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96940388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0-07-13
책 소개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에서의 유엔의 역할
1. 유엔 대표단의 한반도 상륙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2. 남북한 대치하에서의 유엔의 위기관리
Ⅲ. 한국 전쟁과 유엔의 개입
1. 유엔군사령부의 전쟁 수행과 다국적 군사 협력
Ⅳ. 한국 전쟁 기간 유엔의 민간 구제 활동
1. 유엔군의 전시 민간인 구제 시스템과 활약상
2. 초창기 유엔 전문 기구의 피난민 구제 활동
Ⅴ. 전쟁 폐허의 재건과 유엔
1. 한국 재건을 위한 유엔 전담 기구의 창설과 활동
2. 유엔의 한반도 통일 추진과 경제 복구 지원
3. 아동과 여성을 위한 유엔의 긴급 구호 사업
4. 유엔의 교육 재건 활동 내역
5. 유엔의 보건 위생 지원 활동
Ⅵ. 경제 성장 초기 유엔과 세계은행의 기여
1. 유엔의 한국 근대화 지원 프로젝트
2. 유엔의 경제 개발 견인 역할
3. 유엔의 원자력 기구 창설과 한국의 초기 핵정책
Ⅶ. 나가며
1. 연구의 의미
2. 추가적인 연구 과제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과 유엔은 같은 해인 1945년에 사실상 나란히 출범했다. 한국은 비록 그해 광복과 동시에 주권 국가를 출범시키지는 못했으나, 이때부터 유엔과 숙명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DNA를 공유하는 사이가 되었다. 유엔 헌장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민주 독립 국가, 인도주의, 인권, 국제 평화 같은 키워드가 포함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한국은 유엔이 지향하는 가치와 규범을 적극 수용하며 주권 국가로서의 첫 걸음을 떼기 시작했던 것이다.
_들어가며
한국은 정부 수립 직후부터 거의 모든 역량을 결집하여 유엔과의 협력에 전력투구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이러한 결정이 정치 지도자의 선택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당시 대다수 한국민들의 정서에 따른 것인지는 더 규명해 봐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연한 사실은 한국이 주권 국가로 공식 출범하는 과정에서부터 유엔과 DNA를 공유하는 사이가 되었고, 한국 정부도 출범 직후부터 유엔 산하 기관에 적극 가입하는 정책을 구사했다는 점이다. 한국 전쟁이 터지자 거의 모든 역량을 투입하며 한국 구하기에 나선 유엔의 선택도 이런 맥락에서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_들어가며
2차 세계 대전 직후 미국과 구소련 간의 한반도 관리 방안에 대한 협의가 실패로 돌아가자, 미국이 한반도 문제를 유엔으로 상정하면서 그 결과물로 탄생한 것이 바로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UNTCOK이었다. UNTCOK는 1947년 11월 14일 2차 유엔 총회의 결의에 따라 1948년 5·10 총선거의 공정한 감시 및 관리와 민주적 정부 수립을 위해 설치된 기구로서,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활동했다. 이후 UNTCOK는 1948년 유엔한국위원단UNCOK으로 그 명칭이 변경되기까지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 전후 복구 시기 등 대한민국 건설 과정에서 유엔의 역할을 이끄는 원동력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