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88995032732
· 쪽수 : 537쪽
· 출판일 : 2008-04-21
목차
제1부 Tax saving 전략
제1장 Tax Saving(절세) consulting 요령
1. Tax Saving(절세) consulting 제안
2. Tax Saving Consulting 기본구조
3. Tax Saving Consulting 유형별 분류
4. 가진 자에게 부담을 주는 조세정책으로 전환
5. Tax Saving Consulting 전문가를 왜 만나야 하나 ?
6. 한번 증여로 세가지 세금 절세된다.(1석3조)
7. 중산층도 상속세를 걱정해야 하나 ?
8. 재산의 종류에 따라 컨설팅 방법이 달라진다.
9. 상속·증여세의 Tax Saving 전략은 왜 10년 전부터 세워야 하나?
10. 증여순위와 증여시점의 선택에 따라 절세폭이 달라진다.
11. Tax Saving 전략에 대한 최선의 계획을 세워야 한다.
12. 오늘의 증여세는 비용이 아니고 투자이다.
13. 오늘의 증여세와 미래의 상속세 절세 대비표
14. 창업자금 증여와 가업상속공제를 활용한 구체적인 중장기 절세 전략을 세워라.
15. Tax Saving Consulting시 체크 리스트
제2장 Tax Saving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
1. 현재의 부동산과 금융자산 운용현황 검토
2. 세금리스크관리
3. 자산종류와 자산운용의 기본적인 유형
4. 나의 한 평생 소득에 대한 환산금액은 ?
5. 성공한 자산관리는 세금의 절세부터 시작이다.
6. 10년 이상 장기적 증여시 상속세의 절세 효과
7.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환산방법은 ?
8. 자녀에게 증여한 후 부모가 사용하면 다시 증여세 있나 ?
9. 전세와 월세 중 상속세 어느 쪽이 유리한가 ?
10. 합법적인 증여세를 장기적으로 내면 상속세는 줄어든다.
11. 증여받아 증식된 재산을 처분해 운용시 자금출처 조사 걱정 없다.
12. 이자·배당·부동산 임대소득의 부부합산 과세 위헌결정에 따른 Tax Saving 전략
13. 이자·배당소득 원천징수 하면 국세청에 100% 보고된다.
14. 금융자산의 운용시 국세청에 신고된 공식 소득원 범위내로 운용해야 한다.
15. 자산 운용회사의 자산운용 플랜의 미비점 ?
제3장 상속세 많이 내는 10계명
1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부동산을 팔고 사망하라
2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상속받은 재산을 사망후 6개월내에 양도하라
3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증여하지 마라
4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사망 2년 전에 부동산을 담보하고 대출 받아라
5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사망 2년 내에 은행 예금을 인출하라
6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보험 계약시 계약자는 부모, 수익자를 아들로 계약하라
7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신고를 누락하라
8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부동산보다 금융자산을 많이 남겨라
9계명-상속세 많이 내려면 부인에게 증여하지 마라
10계명-부친 사망시 모친이 상속 받을 재산은 금융자산을 우선 배분하지 마라
제4장 랩어카운트(Wrap Account)와 P.B(Private Banking)란 ?
1. 랩어카운트란 ?
2. PB(Private Banking)란 ?
제2부 재산의 상속과 세금
제1장 상속세 신고서 작성 사례
1. 상속세 신고서 작성 순서
2. 비상장 법인간에 상호출자가 많은 경우의 신고 사례
3. 상속재산 외 사전 증여가 복잡한 경우의 신고 사례
4. 상장 법인의 대주주로서 금융자산만 많은 경우의 신고 사례
5. 부동산 임대업자의 신고 사례
제2장 상속절차와 상속세의 일반상식
1. 사망신고와 상속세 신고시 준비할 서류와 확인사항은 ?
2. 상속세의 일반상식
3. 상속재산의 구분은 어떻게 하나 ?
4. 간주·의제(擬制) 상속재산
제3장 민법상 상속에 관한 일반상식
1. 민법(상속편) 용어 요약해설
2. 민법상 상속에 관한 일반지식
3. 상속재산의 법정상속분배비율은 ? (공동상속 등기시)
4. 유언의 방법과 효력
5. 법정지분을 초과하여 받아도 증여세 있나 ?
6. 협의분할로 상속받지 않거나 상속포기해도 상속세 연대 책임있나 ?
7.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의 상속세 과세방법
8. 유언때문에 유산을 한푼도 못 받을 때
9. 부모님 회사에 별보고 출퇴근 한 권리 인정해줘 !
10. 장롱에서 꺼낸 친필유서의 효력은 ?
11. 상속재산 분배는 상속자 마음대로 ! (협의분할)
12. 유산보다 빚이 많은 경우 상속포기 신고를 하라.
13. 빚 잔치 잘하면 떡 고물이라도 ! (한정승인)
14. 상속등기한후 가족간에 상속재산을 재 분할등기하면 증여세가 추징된다.
15. 상속재산 팔고 다른 재산으로 바꿀 때 증여세 조심하라.
제4장 세무서에서 사망일과 상속재산을 어떻게 알아내나 ?
1. 사망사실을 어떻게 알아내나 ?
2. 국세청에서 유산크기와 종류를 어떻게 포착하나 ?
3. 국세청의 고액상속자 사후관리 어떻게 하나 ?
제5장 상속재산의 조사 어떻게 하나 ?
1. 민법상의 상속재산 범위
2. 세법상의 간주재산과 추정되는 상속재산이란 ?
3. 상속세 어떤 방법으로 계산하나 ?
4. 상속세관련 조사 어떻게 하나 ?
5. 비상장주식의 조사 어떻게 하나 ?
6. 처분재산 자금의 사용처 어떻게 조사하나 ?
7. 금융조사 어떻게 하나 ?
8. 채무조사 어떻게 하나 ?
9. 기타의 재산 어떻게 조사하나 ?
10. 배우자 상속공제 어떻게 조사하나 ?
제6장 상속재산에 대한 적출사례와 판례
1. 상속재산으로 보는 사례와 적출사례
2. 채무로 인정되는 사례와 적출사례
3. 처분재산의 과세가액 산입한 적출사례
4. 상속재산 공제에 대한 적출사례
5. 부동산의 평가에 대한 적출사례
제7장 상속재산으로 추정되는 재산은 ?
1. 사망일 현재 없는 재산도 있는 재산으로 보아 합산과세하는 재산은 ?
2. 사망 2년 전에 부동산 팔면 돈의 사용처를 밝혀야 하고 소명 못하면 합산과세한다.
3. 사망 2년 전에 예금 인출하면 사용처를 소명해야 한다.
4. 사망 2년 전에 빌린 돈은 사용처를 소명해야 한다.
5. 보험금과 퇴직금도 상속세를 부담한다.
제8장 상속(증여)재산의 평가방법은 ?
1. 자산평가의 기준
2. 시가평가
3. 보충적 평가방법
4. 토지·건물의 기준시가 적용방법
5. 토지·건물의 시가 또는 보충적 평가방법의 적용
6. 토지의 평가방법
7. 건물의 평가방법
8. 상장주식 등의 평가
9. 비상장주식의 평가
제9장 비상장주식의 보충적평가 실무
1. 상속세 및 증여세법 관련 규정
2. 보충적평가 방법 실무
3. 순자산가치의 평가 방법
4. 순손익가치의 평가방법
제10장 상속세를 물리지 못하는 재산은 ?
1. 비과세 재산
2. 상속재산에서 제외되는 재산
3. 공익사업에 출연한 재산은 빼준다.
4. 구소련 상공 KAL기 폭파 사고 당시의 사례
제11장 공과금·장례비·채무의 공제방법은 ?
1. 공과금(公課金)공제
2. 장례비 공제
3. 채무의 공제
제12장 인적공제(人的控除)의 범위는 ?
1. 항목별 인적공제와 일괄공제중 택일할 수 있다.
2. 15년 이상 경영한 회사만 가업상속 30억원까지 공제한다.
3. 배우자공제
제13장 금융재산공제·재해손실공제 방법은 ?
1. 금융재산 상속공제
2. 재해손실 공제
3. 상속공제(인적·물적)의 종합한도(상증법 제24조)
제14장 상속세의 계산과 세액공제 방법은 ?
1. 상속세의 세율 속산표
2. 상속세의 할증세액
3. 각종 세액공제(상증법 제28조~제30조)
제15장 신고·납부 불성실 가산세의 계산
1. 신고 불성실 가산세(상증법 제78조①)
2. 납부 불성실 가산세(상증법 제78조②)
제16장 상속세의 분납·연부연납·물납 방법
1. 상속세 낼 돈이 없는 경우 납부 방법 검토
2. 물 납(상증법 제73조)
제17장 상속세의 Tax saving point
1. 중병으로 시한부 생명의 소유재산은 팔지 마라 !
2. 부동산을 팔면 돈의 사용처를 알려고 혁띠잡고 따라 다녀야 하나 ?
3. 상속세를 적게 내려고 담보대출 받지 마라 !
4. 빌린돈의 사용처는 죽은 사람 무덤에 물어보슈 !
5. 암 환자의 은행예금은 인출하지 마라 !
6. 금융자산과 부동산 상속중 어느것이 유리한가 ?
7. 증여하고 나면 10년간 죽을 자격 없나 ?
8. 상속세 덜 내려면 부부중 누가 먼저 죽어야 하나 ?
9. 오래 전에 상속 받은 재산 상속등기를 못한 경우
10. 부친 사망시 모친이 상속 받을 재산은 금융자산을 우선 배분하라
11. 주택을 부부 공동명의로 하면 얼마나 절세되나 ?
제 3 부 재산의 증여와 세금
제 1 장 증여와 증여세의 일반상식
1. 증여와 증여세란 ?
2. 증여세의 과세범위와 대상은 ?
3. 민법상 증여에 관한 일반지식
4. 개인과 법인의 증여세 과세방법이 다른점은 ?
5.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과세방법의 차이는 ?
6. 특수한 증여의 증여세는 ?
제2장 증여한 날의 기준일과 증여재산의 평가원칙은 ?
1. 증여한 날의 기준일(증여시기)은 ?
2. 보험료 및 보험금의 증여시점(증여시기)은 ?
3. 증여재산의 평가액은 매매사례가로 평가한다.
제3장 자금출처조사란 ?
1. 자금출처조사를 받게 되면
2. 자금출처 조사시 제출할 증빙서류
3. 채무를 자력으로 상환하지 못한 경우
4. 국세청의 자금출처조사 배제규정
5. 자금출처조사 개선내용 요약
제4장 어떤 경우에 자금출처 조사를 받게 되나 ?
1. 부동산을 구입할 때
2. 주식이나 채권등을 구입할 때
3. 보험금을 증여받은 경우와 세무보고 의무
4. 신규사업을 개시 할 경우
5. 금융소득(이자소득, 배당소득)에 대한 원금의 출처조사
6. 어떤 경우에 금융재산을 일괄 조회할수 있나 ?
7. 국세청 특별관리 부자 3만명의 DB통합관리
8. 호화사치 생활자의 괴씸죄!
9. 부담부 증여에 대한 조사업무지침
10. 고용안정채권에 대한 상속·증여세 면제에 대한 업무지침(묻지마 채권)
11. 해외이주비 ?자금출처확인서? 발급요령에 대한 업무지침
제 5 장 세법이 증여라고 보는 경우는 ?
1. 금융거래를 이용한 변칙상속·증여를 막기 위한 과세방법의 포괄주의와 유형별 포괄주의 도입
2. 가족간에 부동산 등을 명의 이전한 경우
3. 양도한 부동산을 3년 내에 가족이 다시 구입한 경우
4. 저가양도와 고가매입의 차액을 증여로 본다.
5. 부자간에 부동산 매매시 증여세를 조심하라.
6. 부동산 무상사용시와 금전의 무상대부의 증여
7. 채무면제(債務免除)의 이익
8. 신탁의 이익을 받을 권리에 대한 증여
9. 주식실명제와 명의신탁에 대한 증여
10. 증여세 유형별 포괄주의 적용대상 확대
11. 보험금의 유형별 포괄주의
12. 상장시세차익에 대한 증여세 어떻게 과세하나 ?
13. 명의신탁 증여의제가 무엇이며, 주식명의개서 미이행자에게도 증여세 과세한다
14. 경영권 포함주식에 대한 할증평가율을 중소기업에 대하여만 인하하는 이유는 ?
15. 자녀에게 창업자금으로 증여하라 (조특령 제30조의5)
16. 공익법인의 회계 공시제도 신설 (08.1.1 신설 시행)
제6장 증여재산 공제는 어떻게 하나 ?
1. 가족이나 친족에게 증여시 공제금액
2. 구법당시에 증여한 재산에 대한 특례 (세법에 없는 사례 연구)
3. 증여재산 공제의 특징 (세법에 없는 사례 연구)
제7장 증여세의 세율과 신고·납부 방법은 ?
1. 신고·납부기간과 관할세무서
2. 증여세의 세율 속산표
3. 증여세는 받은 자가 못내면 주는 자도 책임있다.
4. 증여세의 과세최저한은 50만원
5. 누적증여시 증여세 합산과세
제8장 보험관련 상속·증여세 사례별 해설
1. 소득원이 없는 미성년자를 계약자로 할 경우
2. 경비로 인정되는 보험료와 인정받지 못하는 보험료는 ?
3. 보험금 지급시와 해약환급금 및 중도인출금에 대한 지급조서로 세무 보고 해야 한다.
4. 보험계약기간 내에 중도 해지한 경우
5. 보험 계약기간 중 계약자를 변경할 경우
6. 장기적으로 누적증여시 미성년자가 성년이 된 경우의 증여세 계산사례
7. 종신보험을 활용한 Tax saving 절약
8. 고소득자의 종신보험을 활용한 상속세 Tax saving전략
9. 연금보험의 상속세 계산시 평가방법은 ?
10. 보험계약자가 법인일 경우 법인과 종업원간의 절세전략
11. 퇴직보험과 절세전략
12. 법인이 부담한 보험료에 대한 세무처리
13. 임원 퇴직금과 상여금에 대한 세무처리
14.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따른 제도 보완
제9장 증여세의 Tax saving point
1. 전략적 증여시 증여세는 즐겁게 납부하는 세금이다.
2. 소득이 없는 부인 명의로 재산을 증여시켜 주어라.
3. 부부간에 세금없이 줄수 있는 한도액과 방법
4. 자녀에게 증여하면 3가지의 세금 절세된다.(1석 3조)
5. 증여세를 납부한 것과 안 한 것과의 차이는 ?
6. 결손법인에 대한 증여의 효력
7. 배우자로부터 증여받은 자산의 처분시 유의사항
8. 맞벌이 부부가 부동산을 살 때 세테크 전략은 ?
9. 이혼 위자료로 주는 경우와 재산분할 청구권으로 주는 경우 어느 쪽이 더 절세되나?
10. 미성년자에게 아파트를 사 줄 경우
11. 현금보다 부동산을 증여하는 것이 유리하다.
12. 소득이 있는 자녀(성년자)에게 주택구입 자금의 일부를 증여할 경우
13. 전세보증금의 일부를 아들에게 빌려줄 경우
14. 재개발(재건축)아파트를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15. 자녀에게 사업자금을 증여하거나 담보제공하여 빌려줄 경우
16. 부부간이나 부자간에 한평생 몇 번 증여할 수 있나 ?
17. 분양중인 아파트를 증여시 프리미엄을 포함한다.
제 4 부 모든 세법에 적용되는 일반상식
1. 세금의 소멸 시효는 ?
2. 자진신고 납부를 못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 ?
3. 과세전 적부심사제도란 ? (국세기본법 제81조의 10)
4. 세금을 제때에 못 낸 사람과 돈 거래하면 위험 !
5. 세금고지서에 대한 일반 상식
6. 세법이 정한 적격 영수증만 받아야 한다.
7. 최종소비자 상대 업종에 대한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의무
8. 사업전용 은행계좌 개설제도 신설 (07. 1. 1부터 시행)
9. 명의대여와 위장사업자의 신고포상금 제도 (08.1.1개정)
10. 세금을 포탈하면 사장과 경리책임자도 같이 형사처벌 받는가 ?
11. 개인 사업체의 인수시, 인계자가 못 낸 세금 인수자가 승계의무가 있어 바가지 쓴다.
12. 나라에서 받을 세금 어떤 경우에 포기하나 ?
13. 기간과 기한의 계산
14. 덜 낸 세금은 수정신고할 수 있고 더 낸 세금은 돌려 받을 (경정청구) 수 있다
15. 자율신고제도와 자진신고에 대한 책임
16. 내가 못낸 세금 친척이 강제적 보증인이 되나 ?
17. 친족 및 기타 특수관계인의 범위란 ?
18. 법인의 과점주주는 취득세도 2중과세된다.
19. 세금 이의신청에 대한 일반상식
20. 상속세 신고를 세무사에게 의뢰시 수수료는 얼마나 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