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95580967
· 쪽수 : 215쪽
· 출판일 : 2008-05-13
목차
008 베르나르카슈의 'Earth Moves'에서 읽는 들뢰즈공간철학과 '신건축'
들뢰즈철학과 미묘하고도 복잡한 관계로 얽혀있는 베르나르카슈의 '대지의 움직임' 텍스트독해를
통한 들뢰즈공간철학의 간접적 이해 / 카슈가 제시하는 들뢰즈공간철학의 이해도구인 '이미
지', '프레임', '영역'의 사고틀 / 외관으로 관찰할 수 없는 총체를 이해하고 변용에 의한 사물의
열린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사고틀로서의 불확정성의 영역 / 카슈가 말하는 들뢰즈의 주름, 접힘
과 펼침의 개념 그리고 '안으로접힘'의 이미지 / 단순재현이 아닌 형태와 맥락간의 차이를 연계하
는 도구로서의 '폴드건축'은 들뢰즈프래그머티즘적 구축주의의 형식을 통해 당당히 '신건축'으로서
의 위상을 획득할 수 있을까?
036 건축관계성
1. 건축의 철학적도구 / 오컴의 면도날로 대표되는 단순방법론은 동시대의 형이상학과 형태적 미학
을 재현하는 도구로서는 역부족인가 / 프래그머티즘적 건축사유를 통한 실용적 도구의 탐구 / 아이
린그레이와 르코르부지에의 건축사유도구로서의 다이어그램적 사고
2. 텍토닉스 / 건축의장을 통한 추상성과 가상성의 반영으로 '영원성'을 추구하는 건축의 아이러
니 / 건축가와 권력자의 '힘'의 현현이자 사회총체적 관계성의 중심으로서의 건축객체
062 되기; 클리프스태골의 텍스트독해 / 현행성; 클레어콜부룩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076 <다이어그램을 넘어서> 독해; 아우렐리/마스트리글리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1. 포스트모던 / 아이젠만작품집 'Feint'에 수록된 아우렐리-마스트리글리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포
스트모던해석 / 절충적 전환이 아닌 수용과 배척의 충돌로 이해되는 건축역사관과 젠크스의 도약하
는 우주 / 지식과 에피스테메의 절대적 가치가 몰락한 근대화의 종언으로서의 포스트모던 사유 /
테크놀로지의 찬양과 다원수용주의적 건축양식 / 르네상스 기하건축의 실재적 재현의 이해방식으로
서의 다이어그램과 들뢰즈-가타리의 추상기계논리
2. 모더니즘 / 모더니즘의 어원으로서의 '모다', '모데르누스' 그리고 카농과 노붐
3. 연합구성적 모멘트 / 잠재적인 동시대적 모멘트를 통합축적하여 정점에서 폭발한 특이성으로서
의 패러다임 / 르코르부지에의 '완벽한 건축작업'과 건축계의 구조개편
4. 도상학과 건축담론 / 건축적 실재와 실제적 실재에의 참여로서의 '공간의 경험'은 적합성 논리
로 점철되어있는 포스트모던 건축에서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는가 / 복잡복합적인 대립과 생산적 일
반균질공간, 그리고 이 대립을 표현하는 도구로서의 건축도상학
5. 다이어그램 / 건축디자인과 도시계획분야에서 복잡성과 대립성의 강도를 자유자재로 조정하는
도구로서의 다이어그램 사유 / 잠재성의 표출로서의 들뢰즈 다이어그램 / 가상성의 디자인프로세스
적 전용으로서의 다이어그램적 디자인사고 / 실재의 가능성과 불능으로서의 다이어그램
6. 건축 / 구축과 변형 그리고 최종적인 파괴로 각성이 완성되는 건축 / 아우렐리-마스트리글리의
포스트모던 연합구성의 특징으로서의 니힐리즘과 허무 그리고 서구적 역사해석
116 형태기하학과 건축적충돌
프레스턴 스코트 코헨의 건축작업과 에세이에 나타나는 충돌성 대칭주의와 투사기하 / 현행성과 실
재성을 다루는 도구로서의 투사기하의 개념, 그리고 팔라쵸 감바라와 빌라 타우로의 형태분석 / 충
돌하는 대칭성과 수평적 절편화의 형태양식 / 구축물의 내재성의 발현
128 <워프공간>독해; 앤토니비들러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접힘-펼침-블롭-막구조-다이어그램-잉포르메... / 정신분석학과 건축적 공간사유 그리고 인본주의
적 주체사유와 모더니즘 사유의 양 극단의 멀고도 가까운 상관관계를 비판 분석하는 비들러의 '워
프공간' 텍스트 / 모더니즘에 나타나는 정신분석학적 측면과 멀티미디어 교잡에 의해 태어난 공간
사유 그리고 디스토피아적 절망...
138 질들뢰즈; <통제사회에 부치는 추신>독해 / 마수미건축사유; 신체이미지
감옥의 타이폴로지와 자본주의비판 / 변조적 중간자와 유연한 점막같은 건축가의 인터페이스 강화
를 위한 다이어그램에서 바이오그램에의 사유진화
172 주름의 집
추상적이자 모든 질료의 정수로 의미해체되어 객체와 공간 모두에서 현현되어 있는 접힘-펼침 / 라
이프니츠의 주름의 집과 카메라옵스큐라 그리고 들뢰즈의 바로크하우스의 차이
188 아이젠만의 Fin d'Ou T Hous; 로빈에반스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제프리킵니스의 텍스트번들로서의 건축작업 '파인드아웃하우스' 혹은 '핀 드 우트 오우' / 아이젠
만식 건축문화맥락의 형성과 건축에 있어서의 '쓰기'의 역할 / 로빈에반스가 주장하는 아이젠만 건
축의 지적 함정과 글쓰기를 통한 통합연막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