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8899585964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1-06-01
책 소개
목차
Part 1 독서, 대화 그리고 글쓰기
1. 독서와 글쓰기 지도, 왜 어려운 걸까?
2. 독서: 책 읽는 습관은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3. 대화: 토론은 자신의 마음을 자유롭게 나누는 것
4. 글쓰기: 내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글로 설명하는 것
Part 2 환경
사람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지구
마주 읽기 1 숨 쉬는 도시 꾸리찌바
서울도 꾸리찌바처럼
숨 쉬는 도시를 위한 작은 노력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2 안녕, 사바나
스스로 내는 용기와 희망
아픔을 받아들이고 성숙하려는 용기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3 버들붕어 하킴
하나로 이어진 모든 생명들
삶과 죽음을 넘나드는 물속 생명들의 투쟁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4 코요테, 블랙 넬
인간과 동물의 모호한 공동생활
야생 동물들의 치열한 생존기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Part 3 인권
불편한 진실과 마주서다
마주 읽기 5 빼앗긴 내일
서로 다른 입장에서 본 전쟁의 모습
전쟁을 일으킨 자의 욕망, 전쟁을 겪는 자의 절망, 사랑 대신 증오를 심어 놓은 세월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6 난 두렵지 않아요
한 소년의 용기 있는 투쟁
잊혀선 안 될 이야기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7 국경 없는 마을
외국인 노동자들의 다른 이야기
인간의 존엄과 권리에는 국경이 없다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8 커피우유와 소보로빵
주류와 비주류가 함께 만든 공감대
누군가 돌을 던질 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지?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Part 4 가족
미숙함을 함께 완성시켜 가는 동반자
마주 읽기 9 아주 특별한 우리 형
고통을 이겨 내고 찾은 행복
모두가 꿈꾸는 더불어 사는 세상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0 마당을 나온 암탉
불완전한 삶을 완전한 삶으로
내 안에 숨어 있는 소망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1 할머니의 레시피
음식을 통해 전해지는 할머니의 사랑
사랑과 정성이 가득한 할머니의 손맛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2 엄마가 결혼했어요
타인에서 진짜 가족이 되기까지
내 얘기를 들어 주세요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Part 5 성장
생각이 자라고 삶이 익어 가는 순간들
마주 읽기 13 양파의 왕따일기
소중하다면 도와주세요
우정을 확인하고 싶은 아이들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4 위저드 베이커리
인생의 요술 램프를 제시한 향긋한 빵집
자신을 위한 위험한 선택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5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서로를 이해하고 알아 가기 위한 노력
진실을 가르치는 사람과 삶을 배우는 사람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마주 읽기 16 조커, 학교 가기 싫을 때 쓰는 카드
가기 싫은 학교를, 가고 싶게 만드는 선생님의 이야기
조커, 인생을 풍요롭게 해 주는 선물
마무리 대화는 이렇게
리뷰
책속에서
아이와 어린이 책을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 공부가 아닌 다른 이야기로 아이의 마음을 열 수 있다. 무엇보다 책을 통해 아이들 세계를 엿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책들은 아이들의 세계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을 읽고 나누는 대화가 아이가 책을 제대로 읽었는지 확인하는 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줄거리는 어땠니?”, "주인공은 누구니?”같은 단편적인 질문은 아이에게 꼭 심문당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이런 식의 대화가 습관이 되다 보면 아이들은 모든 독후 활동에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기보다 정답을 찾아내어 대답하게 된다. 아이에게 단편적인 내용을 묻기보다는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주제나 그 주제가 담고 있는 사회 문제, 또는 아이가 생활 속에서 느꼈던 것들을 이야기 나누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꼭 고쳐 주어야 할 부분까지 그냥 덮지는 말자. 아이의 글에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면, 일단 잘한 점부터 칭찬해 주고“이 부분만 조금 보완하면 정말 완벽할 텐데…….”라고 격려하면서 생각을 유도하자. 아이가 다시 쓰기를 싫어한다면 일단 물러서고 다음 기회를 기다린다. 엄마가 애써 고치려고 하면 엄마가 한 칭찬은 거짓말이 되고 만다. 아이에게 조금이라도 진전이 있다면 박수를 쳐 주고, 설령 나아지지 않았더라도 노력한 점을 높이 평가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