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문단 등단 후 남북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공간적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나름대로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부소장 겸 연구이사) 등에서 근무하며 30년 넘게 북한을 연구하며 소설을 써온 북한전문가 겸 현역작가. 주요 북한연구 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 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 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 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번역) 작품집으로는 저자 불명 한문소설 《강도몽유록(OLIN, 2013)》, 윤계선 한문소설 《달천몽유록(OLIN, 2013)》, 임제 한문소설 《원생몽유록(OLIN, 2013)》, 신광한 한문소설 《안빙몽유록(OLIN, 2013)》, 저자 불명 한문소설 《수성궁 몽유록(OLIN, 2013)》, 《피생명몽록(OLIN,2014)》, 김시습 한문소설 금오신화 전집 내 《용궁부연록(OLIN, 2015)》, 《남염부주지(OLIN, 2015)》, 《취유부벽정기(OLIN, 2015)》, 《이생규장전(OLIN, 2015)》 외 《인현왕후전(OLIN, 2015)》, 《계축일기(OLIN, 2015)》, 《최치원전(OLIN, 2015)》, 신채호 원저 《조선상고사 1, 2권(OLIN, 2018년)>, 《조선사연구초(OLIN, 2019년)》, 《조선사론(OLIN, 2019년)》, 《독사신론(OLIN, 2019년)》 등이 있다. 또 한국 근현대 소설문학의 징검다리 역할을 한 신소설 현대어 편역 작품집으로는 이인직 신소설 《혈의 누(OLIN, 2020)》, 《귀의 성 1, 2권(OLIN, 2020)》, 《은세계 1, 2권(OLIN, 2020)》, 《치악산 상, 하권(OLIN, 2020)》, 장지연 신소설 《애국부인전(OLIN, 2021)》, 이해조 신소설 《구마검(OLIN, 2021)》, 《모란병(OLIN, 2021)》, 《빈상설(OLIN, 2021)》, 《원앙도(OLIN, 2021)》, 《자유종(OLIN, 2021)》, 《화의 혈(OLIN, 2021)》, 구연학 신소설 《설중매(OLIN, 2022)》, 안국선 신소설 《금수회의록(OLIN, 2022)》, 《공진회(OLIN, 2022)》, 최찬식 신소설 《추월색(OLIN, 2022)》, 《안의 성(OLIN, 2022)》, 《금강문(OLIN, 2022)》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1976)》,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