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 ISBN : 9788996541486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1-04-02
책 소개
목차
머리말_국어 공부는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1부 ‘국어’란 무엇일까?
- 낱말에서 문장까지 차근차근 들여다보기
1장 언어의 특성과 국어의 음운을 이해하자
1. 언어의 특성: 규칙성, 사회성, 역사성, 기호성, 창조성
2. 국어의 음운: 모음과 자음
3. 음운의 변동
2장 낱말 공부는 국어 공부의 시작이다
1. 낱말과 형태소
2. 사동과 피동
3. 낱말의 의미: 다의어, 동음이의어, 유의어, 반의어, 관용어
4. 낱말의 형성: 단일어, 복합어
5. 낱말의 분류: 품사
3장 문장을 알면 국어가 보인다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짜임: 홑문장, 겹문장
3. 우리말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
4. 중의적 표현
5. 방언과 남북한의 언어
2부 어떻게 듣고 읽어야 할까?
- 언어를 통한 이해와 감상
1장 제대로 듣고 깐깐하게 듣자
1. 듣기의 특성: 반언어·비언어적 메시지, 장면
2. 수업 들으며 메모하기
3. 광고 보며 설득 전략 파악하기
4. 뉴스나 심층보도의 비판적 듣기
5. 상황별 듣기: 대화, 회의, 토론
2장 비문학적인 글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1. 글을 읽는다는 것의 의미
2. 글의 내용 파악하기
3. 글의 맥락 읽기
4. 종류별 글 읽기
3장 문학적인 글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시가 내게로 왔다
3. 소설의 숲을 거닐다
4. 수필, 편지, 기행문
5. 희곡의 세계
6. 매체 읽기: 광고, 드라마, 영화, 뮤지컬
3부 어떻게 말하고 써야 할까?
- 언어 표현의 달인 되기
1장 쉽고도 어려운 말하기
1. 말하기의 특성: 반언어·비언어적 특성, 완곡어법
2. 대화 상대의 공감 이끌어 내기
3. 전통적 해학 이해하고 재담 활용하기
4. 토론과 토의하기
5. 매체 활용하여 발표하기
2장 삶의 양식이 되는 글쓰기
1. 글쓰기의 필요성과 목적
2. 글 쓰는 과정
3. 개인적 글쓰기: 일기와 편지
4. 문학적 글쓰기: 시와 소설, 수필과 기행문
5. 실용적 글쓰기: 서술형평가에서 서평까지
6. 매체를 활용한 쓰기: 문자메시지에서 소셜 네트워크까지
인용도서 및 참고도서 목록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사동이나 피동은 어쩔 수 없이 행동을 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거나 행동의 주체를 감추는 표현으로 그 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자 하는 화자의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사동이나 피동 표현은 행동하는 주체의 의지를 제거합니다. 결국 누군가 시켜서 하거나 당해서 행동하는 것이 되지요.
어떤 사건에 대해 조심스럽게 의견을 제시할 때 ‘생각하다’나 ‘보다’ 대신에 ‘생각되다’나 ‘보이다’는 피동 표현을 씁니다. 그런데 조심스러움이 지나쳐 ‘생각되어지다’나 ‘보여지다’처럼 피동 표현을 중복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합니다. ‘열려져 있는 문’이나 ‘잘못 쓰여진 말’ 등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말 중에는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이 많습니다. ‘열려 있는 문’, ‘잘못 쓰인 말’ 등으로 사동과 피동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사동과 피동’ 중에서
대화할 때에는 ‘공감적 경청’ 자세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말하는 사람의 내면에 들어가서 그 사람의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역지사지의 자세를 말합니다. 공감적 경청은 말하는 사람에게 무조건 동의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감정적으로 지적으로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듣다’는 ‘귀 기울이다, 청취하다, 들어먹다, 알아먹다, 따르다, 순종하다……’ 등 다양한 뜻을 갖고 있습니다.
두 사람이 대화할 때 말하기와 듣기의 비율은 3:5가 적당합니다. 말하기보다 듣기를 더 많이 하라는 뜻입니다. 대화를 편안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50%만큼 들어주되, 30% 정도 말하고, 20% 정도로 공감을 표현하는 비언어를 섞어야 합니다.
- ‘상황별 듣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