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린이 신기통

어린이 신기통

(토박이말.마주이야기로 여는)

최한기, 염시열, 한경순 (지은이), 한소정 (그림)
나비꿈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000원 -0% 2,500원
500원
1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린이 신기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린이 신기통 (토박이말.마주이야기로 여는)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철학
· ISBN : 9788996393764
· 쪽수 : 265쪽
· 출판일 : 2011-12-15

책 소개

『신기통』중 1권 「체통(體通)」을 토박이말을 사용하여 어린이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번역하였다. 『신기통』은 짧은 글안에 자신의 생각을 담는 방식으로 글을 쓴 점, 현재 서양에서 가져오는 인지이론의 몸철학이 아닌 우리나라 사람의 깨침으로 나온 몸철학의 바탕을 마련했다는 점, 자연과학에 기초하여 깊이 있는 깨침을 논리정연하게 썼다는 점 등 인문학 입문서로서 가치가 높다.

목차

머리말
신기통 앞엣거리
마주이야기 앞엣거리

1. 몸 안팎 기운(天人之氣)
2. 기운의 보람(氣之功用)
3. 모든 내다지로 기운이 나든다(諸竅通氣)
4. 나들기는 어울림이 있다(通有相應)
5. 봄듣말짓은 한꺼번에 할 수 없다(視聽言動不可兼)
6. 누리 나들기의 어려움과 쉬움(天地通難易)
7. 알깸이나 미룸은 다 저절로 이루어진다(知覺推測皆自得)
8. 나들기는 더딤과 빠름이 있다(通有遲速)
9. 나들기는 얻고 잃음이 있다(通有得失)
10. 마음속 턱기운의 터무니 말(心性理氣之辨)
11. 꾸준히 나들면 큰일도 나들 수 있다(歷通重關)
12. 나들기는 걸림돌이 있다(通有防害)
13. 나들기는 흐름과 막힘이 있다(通有源委)
14. 기운과 바탕은 서로 다르다(氣質各異)
15. 나들기는 제 가끔 다를 수도 있다(通有不同)
16. 누리를 나들어 한 몸이 된다(通天下爲一體)
17. 거짓의 피해(虛妄之害)
18. 서로 서로 나들게 한다(通人我之通)
19. 아홉 내다지는 늘고 줌이 없다(九竅無增減)
20. 얼기는 미치지만 들랑거리지 않는다(氣通而末嘗出入)
21. 기운과 바탕은 서로 도우며 어울린다(氣質相應相援)
22. 나들기는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이 있다(通有可否之限)
23. 나들기는 크기와 멀기가 있다(通有大小遠近)
24. 누리를 깨우는 듬은 하늘이 사람을 얻어 바로잡는다(天下敎法就天人而質正)
25. 누리 글자의 주변(四海文字變通)
26. 턱은 기운을 힘입어 나든다(理由氣通)
27. 셈數하는 배움(氣數之學)
28. 내다지가 서로 나들면 얼기운이 더욱 밝아진다(諸竅互通神氣益明)
29. 몬과 나의 본메겪기(物我證驗)
30. 얼기운은 느낌맞이가 있다(神氣相感)
31. 글과 말의 얼기운(文言神氣)
32. 나들기는 어긋남과 바름이 있다(通有邪正)
33. 나들기와 막힘의 막바지(通不通極致)
34. 옛사람과 이제 사람의 겪음은 같지 않다(古今人經驗不等)
35. 누리공과 해달별(地體及諸曜) 131
36. 나들기의 테끝과 꼴바탕 나들기의 미룸 나들기(通之所止及形質通推測通)
37. 꼴바탕과 미룸은 나들기가 다르다(形質推測異通)
38. 나들기 교육(通敎)
39. 돈 흥정 나들기(通貨)
40. 얼기운은 뱃살애(장부)에 따라 달라진다(神氣由臟腑而有異)
41. 넷이 하나의 얼기운을 이룬다(四一神氣)
42. 눈귀 얼기운은 많은 것을 하나로 한통친다(耳目神氣統萬爲一)
43. 밖에서 거두어들이고 밖에서 움직인다(收入於外發用於外)
44. 꼴바탕(형질)은 얼기운을 나든다(自形質通神氣)
45. 네 갈래 사람은 나들기 어렵다(四者難通)
46. 거두어들이고 쓸데 쓰는 것은 줄기와 곁가지가 있다(收得發用有源委)
47. 똑슬기는 얼에서 나고 힘은 기운에서 난다(明生於神力生於氣)
48. 알깸의 잘나고 못남은 얼기운에서 생긴다(知覺優劣從神氣而生)
49. 열일곱 가닥을 나들어야 한다(十七條可通)
50. 널리 가늠삼아 나들기를 겪는다(廣試驗通)
51. 얼기운은 나든다(神通)
52. 속빈 나들기(通虛)
53. 알깸(지각)의 뿌리(知覺根源)
54. 겪음이 곧 알깸이다(經驗乃知覺)
55. 나들기는 나눔(등분)이 있다(通有等分)
56. 남의 나들기를 얻는다(取人之通)
57. 겪음은 속이기 어렵다(經驗難欺)
58. 나들기에는 처음과 가온과 끝이 있다(通有始中終)
59. 책의 대중(書籍準的)
60. 대중 삶버릇의 사그라짐과 자람(準的習俗消長)
61. 대중은 크고 작음이 있다(準的有大小)
62. 셈갈(수학)은 기운에서 생겨났다(數學生於氣)
63. 다른 사람의 바뀜을 나든다(通人之遷移)
64. 크게 이루다(集大成)
65. 꼴몸이 사라지면 알깸도 사라진다(形滅則知覺滅)
66. 일몬을 몸소 알아차린다(體認事物)
67. 기운은 가볍고 무겁다(氣有輕重)

낱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염시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문화로 수업하기를 실현하는 선인들의 학습 모범을 바탕으로 한 2001년의 문화부림수업연구회, 작은학교교육연구회 회원, 2009년 국어문화부림수업연구회 우수상 등 10여 년의 교과연구회 활동에서 ‘국어 수업의 기본학습개념 습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수업방안’을 창출하여 우리 어린이들의 배움살이를 넉넉하게 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1995년 3월8일 문화방송 2580에서 열린교육사례로 방영, 1999년 교육부문 신지식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초등국어 수석교사로 활동하였다. 저서로는 『기와 조각이라 해서 버리지만 않는다면』, 『예문일치적 열린 교육』, 『토박이말로 여는 국어 수업』, 『토박이말로 여는 한국어 수업의 사상과 언어』 등이 있다. 1975년 나주신광초등학교 교사를 출발로 2009년 8월 국어학전공 문학박사학위를 늦깎이로 받았다. 오늘도 ‘우리말로 학문하기’를 드높모심하는 가짐을 가지고 배움의 발품을 팔고 있다.
펼치기
한경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말과 글을 사랑하는 지은이는 올해 45년째 글쓰기를 하고 있다. 글을 쓸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하다는 저자는 한뉘동안 일기, 수필, 동화, 소설, 시, 따숨이야기, 논문같은 다양한 글쓰기에 도전하고 싶어하며, 틈틈이 글쓰기를 하고 산다. 지은 책으로 『365 속담말로 놀자』, 『어린이 신기통』, 『365 감정말로 놀자』 등이 있다. 따숨이야기로 따뜻한 아동복지교육을 하고 싶어 하는 사회복지사로 현재 전주에서 따숨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한소정 (그림)    정보 더보기
펼치기
최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사상가이자 철학자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며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그의 학문은 동아시아 전통 사상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수회 선교사들이 전한 서양의 과학, 기술, 신학, 철학, 의학, 지리, 음악 등 다양한 분야를 수용하여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특히 신학과 철학은 그의 저술을 면밀하게 분석해야만 비판적 수용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데, 현대적 관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다양한 지식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19세기 우리 철학을 구축한 당대의 최고 철학자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