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9556754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6-07-25
책 소개
목차
서문
소개말
1장.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2장. 부분, 연결, 요소와 시간
3장. 오온의 연기(현재의 측면)
4장. 어떻게 연기의 고리가 느낌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는가
5장. 시작[無明]으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6장. 끝[老死]에서부터 보는 연기의 회전
7장. 위빠사나 수행을 하지 않을 때 연기의 윤회는 계속된다
8장. 순관(順觀)으로 본 연기법
9장. 근본 원인인 무명과 갈애로 인한 연기의 회전
10장. 연기의 수레바퀴를 이루는 바퀴살과 바퀴통, 축, 막대와 테두리를 분해하고 부수는 방법
11장. 연기의 길을 따르는 자는 눈먼 자의 길을 따르는 자이다
12장. 역관(逆觀)으로 본 연기법
13장. 유신견(有身見)의 원인과 결과
14장. 유신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1.유명소경(有明小經)
2. 야마까경(Yamaka Sutta)
3. 찬나 장로(Channa Thera)
4. 비구 사띠(Sati)는 어떻게 사견을 가지게 되었는가
15장. 위빠사나 수행과 알아차림의 확립[念處]
16장. 심념처(心念處)의 중요성
17장. 사견(邪見)을 어떻게 제거하는가
18장. 상견(常見)과 단견(斷見)을 제거하는 방법
19장. 심념처(心念處. 마음을 알아차림)
20장. 청정(淸淨)에 대한 문답
1. 어느 평범한 비구와 네 분의 아라한
2. 붓다의 위대한 두 제자의 문답
21장. 수온(受蘊)과 연기법
22장. 수념처(受念處. 느낌을 알아차림)
23장. 범부와 아라한에게 느낌이 미치는 영향
24장.몸의 흔들림은 위빠사나 수행과 양립할 수 있는가
용어집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어떤 개구리 한마리가 붓다의 설법인지 알지 못하고 그저 듣기가 좋아서 즐거운 마음으로 듣고 있다가 목동의 뾰족한 지팡이에 찔려 우연히 죽음을 맞게 되었다. 이 개구리는 천계의 삼십삼천에 천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여기서 분명히 이해해야 할 것은 개구리의 의식이 천인의 몸을 따라간 것도, 몸 안으로 들어간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것은 오로지 인과법에 따른 것이었다.
불교에서 영혼이 옮겨 간다는 것은 없다. 환생이라는 것도 불교에서는 철저히 부정된다. 실제로 일어난 것은 개구리라는 과거생의 사몰심이 선행하는 원인이 되어 천인의 재생연결식이란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천인의 재생연결식은 개구리의 사몰심을 원인으로 하여 일어났다. 어떠한 영혼이나 의식이 한 존재와 다음 존재에서 일치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천인의 의식과 개구리의 의식이 하나이거나 동일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숙지해야 한다. 다른 의식으로 옮겨 가는 영혼이나 의식은 없다. 왜냐하면 이미 말했듯이 의식은 일시적이며 무상하고 항상 변하며 동일한 상태로 연속적인 두 순간을 지속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본문 제14장 '유신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