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실기
· ISBN : 9788995724460
· 쪽수 : 265쪽
· 출판일 : 2006-10-26
책 소개
목차
그림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의 글
이 책의 사용법
제1장. 윤곽선과 제스처
연습 1 : 윤곽선 드로잉
연습 2 : 제스처 드로잉
연습 3 : 횡단 윤곽선
제2장. 제스처의 이해
연습 4 : 상상 제스처
연습 5 : 플래시 포즈
제3장. 무게감과 모델 드로잉
연습 6 : 무게감
연습 7 : 모델 드로잉
제4장. 기억 드로잉 / 그 외의 다양한 단시간 습작
연습 8 : 기억 드로잉
연습 9 : 동작 드로잉
연습 10 : 묘사 포즈
연습 11 : 역 포즈
연습 12 : 집단 포즈
제5장. 모델 드로잉 : 잉크-일상 구성
연습 13: 모델 드로잉 : 잉크
연습 14: 일상 구성
제6장. 모델 드로잉 : 수채 / 직각 드로잉 습작
연습 15: 모델 드로잉 : 수채
연습 16: 직각 드로잉 습작
제7장. 윤곽선 강조 / 두상
연습 17 : 5시간 윤곽선
연습 18 : 단시간 윤곽선 드로잉
연습 19 : 두상
연습 20 : 두상 제스처
연습 21 : 직각 윤곽선 드로잉
제8장. 특수 형태 습작
연습 22 : 형태의 부분
연습 23 : 10분 형태 습작
제9장. 기법이라는 주제에 대한 접근
연습 24 : 모델 드로잉 : 잉크-계속
연습 25 : 모델의 뒷모습 그리기
제10장. 단순비례 / 노력
연습 26 : 모델 드로잉 : 수채-계속
제11장. 주름 습작
연습 27 : 단시간 주름 습작
연습 28 : 장시간 주름 습작
제12장. 인체에 걸친 주름 / 주관적 욕구
연습 29 : 인체에 걸친 주름 천
연습 30 : 일상 구성-계속
제13장. 연장 습작
연습 31 : 제스처 심화 습작
연습 32 : 연장 습작
제14장. 명암
제15장. 해부학 습작에의 접근
연습 33 : 골격 습작
제16장. 장시간 구성
연습 34 : 장시간 구성
제17장. 검정색과 흰 색 크레용에 의한 연습
연습 35 : 크레용에 의한 연장습작
연습 36 : 검정색과 흰색에 의한 제스처
연습 37 : 검정색과 흰색에 의한 주름 습작
제18장. 구조의 습작
연습 38 : 해부학적 제스처 습작
연습 39 : 손과 팔
연습 40 : 어깨 환상지대
연습 41 : 다리와 무릎
연습 42 : 발
연습 43 : 눈
연습 44 : 귀
제19장. 디자인을 통한 분석
연습 45 : 선의 대조
연습 46 : 직선과 곡선
제20장. 복제본을 통한 습작
연습 47 : 복제본을 통한 구성
연습 48 : 복제본을 통한 해부
연습 48 : 복제본의 분석
제21장. 근육
연습 50 : 근육 습작
제22장. 검정색과 흰색 유화에 의한 연습
연습 51 : 유화 연장 습작
연습 52 : 유화 제스처 드로잉
연습 53 : 유화 30분 습작
제23장. 디자인을 통한 분석-계속
연습 54 : 지배적인 모양
연습 55 : 직선과 곡선 모델링
연습 56 : 프레임 안의 직선과 곡선
제24장. 주관적 요소
연습 57 : 주관적 습작
제25장. 색채 사용에 대한 접근법
연습 58 : 색지 위의 제스처
연습 59 : 색채에 의한 직선과 곡선
연습 60 : 주관적 습작-계속
연습 61 : 유화 연장 습작 ; 색채배합
연습 62 : 유화 연장 습작-계속
연습 63 : 전반적 색채
연습 64 : 자의적 색채
옮긴이의 글
리뷰
책속에서
^^관념과 외양^^
드로잉이나 페인팅은 대상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한 생각은 경험을 반드시 문자로 기록하지 않고서도 시각적 경험의 수단을 통해 형성되어 온 것이다. 대상물에 대한 관념은 눈의 망막에 투사된 것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이다. 실제로 우리의 관념은 시각적 이미지를 전혀 모방하지 않고도 드로잉과 페인팅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형태를 굳이 가시적인 세계에서 끌어올 필요는 없다. 비가시적인 세계에서 형태를 빌려오는 것 또한 마찬가지로 필연적이다. 반면에 가시적 세계의 형태를 의식적으로 무시하거나 배제시킬 필요는 없다. 주관적인 습작일지라도 그 결과가 모델과 물리적으로 빼닮을 수도 있다. 모든 자연에는 다양성이 있듯이 사람에게도 다양성이 있다.
어떤 사람은 추상적으로 그릴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똑같은 욕구들을 이용하고 있고, 그것들을 올바르게 이용할 때 예술작품은 완성된다. - 본문 248~249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