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711756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9-03-2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이 책을 내면서
저자, 감수 소개
제1장 노화와 치매
Ⅰ 여는 말
Ⅱ 인지·인지기능이란 무엇인가
Ⅲ 감각기능·기억기능·지능의 변화
Ⅳ 치매인 이해하기
Ⅴ 노인의 심리를 이해할 때의 기초
제2장 치매케어의 이념
Ⅰ 합당한 케어
Ⅱ 퍼슨 센터드 케어
Ⅲ 치매인에게 귀 기울이기
제3장 고령화에 따른 치매 현황과 향후 전망
1. 고령화 현황과 전망
2. 치매 현황과 전망
3. 치매인구의 증가 예상치
4. 치매에 대한 인식
제4장 치매 케어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Ⅰ 치매케어 발전과정과 최신 경향
1. 한국 치매케어의 발전과정
2. 외국 치매케어 발전과정
Ⅱ 치매인을 위한 지역만들기 사례
1. 호그벡 마을(De Hogeweyk, 네덜란드)
2. 케어팜(Care Farms, 네덜란드)
3. 일본 오오무타시의 치매인이 안심하고 배회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
4. ‘치매보듬마을’ 사업
5.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마을개요
Ⅲ 치매 관리의 과제
1. 생애말기 케어End of life care
2. 영적 케어Spiritual care
3. 진실과 근거에 기초한 케어Factual and evidence based care
4. 역량 있는 케어Care with competence
5. 다직종 연계 케어Multidisciplinary care
Ⅳ 치매케어가 나아갈 방향
제5장 치매의 의학적 특징
Ⅰ 치매의 정의
1. 치매의 정의와 빈도
2. 치매의 원인
Ⅱ 치매의 시작과 조기 개입의 필요성
1. 치매의 시작
2. 치매 조기 개입의 필요성
3. 치매 진단
Ⅲ 원인 질환의 특징과 증후
1. 알츠하이머형 치매
2. 전두측두엽 치매(전두측두엽 변성증)
3. 레비소체형 치매
4. 혈관성 치매
제6장 치매인의 심리적 특징
Ⅰ 치매인의 심리 이해
Ⅱ 생리적 변화와 치매의 상이
Ⅲ 치매의 중핵증상
Ⅳ 치매인이 갖고 있는 심리적 문제
1. 불안
2. 불쾌
3. 초조
4. 혼란(混亂)
5. 피해의식
6. 자발성 저하와 우울증
7. 심한 감정 변화
8. 행동을 정당화하는 행위
Ⅴ 치매인에게 보이는 다양한 행동
1. 문제행동과 행동심리증상BPSD
2. BPSD의 발생원인
3. 케어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BPSD
4. 치매상태의 변화
Ⅵ 치매인의 내적세계 이해하기
제7장 치매인과 사회자원
Ⅰ 치매인과 환경
1. 고령자 환경에 대한 분석 프레임
2. 고령자를 둘러싼 인간관계적 환경과 문화적 및 사회의식적 환경
3. 치매인의 인간관계적 환경·문화적 및 사회적 의식환경의 현황
Ⅱ 치매인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
1. 치매인과 가족 구성
2. 치매인과 가족의 학대
3. 치매인과 지역환경
4. 치매인을 케어하는 가족과 법적 환경
Ⅲ 치매에 걸려도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지향하며
1. 치매인을 둘러싼 인간관계적 환경과 문화적, 사회의식적 환경
제8장 어세스먼트의 의의와 시점
Ⅰ 어세스먼트 의의와 시점
1. 치매인 건강에 대한 관점
2. 검사 데이터
3. 영양상태 관찰
4. 배설상태 확인
Ⅱ 치매인에 대한 자립 지원 시점
1. 일상생활 동작ADL
2. 활동/휴식/수면의 균형 맞추기
3. 환경 기능성
4. 치매인에 대한 안전 지원 시점
5. 치매인의 안심에 대하여
6. 치매인에 대한 개별성의 시점
7. 치매인에 대한 지원 체제의 관점
제9장 치매의 팀 케어와 담당자
Ⅰ 팀 케어
1. 팀과 팀 케어
2. 팀 접근법과 팀 케어
3. 팀 케어에 요구되는 기술
4. 치매의 단계로 대응하는 팀 케어
Ⅱ 팀 케어 담당
1. 치매케어에 관련된 보건 의료·복지 전문직
2. 치매인 옆에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사람들
3. 연계를 추진하는 사람들
제10장 치매의 의학적 특징
Ⅰ 여는 글
Ⅱ 경도인지장애
1. 경도인지장애란
2. 경도인지장애의 시기에 저하하기 쉬운 인지기능
Ⅲ 치매 발병의 위험 요인
1. 운동
2. 영양
3. 지적 활동
4. 사회적 네트워크
5. 정리
Ⅳ 치매 예방 프로그램의 실제
1. 행동 수정 이론을 활용한 워킹 프로그램의 사례
2.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3. 주민에 의한 치매 예방 활동의 실천 사례
Ⅴ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