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8899494096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1/정희선(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과학기술인의 경험과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머리말2/김대업(대한 약사회 회장)
감염병에 대한 기본 지식, 예방과 치료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I. 감염병이란?
1.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란?
2. 감염숙주와 매개체란?
3. 코로나19의 시작은?
4. 팬데믹, 에피데믹, 엔데믹이란?
ㅇ 박쥐는 억울하다?
5. 현대사회에서 감염병 확산양상은?
ㅇ 감염병으로 노벨상을 탄 사람들
ㅇ 집단면역이란 무엇인가?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보기
II. 감염병의 예방
1. 일반적인 개인위생수칙은?
ㅇ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감염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ㅇ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예절은 왜 중요할까요?
2.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
ㅇ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관한 역사적 사례
3.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4. 해외감염병 예방수칙
5. 지역사회의 감염병 확산 방지 전략은?
ㅇ 슈퍼전파 상황이란 무엇인가요?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보기
III. 바이러스성 감염병
1. 바이러스란?
2. 바이러스의 증식은 어떻게?
3.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감염병?
4. 천연두와 수두, 대상포진의 차이는?
5. 독감은 감기와 어떻게 다른가?
ㅇ 독감 예방 주사는 몇 월에 맞는 것이 좋을까?
6. 사스, 메르스, 코로나19은 어떻게 다른가?
7. 에볼라와 유행성 출혈열은 어떻게 다른가?
ㅇ 유행성 출혈열 바이러스 발견에 성공한 과학자는?
8. HIV는 어떻게 에이즈를 일으킬까?
ㅇ 역전사효소를 발견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데이비드 볼티모어
9.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은?
ㅇ 남자도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는 것이 좋을까?
10. 모기가 매개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은?
ㅇ 착한 모기가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잡는다?
11.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성 감염병은?
12. 노로와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의 차이는?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보기
IV. 세균성 감염병
1. 세균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면?
ㅇ 그람염색이란?
2. 세균은 어떤 감염병을 일으킬까?
ㅇ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발견과 노벨상 이야기
3. 폐결핵과 폐렴은 어떻게 다를까?
ㅇ 폐렴은 국내 사망원인 3위?
4. 장티푸스와 콜레라란?
ㅇ 외독소란?
5. 세균성 이질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이란?
6. 보툴리눔독소증과 파상풍이란?
ㅇ 보툴리눔독소의 다른 용도: 보톡스
7. 디프테리아와 백일해란?
8. 페스트와 발진티푸스란?
9. 쯔쯔가무시증과 라임병이란?
10. 탄저와 브루셀라증이란?
ㅇ 탄저균과 생물테러
11. 임질·매독·클라미디아감염증이란?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 보기
V. 면역과 백신
1. 면역이란?
ㅇ 베링이 발견한 수동적 후천면역과 노벨상 이야기
2. 병원체 감염 후 면역반응은 어떻게 일어날까?
3. 면역력의 강도는 감염병과 어떤 관계일까?
ㅇ 코로나19과 면역반응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4. 백신과 예방접종이란?
ㅇ 천연두 백신과 천연두 박멸 이야기
ㅇ 코로나19 백신은 언제 개발될까?
5. 면역력을 높이는 생활 관리법은?
ㅇ 스트레스는 면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 보기
VI. 감염병의 진단법과 진단기술
1. 감염병의 임상적 진단법은?
ㅇ 코로나19 감염의 임상적 진단
2. 세포배양 진단법이란?
3. 분자진단법이란?
4. 면역혈청진단법은?
5. 분자진단법과 면역혈청검사법의 장단점?
6. 진단기술의 최신 개발 동향은?
ㅇ 코로나19는 어떻게 진단할까?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보기
부록 바이러스성 감염병에 따른 진단법
세균성 감염병에 따른 진단법
VII. 감염병 치료법치료제 개발
1. 감염병의 치료법에는?
2. 항바이러스제 개발 전략은?
ㅇ 거트루드 엘리언과 항바이러스제인 아시클로버
ㅇ 신종플루 치료제, 타미플루 개발 이야기
3. 항바이러스제 내성이 생기는 기전은?
4. 항바이러스제 내성은 어떻게 극복하는가?
5. 항바이러스제의 새로운 개발 전략은?
ㅇ 코로나19 치료제는 언제 개발될 수 있을까?
6. 세균성 감염병 치료제인 항생제 개발전략
ㅇ 항생제의 살균 효과와 정균 효과
ㅇ 푸른곰팡이에서 시작된 페니실린 개발 이야기
7.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기전은?
ㅇ 다제내성 결핵은 무엇인가?
8. 항생제 내성 균주는 어떻게 극복하는가?
ㅇ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오남용의 산물!
ㅇ 마무리하며 생각해보기
부록 주요 바이러스성 감염병에 대한 치료법
주요 세균성 감염병에 대한 치료법
참고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