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측체의 역해 세트 - 전4권

기측체의 역해 세트 - 전4권 (1~3권 + 해제)

최한기 (지은이), 이종란 (옮긴이)
동연출판사
2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0원 -10% 0원
10,500원
17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측체의 역해 세트 - 전4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측체의 역해 세트 - 전4권 (1~3권 + 해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88964479940
· 쪽수 : 2538쪽
· 출판일 : 2025-04-28

책 소개

《기측체의(氣測體儀)》는 조선 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유학 사상을 실증적 · 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1836년에 간행한 유학서로서 사물에 대한 사고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인간의 신체를 분석하여 비유한 책이다.

목차

1권

역해자 서문
기측체의 서문氣測體義 序
〈해제〉 『기측체의』와 최한기
최한기 연보
일러두기

신기통(神氣通) 권1

신기통 서문神氣通 序

체통體通
1. 자연과 인간의 기 天人之氣
2. 기의 작용 氣之功用
3. 감각기관은 기를 소통한다 諸竅通氣
4. 앎은 서로 응한다 通有相應
5. 보고 듣고 말하고 행동하는 일은 겸할 수 없다 視聽言動不可兼
6. 천지 만물을 아는 어려움과 쉬움 天地通難易
7. 앎과 추측은 모두 스스로 얻었다 知覺推測皆自得
8. 아는 데에 늦고 빠름이 있다 通有遲速
9. 앎에는 득실이 있다 通有得失
10. 심성과 이기의 변증 心性理氣之辨
11. 중첩된 관문을 거쳐 통과하다 歷通重關
12. 소통의 방해물 通有防害
13. 앎에는 근원과 말단이 있다 通有源委
14. 기질은 제각기 다르다 氣質各異
15. 앎에는 같지 않음이 있다 通有不同
16. 소통으로 온 세상이 한 몸 되다 通天下爲一體
17. 허황하고 망령된 설의 해로움 虛妄之害
18. 남과 나의 앎을 소통하다 通人我之通
19. 감각기관에는 보태거나 덜어낼 것이 없다 九竅無增減
20. 기는 통해도 안팎으로 드나든 적이 없다 氣通而未嘗出入
21. 몸의 여러 기관은 서로 반응하고 돕는다 氣質相應相援
22. 앎에는 알 수 있거나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 通有可否之限
23. 앎에는 크기와 미치는 거리가 있다 通有大小遠近
24. 온 세상의 종교를 자연·인간에게 물어 바로잡다 天下敎法就天人而質正
25. 세계 문자의 변통 四海文字變通
26. 이치는 기를 통해서 안다 理由氣通
27. 기수의 학문 氣數之學
28. 여러 감각이 서로 간여하면 신기가 더욱 밝아진다 諸竅互通神氣益明
29. 남과 물건에서 나의 앎을 증험한다 物我證驗
30. 신기는 서로 감응한다 神氣相感
31. 글과 말 속의 신기 文言神氣
32. 앎에는 거짓과 바름이 있다 通有邪正
33. 앎과 모름의 극치 通不通極致
34. 옛날과 지금의 경험은 같지 않다 古今人經驗不等
35. 지구와 여러 별 地體及諸曜
36. 앎이 머물 곳과 형질통 추측통 通之所止及形質通推測通
37. 형질통과 추측통은 다르다 形質推測異通
38. 가르침을 소통함 通敎
39. 재물의 소통 通貨
40. 신기는 장부를 말미암으나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神氣由臟腑而有異
41.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신기 四一神氣
42. 눈과 귀와 신기의 만 가지를 통합하여 하나로 만든다 耳目神氣統萬爲一
43. 밖에서 거두어 와서 밖으로 드러내 쓰다 收入於外發用於外
44. 몸을 거쳐 신기를 통한다 自形質通神氣
45. 앎에 이르기 어려운 네 가지 사례 四者難通
46. 지식을 거두어들이는 것과 드러내 쓰는 데는 근원과 말단이 있다 收得發用有源委
47. 신기의 밝음은 신에서 힘은 기에서 생긴다 明生於神力生於氣
48. 앎의 우열은 신기를 따라 생긴다 知覺優劣從神氣而生
49. 알 수 있는 17가지 일 十七條可通
50. 널리 시험하고 증험하여 안다 廣試驗通
51. 신통 神通
52. 허황한 대상을 아는 일 通虛
53. 앎의 근원 知覺根源
54. 경험이 곧 앎이다 經驗乃知覺
55. 앎에는 등급이 있다 通有等分
56. 남의 앎을 취한다 取人之通
57. 경험은 속이기 어렵다 經驗難欺
58. 앎에는 처음·중간·끝이 있다 通有始中終
59. 서적과 앎의 표준 書籍準的
60. 표준과 습속의 사라짐과 자라남 準的習俗消長
61. 표준에도 크기가 있다 準的有大小
62. 수학은 기에서 생긴다 數學生於氣
63. 남의 변화를 알다 通人之遷移
64. 집대성 集大成
65. 몸이 소멸하면 의식도 사라진다 形滅則知覺滅
66. 사물을 체인하다 體認事物
67. 기에는 가벼움과 무거움이 있다 氣有輕重

신기통(神氣通) 권2

목통目通
1. 물체의 색은 눈동자에 비친다 物色映眸
2. 기를 사이에 두고 와서 비친다 隔氣來照
3. 보이는 물체의 지름은 실물의 그것보다 작다 視徑小於眞徑
4. 눈동자는 안팎을 연결하는 목구멍이다 眸爲內外咽喉
5. 시선을 미루어 이용하다 視線推用
6. 서적을 보고 알다 見通書籍
7. 소견을 가려 세우다 擇立所見
8. 사람을 관찰하여 취한다 觀人取人
9. 눈으로 본 결과는 신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眼視隨神氣有異
10. 눈을 치료하는 약 治眼藥
11. 관상가와 의원의 신통한 눈 相人醫人之神眼
12. 땅의 모습을 알다 見得地形
13. 기물을 궁리하여 밝힌다 窮格器用

이통耳通
1. 천지와 인간과 만물의 소리 天地人物聲
2. 소리 무리와 거리 聲暈遠近
3. 온갖 소리를 미루어 안다 推通萬聲
4. 선천적 청각 장애와 신기의 청각 장애 天聾神氣聾
5. 말을 듣는 조리 聽言條理
6. 성률과 언어 聲律言語
7. 신기로 듣다 神氣聽
8. 말로 아는 깊이의 차이 言通有淺深
9. 통함과 막힘을 따라 말을 취사한다 隨通塞而取捨言論
10. 남의 말을 들을 때의 순함과 거스름 聽言順逆
11. 속이는 말의 청취 여부 欺言聽否
12. 상반된 말을 가려듣기 擇聽相反之言
13. 재판에서 참작과 증거 聽訟參證

비통鼻通
1. 몸의 기를 풀무질하다 橐籥身氣
2. 여러 냄새 가운데 순수하고 맑은 것이 최고다 諸臭中純澹爲最
3. 여러 냄새의 분별에 근본이 있다 諸臭分別有本
4. 향내는 순수하고 맑은 냄새만 못하다 香不如純澹
5. 냄새의 배어듦 臭氣染漬
6. 이로운 냄새와 해로운 냄새 臭有利害

구통口通
1. 말과 음식은 서로 호응한다 言與食相應
2. 혀는 순수하고 맑은 맛을 좋아한다 舌喜純澹之味
3. 청렴을 향하고 탐욕을 등지다 向廉背貪
4. 타고난 바탕과 음식의 청렴과 탐욕 稟質及飮食廉貪
5. 음식물의 훈증 飮食薰蒸
6. 굶주리고 배부른 현상은 누구나 같다 饑飽與人同
7. 안팎의 조화 內外調和
8. 말은 목소리를 따라 드러낸다 言語因聲音而發
9. 말이 통함 言語得通
10. 시비의 참과 거짓 是非誠僞
11. 어리석게 미혹된 사람을 깨우침 開牖愚迷
12. 문자로 나타낸 말 文字之言語
13. 말의 핵심과 그 전달의 허실 要領虛實
14. 인사의 통함과 막힘 人事通塞



신기통(神氣通) 권3

생통生通
1. 낳고 낳은 일이 크게 이어짐 生生大通
2. 정기가 치밀어 발동함 精氣衝發
3. 예쁘거나 못생긴 여자가 낳은 아이 姸媸所產
4. 색정과 견문 色情聞見
5. 낳아 기르는 일이 목표이다 產育準的
6. 아내와 첩은 자식을 낳아 기르기 위함 妻妾爲產育
7. 태어남은 하늘에, 일은 인간에 달려 있다 生在天事在人
8. 사람의 자애 人物慈愛
9. 몸이 서로 통하다 形質相通

수통手通
1. 손은 공적과 재능이 가장 많다 功能最多
2. 귀천과 손의 쓰임 貴賤手用
3. 솜씨의 같고 다름 手法同異
4. 손가락으로 익혀 알다 指有習通
5. 크게 쓰임은 때가 있다 大用有時
6. 오래 널리 전파되는 서적 書蹟久遠

족통足通
1. 발의 힘이 감당하는 것 足力堪任
2. 발걸음이 다르다 踐履不同
3. 멀리 가는 일은 도보에 있지 않다 致遠不在足行

촉통觸通
1. 안팎이 서로 호응하다 內外相應
2. 촉각은 견문을 기다린다 觸待見聞
3. 말투의 저촉 辭氣之觸

주통周通
1. 서로 비교하여 증험한다 參互證驗
2. 인재를 알아보고 쓰는 일 知人用人
3. 주통에도 허실이 있다 周通有虛實
4. 불통·편통·주통 不通偏通周通
5. 주통의 처음과 끝 周通源委
6. 나가고 들어오고 나아가고 물러남 出入進退
7. 활동할 때와 고요할 때의 틈이 없다 動靜無間

변통變通
1. 변통의 조목 變通條目
2. 남과 나의 신기를 변통하다 人我神氣變通
3. 통하기 어려운 일을 변통하다 通其難通
4. 공명과 부귀의 변통 功名富貴變通
5. 기물은 변통할 수 있으나 기는 변통할 수 없다 器可變通氣不可變通
6. 인간과 만물이라는 기물의 쓰임 人物器用
7. 재물은 신기를 편안히 기르는 것 財所以安養神氣
8. 질병은 변통하기 어렵다 疾病難得變通
9. 문리의 이해는 변통에 달려 있다 文理究解在變通
10. 정교의 연혁 政敎沿革
11. 시(時)라는 글자는 기의 운행이다 時是氣運
12. 추측과 변통에는 껍데기와 알맹이가 있다 推測變通有虛實
13. 자기의 용의를 안다 知自己之容儀
14. 공부의 처음과 공사의 나뉨에 있는 변통 變通在初及公私之分
15. 선악과 이해 善惡利害
16. 불통을 제거하다 除袪不通

주요 용어사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2권

역해자 서문
기측체의 서문氣測體義 序
<해제> 『기측체의』와 최한기
최한기 연보

추측록 서문 推測錄 序

추측록推測錄 권1

추측제강推測提綱
1. 자연을 체득하고 성인을 본받다 體天法聖
2. 자연과 사람은 깊이 통한다 天人幽通
3. 마음은 명칭을 떠나 있다 心離名像
4. 능과 소를 추측하다 推測能所
5. 미룸과 헤아림은 서로 간여한다 推測相參
6. 상징을 취하고 비유하다 取象譬諭
7. 마음은 거울이나 물과 같다 如鏡如水
8. 여러 모퉁이와 일의 끝도 헤아리다 測隅測終
9. 통달의 깊이 通達淺深
10. 성학에서 언급하는 문자와 추측 聖學及文字推測
11. 헤아릴 수 없는 것을 버리다 捨其不可
12. 사리를 찾을 수 있다 事理可尋
13. 물건에 마음이 팔리고 일에 임해 잘못될 때 遇物遷臨事差
14. 배워 들은 데서 학문의 명칭을 달리하다 學聞異稱
15. 마음을 닦아 밝히다 修明其心
16. 익힌 내용이 제각기 다르다 所習各異
17. 잘 때나 깨어있을 때의 추측 寤寐推測
18. 미룸과 헤아림의 서로 쓰임 推測互用
19. 선을 밝혀 덕을 증진하고 악을 알아 남을 변화시킨다 明善進德知惡化人
20. 마음에 쌓인 것을 제거하고 경계하고 삼감을 간직한다 去留滯存戒愼
21. 근본이 있는 학문 有本學
22. 잘못을 알면 고친다 知過則改
23. 몸 보배의 드러남과 감춰짐 身寶顯晦
24. 옛날과 지금과 뒷사람의 일이 다 내 추측의 대상 古今後人皆我推測
25. 변화의 이치를 아는 여부 通變有無
26. 어쩌다 들어맞음 有時或中
27. 점진적 공부와 교화 漸次化行
28. 성공과 실패로 사람을 논함 成敗論人
29. 덮어 가려진 것을 열어 드러내다 開發蔽塞
30. 물리를 추측하여 나의 덕을 밝힘 推物理明己德
31. 중과 화 中和
32. 동물의 추측 動作物推測
33. 추측이 곧 앎이다 推測卽是知
34. 얻음과 잃음 得失
35. 마음의 본체는 순수하고 맑다 本體純澹
36. 크거나 작거나 멀거나 가까운 것 大小遠近
37. 익힘에 따라 변한다 習變
38. 바꾸어 미루고 고쳐 헤아리다 換推改測
39. 근원과 말단을 추측하다 推測源委
40. 수많은 이치의 추측 萬理推測
41. 선악에도 미룸이 있다 善惡有推
42. 익숙한 추측 慣熟推測
43. 추측의 여러 작용 推測諸用
44. 근본을 들면 미룸의 쓰임이 넓어진다 擧本用博
45. 사용하면서도 추측을 모른다 雖用而不知推
46. 미룸이 없으면 혼란스럽다 無推則亂
47. 헤아림은 미룸을 완전하게 할 수 있다 測能完推
48. 추측의 생김과 이룸 推測生成
49. 시작과 중간과 끝마침의 공부 始中終功夫
50. 요령을 얻으면 낭비하는 힘이 없다 得要領無費力
51. 나무 심는 일을 미루어 도리를 배우는 일을 헤아림 推種樹測學道
52. 추측은 성실의 공부가 된다 推測爲誠實之功
53. 사랑과 공경은 추측에서 나온다 愛敬出於推測
54. 앎을 스스로 자신하면 안 된다 不可以知自許
55. 추측의 여러 증험 推測諸驗
56. 남이 말하지 않은 내용을 말하는 데에도 허실이 있다 言人所不言有虛實
57. 마음의 병통과 악습 心病俗惡
58. 명덕은 점차 발달한다 明德漸達
59. 성현의 가르침은 모두 추측이다 聖訓皆推測
60. 추측의 쓰임은 무궁하나 한계가 있다 無窮而有限
61. 미룸을 터득하여 헤아림을 사용하다 得推用測
62. 사물의 마땅한 곳 事物攸當
63. 감춰짐과 드러남과 일상과 변화 隱顯常變
64. 활쏘기로서 헤아림을 비유하다 以射諭測
65. 사람과 물건과 기에서 추측의 많고 적음의 구분 人物氣多少之分
66. 사물의 이름은 공허하나 실제의 쓰임은 늘 있다 名虛實存
67. 추측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 推測知與不知
68. 미룸에 갖춰야 할 네 가지 핵심 備推四訣
69. 근본과 말단을 가려서 미룸 擇推本末
70. 미룸을 쌓고 미룸을 쓰다 貯推用推
71. 터득하고 익힌 것 所得所習
72. 추측의 처음과 끝 推測始終
73. 미룸은 그릇과 같고 헤아림은 그 쓰임과 같다 推如器測如用
74. 허령과 의혹 虛靈及疑惑
75. 추측의 난이 推測難易
76. 앎이 얼마 없다 所知無幾
77. 있거나 없는 추측의 방향 有方無方
78. 형체가 있거나 없는 대상의 미룸 推形有無
79. 미룸과 헤아림을 기름 養推養測
80. 덕에 들어가는 문 入德門
81. 미룸을 잊지 않고, 헤아림은 날로 새롭게 推不忘測日新
82. 세 등급의 실질적 노력 三等實功
83. 미룸을 찾는 방법 覓推方

추측록推測錄 권2

추기측리推氣測理
1. 우주는 하나의 기 大象一氣
2. 기를 헤아려 리를 헤아린다 測氣測理
3. 여러 별의 빠르기는 헤아릴 수 있으나 그 까닭은 알기 어렵다 諸曜遲疾可測 所以然難知
4. 지구와 대기 地體蒙氣
5. 밤낮과 계절 변화는 태양 때문에 생긴다 晝夜冬夏生於太陽
6. 지구는 오른쪽으로 돈다 地球右旋
7. 대기는 천체의 상을 굴절시킨다 蒙氣飜影
8.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달의 기가 서로 접촉하면서 생긴다 潮汐生於地月相切
9. 태양과 별의 궤도는 타원이다 日星道撱圓
10. 기가 모이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氣聚生散死
11. 기의 치우침을 싫어하고 통함을 좋아한다 惡偏勝喜通達
12. 사람과 만물은 기를 의지해 생겨난다 人物賴氣而生
13. 지구에는 상하가 없다 地無上下
14. 하늘과 땅 사이 한랭의 경계 天地間寒界
15. 대기의 차고 따뜻함 蒸氣寒㬉
16. 별들의 굴절된 빛 星宿飜光
17. 보기 드문 모습과 소리를 괴이하게 여긴다 聲色之希罕爲怪
18. 하나인 기의 다른 명칭 一氣異稱
19. 유행지리와 추측지리 流行理推測理
20. 추측지리와 기에는 선후가 있다 推測與氣有先後
21. 리는 기 가운데 있다 理在氣中
22. 심기가 맑으면 이치도 밝아진다 心氣淸而理明
23. 마음은 광채 나는 아름다운 구슬과 같다 心如明珠飜光
24. 기가 하나면 리도 하나이다 氣一理一
25. 수리 數理
26. 기의 형세를 잘못 보다 見失於氣
27. 기를 말하고 보고 체인하고 대처하다 論氣覩氣體認氣通變氣
28. 리는 여러 갈래가 아니다 理非多端
29. 사람과 만물은 기에 잠겨 있다 人物潛於氣
30. 노자의 무와 불교의 공 老氏無佛氏空
31. 기와 물의 경계에는 틈이 없다 氣水無間
32. 음청의 陰晴儀
33. 대기를 통해 비치는 모습은 물을 통해 비치는 현상과 같다 蒙映如水映
34. 기가 따뜻해서 만물을 적신다 氣熱漬物
35. 기가 따뜻하면 바람을 일으킨다 氣熱生風
36. 바람의 차가움과 따뜻함 風寒溫
37. 기와 질의 이어짐은 염색과 접목과 같다 氣質如染物騸木
38. 기는 엉기고 풀린다 氣有凝解
39. 지면은 동식물을 산출한다 地面產物
40. 산천의 변화 山川變易
41. 기를 터득한 사람은 반드시 남보다 뛰어나다 得於氣必尤於人
42. 막고 있는 공기를 통해 보고 듣다 隔氣視聽
43. 추측지리는 유행지리를 표준으로 삼는다 推測以流行理爲準
44. 추측은 중개인과 같다 推測如駔儈
45. 귀신과 화복 鬼神禍福
46. 자연과 사람의 나뉨 天人有分
47. 공기와 물의 오름과 내림 氣水升降
48. 주리와 주기 主理主氣
49. 쌓여서 점차 힘을 발생한다 積漸生力
50. 견문은 멀리까지 미친다 見聞及遠
51. 스스로 터득한 것을 기뻐한다 悅其自得
52. 사람의 하늘과 만물의 하늘 人天物天
53. 추측을 통한 앎의 유무 所得有無
54. 기는 리의 근본이다 氣爲理本
55. 기는 소리와 색깔을 발생시킨다 氣生聲色
56. 각양각색의 물과 불 各㨾水火
57. 형질을 미루어 신도를 헤아린다 推形質測神道
58. 스스로 그러함과 마땅히 그래야 함 自然當然
59. 하늘은 추측하기 어렵다 天難推測

추측록推測錄 권3

추정측성推情測性
1. 사람과 만물의 성정 人物性情
2. 본성의 바름과 바르지 못함을 알다 知其正不正
3. 본성에는 늘어나거나 줄어듦이 없다 性無增減
4. 본성의 배양 養性
5. 버릴 수 있거나 버릴 수 없는 정 情之捨不捨
6. 본성에는 익힘으로 바뀌는 게 있다 性習有遷
7. 실마리를 찾다 尋端緖
8. 흐름을 미루어 물의 근원을 알다 推流知源
9. 추측은 본성에서 생긴다 推測生於性
10. 칠정은 좋음과 싫음에서 나온다 七情出於好惡
11. 사단 四端
12. 본연의 성 本然性
13. 성정의 선악 性情善惡
14. 인정의 변화에는 조리가 있다 情變有條理
15. 본성에는 같음과 다름이 있다 性有同異
16. 본성을 따름과 거스름이 정의 선과 악으로 갈린다 性順逆情善惡
17. 인의예지 仁義禮知
18. 기질과 사리 氣質私利
19. 자연법칙과 마음속의 이치 性理心理
20. 마음속의 이치는 자연법칙에 근본을 둔다 心理本於性理
21. 하나를 위주로 만 가지를 거느리다 主一統萬
22. 기쁨과 분노가 뒤바뀌다 反喜怒
23. 마음과 본성과 이치는 제각기 분별된다 心性理各有分

추측록推測錄 권4

추동측정推動測靜
1. 가고 오고 활동과 휴식에 동정이 있다 往來作息有動靜
2. 고요할 때의 기상 靜時氣像
3. 고요함은 스스로 체인해야 한다 靜須自認
4. 동과 정은 서로 뿌리가 된다 動靜互根
5. 마음의 움직임은 기색에서 드러나고 말에서 노출된다 心動發於氣色露於言辭
6. 행위로 학식을 알다 以行事知學識
7. 고요할 때 길러 활동할 때 쓰다 靜養動用
8. 겉모습과 행동 形貌動作
9. 추측의 미진함 推測未盡
10. 마음이 동정에 능통하다 心通動靜
11. 동정의 극치 動靜極致
12. 글과 말은 마음을 일으킨다 文與言起心
13. 빠른 움직임으로 느린 움직임을 관측하다 以動速測動遲
14. 생긴 본성은 고요함이요 느끼는 것은 움직임이다 生靜感動
15. 정은 침잠하여 탐구하는 의미이다 靜是潛究
16. 성인과 범인의 미발한 중 聖凡未發中
17. 고요할 때 기른다 靜養
18. 감응과 허령 感應虛靈
19. 앎과 행동의 선후 知行先後
20. 엄숙한 몸가짐 威儀
21. 중을 얻음과 잃음 得中失中
22. 미발의 근원과 말단 未發源委
23. 동정과 평탄함과 험함 動靜易險
24. 견문의 관할 見聞有管
25. 삶은 있음에 죽음은 없음에 해당한다 生有死無
26. 극기 克己
27. 일의 동정과 추측 動靜推測
28. 마음의 본체에는 아무것도 없다 本體無物
29. 새벽과 밤에 밝게 비추어 점검하다 晨夜照檢
30. 동정이 어려운 것 動靜所難

주요 용어사전
참고문헌

3권

역해자 서문
기측체의 서문氣測體義 序
<해제> 『기측체의』와 최한기
최한기 연보

추측록推測錄 권5

추기측인推己測人
1. 인심을 화합함 和協人心
2. 본성이 같아도 익힘에 따라 달라진다 性同習異
3. 남과 나의 항상 통하는 도리 物我常道
4. 오직 말에만 이치를 벗어나는 것이 있다 惟言有理外
5. 남의 우열을 헤아림 測人優劣
6. 가르칠 때의 수준 조절 敎人進退
7. 남을 달래는 일은 간하는 일과 같다 諫人如說人
8. 경륜이 있는 사람의 담론 經綸者談論
9. 비방과 칭찬 毀譽
10. 시속에 물든 학문 染俗學問
11. 추구하는 방향의 바름과 바르지 못함 趍向正不正
12. 변화에 대응하여 도수를 고치다 應變改度
13. 기질이 가림에 따라 헤아린 결과도 제각기 다르다 氣質之蔽所測各異
14. 시비와 우열 是非優劣
15. 옛사람을 논하다 論古人
16. 남을 깊이 헤아리면 남도 나를 헤아린다 測人深人亦測我
17. 신분에는 같고 다름이 있다 貴賤有同異
18. 독서로 실제로 얻은 것 讀書實得
19. 여러 학문 말류의 폐단 諸學流弊
20. 남을 관찰하는 기회 觀人機會
21. 일의 본말을 헤아리다 料事本末
22. 말투로 남을 거스리다 辭氣忤人
23. 친족을 사랑하고 현자를 높임 親親尊賢
24. 지조를 지킴과 변절 守操變操
25. 선악을 어쭙잖게 흉내 내다 善惡效嚬
26. 덕을 이룸과 덕을 해침 成德敗德
27. 반대로 시행하고 거꾸로 행하다 反行反爲
28. 옳고 그름, 충성과 간사함을 반대로 본다 反是非忠邪
29. 다름을 미루어 다름을 헤아리다 推異測異
30. 조예를 따라 사람을 헤아리다 隨造詣測人
31. 권하고 징계하는 일로서 남을 헤아리다 勸懲測人
32. 식량 識量
33. 간언의 용납 容諫
34. 친구로 인한 손해와 이익 朋友損益
35. 명성과 실력을 취하거나 버리다 名實取捨
36. 도리와 의리를 밝힘 明道明義
37. 화를 피하다 避禍
38. 의와 이익 義利
39. 알맞음을 들어 비추어 살피다 擧中照察
40. 사람과 동물을 가르치고 기르다 敎養人物
41. 이치에는 보탬이 없고 남의 기능을 보태줌도 없다 無輔於理無益人巧
42. 추측의 깊이 推測淺深
43. 말에는 득실이 있다 言有得失
44. 사람과 물건을 헤아리는 데는 다름이 있다 測人測物有異
45. 스승과 벗의 언행 師友言行
46. 없는 추측과 치우친 추측 無推測及偏推測
47. 참되거나 꾸며서 화려한 말 誠實文華之言
48. 길도 하나 학문도 하나 道一學一
49. 상벌을 실정에 맞게 하다 賞罰稱實
50. 인심의 이합 人心離合
51. 집안이나 나라의 성패 家國成敗
52. 백성과 군사를 거느리다 統御民兵
52. 남과 함께 하는 일 與人共事
53. 존양과 식견 存養及識見
54. 허를 좇아 근본을 세우다 從虛立本
55. 개과천선 改過遷善
56. 자연의 이치를 추측한 것이 좋다 推測天理是善
57. 만나는 사람에 맞게 헤아리다 測人隨遇
58. 말에는 깊이가 있다 言有淺深
59. 덜어냄을 미루어 보탬을 헤아리다 推損測益
60. 깊고 절실한 말과 비유하는 말 深切言引諭言
61. 노자와 불교의 추측 老佛學推測
62. 추측을 논하여 바로잡다 論正推測
63. 내장의 상태는 외면에도 응한다 內臟應外面
64. 서양 종교의 변천 西敎沿革
65. 바른 가르침으로 사람을 감화한다 正敎和人
66. 견문의 많고 적음, 그 거짓과 바름 見聞多少邪正
67. 사람을 부리고 백성을 다스리다 使人制民
68. 자기를 아는 일과 남을 아는 일 自知及知人
69. 스승의 도리를 미루어 임금의 도리를 헤아리다 推師道測君道
70. 추측이 다르게 작동되다 推測異用

추측록推測錄 권6

추물측사推物測事
1. 사물의 취사 取捨事物
2. 성인의 경전은 자연의 경전에 근본을 둔다 聖經本於天經
3. 성인의 경전을 전하며 주석하다 傳注聖經
4. 역대의 경전 주석 歷代注經
5. 살피고 신중해야 하는 역사 논평 論史審愼
6. 경전에는 일상의 도리, 사서에는 다스리는 도리가 있다 經有常史有治
7. 경전은 마음을 다스리는 기물이다 經傳理心之器
8. 예제의 통일 禮制一統
9. 예법과 그 정신을 참작한 조화 禮義參和
10. 음악의 조화 音律協均
11. 오성과 12율 五聲十二律
12. 형벌 刑罰
13. 정치의 조절과 학문의 변천 政損益學沿革
14. 학문에는 참과 허위가 있다 學有誠僞
15. 간지와 화복의 허망 干支禍福虛妄
16. 별 이름에 재앙과 복을 연결한 잘못 星名災祥之非
17. 하도와 낙서는 방술이다 河洛爲方術
18. 형체가 없는 대상은 그릴 수 없다 無形不可圖
19. 물건을 버리면 일을 헤아리는 데 매개가 없다 遺物測事無階
20. 화복은 부부에서 시작된다 禍福造端乎夫婦
21. 인간의 일로서 하늘의 길을 받든다 以人事承天道
22. 미룸과 헤아림은 서로 기다린다 推測相須
23. 옛 법도와 지금의 풍속 古法今俗
24. 같은 일이라도 일치하지 않는다 事同不合
25. 남의 물건을 취함 取人之物
26. 독서와 저술 讀書著述
27. 소멸에는 기한이 있다 消滅有限
28. 일을 헤아리는 우열 度事優劣
29. 사건의 심리로서 들추어내 밝힘 讞獄拔摘
30. 천한 일도 봉직한다 賤事奉職
31. 동식물은 하는 일을 달리한다. 動植異事
32. 세 가지 병에서 찾는 의사 三病求醫
33. 본성의 도리와 의식 性道衣食
34. 나라의 병을 치료한다 醫國醫家
35. 옳고 그름의 본원 是非本原
36. 유연한 방법으로 마음을 닦는다 活法修心
37. 견문과 경험 見聞閱歷
38. 하나의 근본과 예법으로 요약함 一本約禮
39. 본성과 정서를 해치는 일 戕害性情
40. 물건과 나를 번갈아 보다 物我互觀
41. 같은 부류가 아닌 대상을 미룸 所推非類
42. 미룸이 없는 내용은 모두 허구이다 無推皆虛
43. 자연과 인간의 분리 天人隔窒
44. 궁리는 추측만 못 하다 窮理不如推測
45. 사물에 익숙함 事物慣熟
46. 물욕과 망상 物欲妄想
47. 귀와 눈의 기능을 돕다 佐耳佐目
48. 이롭게 쓰는 물건 利用之物
49. 의를 취하고 이익을 버리다 取義捨利
50. 고금 일의 기틀 古今事機
51. 순서대로 나아가다 次序進就
52. 상황에 따라 마땅함을 둔다 隨處有宜
53. 성과 경 誠敬
54. 지식을 재고 덕량을 달아본다 度知識稱德量
55. 중단해서는 안 된다 不宜間斷
56. 바야흐로 생기는 추측 方生推測
57. 추측에는 방법이 있다 推測有方
58. 마땅히 있어야 할 미룸 宜有推
59. 외면만의 미룸 外面推
60. 전례와 형률 典禮刑律
61. 허물을 고쳐서 선으로 옮겨감 遷善改過
62. 하늘 섬김과 땅 섬김 事天事地
63. 학문하고 정치하는 일 爲學爲政
64. 좋아함과 싫어함을 참되게 하다 眞好惡
65. 스스로 터득하다 自得
66. 사물을 관찰하는 방법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觀物有五
67. 색깔을 미루어 사물을 관찰하다 推色觀物
68. 만물이 낳고 기르는 방법을 취하다 取物生養
69. 자주 늘 사용하는 여러 도구 習用諸具
70. 속마음은 소리에서 드러난다 心發於聲
71. 같고 다름을 따지는 피해 辨異同之害
72. 후하게 박하게 하거나 먼저 하고 나중 하는 일 厚薄先後
73. 물욕에도 자연히 치우치지 않은 올바름이 있다 物欲自有中正
74. 서적의 취사 書籍取捨
75. 풍속의 바뀜에 일이 있다 俗移有事
76. 기를 미루고 때를 미룸 推氣推時
77. 물리는 일정해도 사리는 정해짐이 없다 物理有定事理無定
78. 큰 허무와 작은 성실 大虛小實
79. 저술은 미룸을 선택한다 著述擇推
80. 격식의 유무 格式有無
81. 겸손과 사양과 공적과 능력 謙讓功能
82. 사람과 물건의 기가 암석으로 굳어지다 人物氣結成石
83. 중국과 서양 역법의 차이와 같은 점 中西歷異同
84. 통일을 높임은 다스림과 평화를 위한 일이다 尊一統爲治平
85. 무게중심의 수선과 때에 들어맞음 重徑時中
86. 동서 문물의 취사 東西取捨
87. 바다에 선박이 두루 다니다 海舶周通
88. 물건의 성질을 미루어 지구를 헤아리다 推物性測大地
89. 만물이 의지하여 자라다 萬物資育
90. 기용학 器用學
91. 몸은 기물의 근본 身爲器本
92. 무형의 의기 無形儀器
93. 윤전과 나전 輪轉螺轉
94. 가르침을 세운 말과 제작한 기물 立言制器
95. 지지학 地志學

주요 용어사전
참고문헌

저자소개

최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사상가이자 철학자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며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그의 학문은 동아시아 전통 사상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수회 선교사들이 전한 서양의 과학, 기술, 신학, 철학, 의학, 지리, 음악 등 다양한 분야를 수용하여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특히 신학과 철학은 그의 저술을 면밀하게 분석해야만 비판적 수용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데, 현대적 관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다양한 지식을 종합하여 독자적인 19세기 우리 철학을 구축한 당대의 최고 철학자였다.
펼치기
이종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하고, 최한기(崔漢綺)의 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철학)를 받았다. 한국방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으며,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기란 무엇인가』(개정증보판), 『기측체의 역해 Ⅰ, Ⅱ, Ⅲ』, 『서양 문명의 도전과 기의 철학』, 『민족종교와 민의 철학』(공저), 『의산문답』, 『최한기의 운화와 윤리』, 『전래동화·민담의 철학적 이해』, 『전래동화 속의 철학 1~5』,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 논어』, 『주역, 삶에 미학을 입히다』(공저), 『한국 철학 스케치』(공저) 등이 있고, 『쉽고 재미있는 동양고전 30』 등 다수의 철학동화가 있다. 번역서로는 『운화측험』, 『왕양명 실기』, 『공제격치』, 『주희의 철학』(공역),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주역』을 통해 구축한 동서철학 융합의 플랫폼”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