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5814710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07-09-27
책 소개
목차
‘韓 지기구조 디자인’을 펴내며
추진개요
머릿말
찾아보기
일러두기
1.잔받침 구조
- 원형 잔받침
- 변형 원 잔받침
- 타원형 잔받침
- 변형 타원 잔받침
- 삼각형 잔받침
- 정사각형 잔받침
- 둥근형 사각 잔받침
- 변형 사각 잔받침
- 직사각형 잔받침
- 둥근형 직사각잔받침
- 정팔각형 잔받침
- 변형 팔각 잔받침
2. 원형 구조
- 원형 접시
- 타원형 접시
3. 삼각 구조
- 삼각형 접시
4. 사각 구조
- 일자형 정사각 접시
- 사선형 정사각 접시
- 굴절형 정사각 접시
- 곡면형 정사각 접시
- 일자형 직사각 접시
- 사선형 직사각 접시
- 곡면형 직사각 접시
5.오각 구조
- 일자형 정오각 접시
- 일자형 오각 접시
- 사선형 정오각 접시
6. 육각 구조
- 일자형 정육각 접시
- 사선형 정육각 접시
7. 팔각 구조
- 일자형 정팔각 접시
- 사선형 정팔각 접시
- 굴절형 정팔각 접시
- 곡면형 정팔각 접시
- 일자형 직팔각 접시
- 사선형 직팔각 접시
8. 십각 구조
- 일자형 정십각 접시
- 사선형 정십각 접시
9. 십이각 구조
- 일자형 정십이각 접시
- 사선형 정십이각 접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도서는 한지 공예품의 지기 구조를 연구 분석하고 나아가 체계화된 전통 소재의 정보 DB를 통한 문화가 교육, 산업에 활용되어짐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면서 독창적 제품의 형태를 개발하고 창조하기 위한 구조 디자인의 참고서이자 창의적 기술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서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화려하고 품격 있는 생활 문화이자 예술의 한 분야이기도 했던 한지 공예품의 지기는 제작하는 사람의 정성과 미적 감각에 의해 다양한 조형과 색상, 문양 등에 어우러져 각양각색의 아름다운 모양을 하고 있다. 유서 깊은 우리 민족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독창적 한국의 전통 문화이자 정신 문화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에 예술성과 실용성이 조화된 우리의 전통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여 중심은 전통에 두되 현대적 해석을 통하여 창조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창의적 자료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우리의 민족적 정서와 문화적 정취를 담은 전통적 제품의 형태를 참고로 새로운 디자인의 형태 개발 및 창조를 위한 안내 자료로 즐겨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전통 소재를 활용한 문화의 힘을 토대로 보편적 현대 디자인 감각에 맞는 문화적 가치가 반영된 디자인 소재로 활용되어 문화가 산업적으로 결합, 활용되는 적극적 시도를 통한 신개념의 독창적 상품 개발로 이어지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오늘날 한지 공예가 종이(합지)를 재단하여 그 위에 색 한지와 문양을 붙여 장식함으로써 멋과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으나 생활 문물의 변화로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한지 지기 구조의 전개도를 가장 정확하고 단순한 형태로 충실히 그려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여기에는 지기의 형태와 감각, 디자인의 경향과 특성을 분석한 입체 구조물의 형태가 고려되었으며 이를 유형별로 그 쓰임과 형상의 조형적 관점에 의거, 네 가지 구조로 분류하여 놓았다. 또한 각각의 구조는 기본형과 응용형으로 구분, 수준별로 기호를 고려함으로써 자료로서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