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483393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3-07-25
목차
1부 숨은 역사를 찾아
자신의 고문사(拷問死)를 작품으로 예시한 고바야시 다끼지
「韓國으로부터의 通信」과 T · K生 지명관(池明觀) 교수
(1) 일본에서 역전(逆傳)되어 온 고국의 소식들
(2) 《世界》지 편집장의 권유와 배려로 집필 시작하다
(3)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진 집필과 편집
(4) 반세기 만에 다시 보는 「韓國으로부터의 通信」 하이라이트 20컷
(5) 현대사 연구의 정황 자료로!
김대중(金大中) 대표의 구명 탄원서 2통
군인 시인 김종면 장군의 진중음(陣中吟) 25수-시집 『넋마저 바치오리』
6 · 25 참전 시인 조지훈의 진중음(陣中吟) 17수-시집 『歷史 앞에서』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와 모윤숙의 광주(廣州) 산골 피난 · 생환기
2부 옛것에서 찾는 새 멋
옛것에서 찾는 새 멋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 씨의 한국 역사 고적지 탐방-소설 『風濤』와 관련하여
이은상의 가곡시(歌曲詩)와 동요시(童謠詩)들
가덕도를 ‘이은상 시문학공원’으로-이은상의 처녀작 「고향생각」(『鷺山時調集』)과 가덕도
이가원(李家源)의 서한집 『靑李來禽藁』
혁명의 봉화불, 박소장(朴少將)의 친서들-李學洙 회고록 『이 땅은 우리 땅이다』 속의 박정희 대통령 이야기
유진오(兪鎭午)의 친일 행위; 투항-부일·협력이냐 저항-배일이냐-회고록 『養虎記』가 보여 주는 유진오식(式) 친일(?) 행위
보성전문 안호상 교수의 항일 운동-『안호상 회고록』이 보여 주는 몇 토막의 일화들
3부 지성 채집의 즐거움
《뿌리깊은나무》와의 만남-추모 문집 『특집! 한창기』와 서신을 통해 추억하는 한창기 사장
붓편지와 폰(Phone)문자-안춘근(安春根) 님과 이경훈(李璟薰) 님의 육필 편지
신영길이 이희호 씨 측에 써준 「DJ 구명 탄원서」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소설 「族譜」와 작가 한운사, 그리고 임권택 감독
양성우(梁性佑) 시인이 들려 보낸 쪽지
《思想界》와 장준하-한국 지성(知性)의 채집 · 창 출 · 주재자 장준하의 이력
20세기의 『東方見聞錄』-G. L. 훼브르의 『亞世亞大陸橫斷記』
한일 양국 소년 소녀들의 심금을 함께 울려준 11세 한국인 소녀의 일기 『니안짱(둘째오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