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88996969433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제1편 무극보양뜸 의학
제1장 무극보양뜸 의학 총론 21
제1절 | 무극보양뜸 의학 22
1. 무극보양뜸이란 • 22
2. 무극보양뜸의 창시와 변천 • 23
3. 무극보양뜸의 철학적 배경 • 24
제2절 | 무극보양뜸의 구성 27
1. 무극보양뜸의 재료 • 27
2. 뜸이란 무엇인가 • 27
3. 뜸의 기원과 발전 • 28
4. 뜸의 종류 • 30
제3절 | 뜸에 대한 과학적 연구 34
1. 중국의 뜸에 대한 연구 • 34
2. 일본의 뜸에 대한 연구 • 35
3. 미국에서의 뜸에 대한 연구 • 36
제4절 | 무극보양뜸의 일반적인 효능 38
1. 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한다 • 38
2.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 38
3. 혈액의 성분을 개선한다 • 39
4.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 41
5. 신경 기능을 조절한다 • 42
6. 근육의 피로를 풀어 준다 • 43
7. 내장기능을 활성화한다 • 43
8. 진통작용을 한다 • 44
9. 전조작용을 한다 • 45
제5절 | 무극보양뜸의 의학적 특성 48
1. 예방의학 • 49
2. 고효율의학 • 50
3. 난치병을 위한 최후의학 • 52
4. 개방의학 • 53
제2장 무극보양뜸 각론 55
제1절 | 경락경혈학 56
1. 경락계통의 구성 • 56
2. 경락의 기능 • 57
3. 경혈의 개요 • 58
제2절 | 무극보양뜸의 경혈 60
1. 두면부 : 백회 • 60
2. 상복부 : 중완 • 63
3. 하복부 : 기해, 관원, 중극, 수도 • 65
4. 배부 : 폐유, 고황 • 72
5. 상지부 : 곡지 • 75
6. 하지부 : 족삼리 • 77
제3절 | 무극보양뜸의 재료와 기구 81
1. 뜸쑥 • 81
2. 선향 • 83
3. 뜸불 • 84
제4절 | 무극보양뜸 뜨는 법 85
1. 시술 전 준비사항 • 85
1) 뜸뜨는 시간 / 85
2) 뜸뜨는 장소 / 85
3) 준비물품 / 86
4) 뜸뜨는 자세 / 86
2. 시술 시 • 87
1) 뜸봉 만드는 법 / 87
2) 뜸봉을 살에 붙이는 법 / 87
3) 불붙이는 법 / 89
4) 뜸뜨는 횟수와 뜸의 양 / 90
3. 시술 후 • 90
1) 뜸재 처리 / 90
2) 후유증 처리 / 90
3) 뜸자리 고치기 / 91
4) 기타 참고사항/ 91
제5절 | 뜸뜰 때 유의사항 92
1. 뜸을 떠서는 안 될 곳 • 92
2. 뜸을 떠서는 안 될 때 • 92
3. 뜸뜨기 전후 주의사항 • 93
4. 뜸자리가 곪는 것 • 94
5. 뜸 치료 기간 • 95
6. 뜸과 체중 • 97
7. 과하면 독이 된다 • 97
제3장 무극보양뜸 뜸자리 잡기 99
제1절 | 뜸자리 잡는 자세 100
1. 앉아서 잡는 법 • 100
2. 엎드려서 잡는 법 • 101
3. 누워서 잡는 법 • 101
4. 기타 • 101
제2절 | 뜸자리잡기 기준도법 102
1. 자연표지법 • 102
2. 골도분촌법 • 104
3. 동신촌법 • 112
제3절 | 무극보양뜸 뜸자리 잡기 113
1. 머리 : 백회 • 114
2. 상복부 : 중완 • 115
3. 하복부 : 기해, 관원, 중극, 수도 • 115
4. 등 : 폐유, 고황 • 117
5. 팔 : 곡지 • 118
6. 다리 : 족삼리 • 119
제2편 무극보양뜸의 응용
제1장 소화기계 125
제1절 | 소화기의 생리 129
1. 위장 • 129
2. 소장 • 130
3. 대장 • 131
4. 간담 • 134
5. 비장 • 135
6. 췌장 • 136
제2절 | 소화기 질환 137
1. 급성위염 • 137
2. 만성위염 • 139
3. 위궤양 • 140
4. 위경련 • 142
5. 위산과다 • 143
6. 위암 • 144
7. 급성장염 • 149
8. 만성장염 • 150
9. 변비 • 152
10. 간염 • 154
11. 간경화 • 155
12. 황달 • 158
13. 담석증 • 160
14. 간암 • 163
제2장 호흡기계 165
제1절 | 호흡기의 생리 169
1. 호흡기관의 구성 • 169
제2절 | 호흡기 질환 172
1. 감기 • 172
2. 급성후두염 및 기관염 • 175
3. 만성기관지염 • 176
4. 기관지천식 • 178
5. 폐렴 • 180
6. 폐결핵 • 181
7. 늑막염 • 184
8. 폐암 • 185
제3장 순환기계 189
제1절 | 심장의 생리 193
1. 심장의 구조 • 193
2. 혈액순환 • 194
3. 심장제지신경 • 196
4. 심낭의 생리 • 197
제2절 | 임파선의 생리 198
1. 임파선의 생리적 작용 • 198
제3절 | 순환기 질환 199
1. 심내막염 • 199
2. 심장판막증 • 200
3. 심부전 • 202
4. 협심증 • 203
5. 심근경색 • 205
6. 심장성천식 • 207
7. 동맥경화증 • 208
8. 본태성고혈압 • 211
제4장 신경계 213
제1절 | 신경의 생리 218
1. 중추신경 • 218
2. 말초신경 • 221
제2절 | 신경 질환 223
1. 뇌출혈 • 223
2. 뇌연화증 • 225
3. 반신불수 • 227
4. 전간 • 237
5. 파킨슨(진전마비) • 239
6. 두통 • 241
7. 안면신경마비 • 243
8. 삼차신경통 • 245
9. 늑간신경통 • 246
10. 좌골신경통(좌골신경마비) • 248
11. 요통 • 251
12. 정신신경증(히스테리) • 254
13. 불면증 • 256
14. 우울증 • 259
15. 화병 • 261
제5장 근골격계 263
제1절 | 근골격의 생리 267
1. 골격근이란 • 267
2. 골격근의 형태 및 구조 • 267
3. 골격근의 유형 • 268
4. 근육의 운동기능 • 269
5. 길항근 • 269
6. 골격근의 종류 • 271
제2절 | 근골격 질환 272
1. 견관절주위염(견비통) • 272
2. 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 • 274
3. 건초염(활막염) • 277
4. 관절염좌(삠) • 279
5. 주관절통(테니스엘보) • 281
제6장 내분비계 283
제1절 | 내분비의 생리 286
1. 내분비기관 • 286
제2절 | 내분비 질환 288
1. 당뇨병 • 2 88
2. 갑상선기능항진 • 291
3. 갑상선기능저하 • 293
제7장 외과계 295
제1절 | 외과의 개요 300
1. 외과의 정의 • 300
2. 외과의술의 정립 • 300
3. 외과의 분류 • 301
제2절 | 항문의 생리 302
1. 항문의 생리 • 302
2. 관련 질환 • 302
제3절 | 외과 질환 303
1. 치핵 • 303
2. 탈항 • 305
3. 타박증 • 307
4. 독충자상 • 309
5. 동상 • 310
6. 급성임파선염(임파관염) • 312
7. 습진 • 314
8. 백선(무좀, 버짐) • 316
9. 사마귀(우췌) • 319
10. 티눈(못) • 320
11. 원형탈모증 • 322
12. 피부소양증(가려움증) • 323
13. 담마진(두드러기) • 325
제8장 비뇨기계 329
제1절 | 비뇨기의 생리 333
1. 신장 • 333
2. 부신 • 335
3. 방광 • 336
제2절 | 비뇨기 질환 338
1. 급성신장염 • 338
2. 급성신우염 • 339
3. 부종 • 340
4. 요독증 • 342
5. 신장결석 • 343
6. 혈뇨 • 345
7. 방광염 • 346
8. 방광결석 • 348
제9장 생식기계 351
제1절 | 남성 생식기 354
1. 정의 • 354
2. 생리적 특성 • 354
3. 남성 생식기 기능 • 355
제2절 | 여성 생식기 357
1. 정의 • 357
2. 생리적 특성 • 357
3. 여성 생식기 기능 • 358
제3절 | 생식기 질환 361
1. 전립선비대증 • 361
2. 음위 • 364
제10장 부인과계 367
제1절 | 부인과의 생리 370
1. 부인과의 정의 • 370
2. 부인과의 주요 질환 • 370
3. 분만 • 371
제2절 | 부인과 질환 373
1. 무월경 • 373
2. 과다월경 • 374
3. 과소월경(희발월경) • 375
4. 자궁근종 • 376
5. 자궁부속기염 • 377
6. 대하 • 379
7. 자궁후굴 • 380
8. 자궁하수(자궁탈) • 382
9. 자궁암 • 383
10. 불임증 • 385
11. 냉증 • 387
12. 갱년기장애 • 388
13. 임신오조 • 390
14. 임신부종 • 392
15. 유즙부족 • 394
16. 유선염 • 396
제11장 소아과계 397
제1절 | 소아의 생리 400
1. 소천문, 대천문 • 400
2. 유아의 수유 • 400
3. 소아기의 신체적 변화와 성장 • 401
4. 소아기 운동기능의 변화 • 401
5. 소아기 언어의 변화 • 402
6. 소아기 정서의 변화 • 402
7. 소아기 유치의 성장 • 403
제2절 | 소아과 질환 404
1. 토유(습관성구토증) • 404
2. 소아소화불량 • 405
3. 소아발열 • 407
4. 소아천식 • 408
5. 소아급간 • 410
6. 야뇨증 • 412
7. 선병질(허약체질) • 413
제12장 안과계 415
제1절 | 안과의 생리 418
1. 안과 • 418
2. 눈의 구조 • 418
제2절 | 안과 질환 420
1. 눈다래끼(맥립종) • 420
2. 안검경련 • 422
3. 결막염 • 424
4. 트라코마 • 425
5. 플릭텐(삼눈) • 426
6. 야맹증 • 427
7. 백내장 • 429
8. 녹내장 • 431
9. 약시 • 432
10. 안정피로 • 433
11. 노안 • 434
제13장 이비인후과계 435
제1절 | 이(耳)과 439
가. 귀의 생리 • 439
1. 외이 • 439
2. 중이 • 440
3. 내이 • 440
나. 이(耳)과 질환 • 442
1. 중이염 • 442
2. 이통 • 444
3. 이관폐색 • 445
4. 이명 • 446
제2절 | 비(鼻)과 448
가. 코의 생리 • 448
나. 비(鼻)과 질환 • 449
1. 급성비염 • 449
2. 만성비염 • 450
3. 만성부비강염(축농증) • 451
4. 후각감퇴(무후각) • 453
제3절 | 인후(咽喉)과 455
가. 인후의 생리 • 455
1. 인두 • 455
2. 후두 • 456
나. 인후(咽喉)과 질환 • 457
1. 인두염 • 457
2. 후두염 • 458
3. 편도선염 • 459
제14장 치과계 461
제1절 | 치과의 생리 464
1. 치과 • 464
제2절 | 치과 질환 465
1. 치통 • 465
제3편 임상사례
제1장 암(癌) 환자 100명에 대한 ‘구당침뜸’ 치료법 471
제1절 | 서 론 472
제2절 | 본 론 475
1. 암의 정의 • 475
2. 연구절차 • 476
3. 내원한 암 환자 중 100명의 암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476
4. 침뜸치료방법 • 480
5. 100명의 암 환자 중 선별된 5명에 대한 임상사례 분석 • 481
제3절 | 결 론 486
제4절 | 후 기 486
제2장 ‘불임환자’에 대한 무극보양뜸 위주의 치료법 491
제1절 | 임상사례 493
1. 신허 • 494
2. 간기울결 • 496
3. 어혈 • 498
4. 습담 • 499
제2절 | 小 考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