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설 앙코르 와트

소설 앙코르 와트

(자야바르만 7세, 앙코르 제국의 대왕)

이형종 (지은이)
비움과소통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설 앙코르 와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설 앙코르 와트 (자야바르만 7세, 앙코르 제국의 대왕)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9718855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05-01

책 소개

주캄보디아 대사관 총영사로 근무한 이형종 외교관의 역사.전기소설. 자야바르만 7세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형식으로 앙코르 제국의 역사와 유적을 흥미진진하게 소개한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좌절의 시대
1. 왕도 야소다라푸라
2. 설날 쫄츠남
3. 어경절의 거사
4. 꿀렌 고원
5. 쁘레아 비히어 사원
6. 똔레삽 호수
7. 프놈 펜
8. 메콩 강
9. 변방 몬돌끼리
10. 자야디티푸라
11. 귀환

제2부. 재기의 시대
12. 피신
13. 참파 국
14. 적과의 연맹
15. 참파의 침입
16. 성전 앙코르 와트
17. 앙코르 와트의 서사시
18. 사원 세력
19. 즉위식

제3부. 번영의 시대
20. 하리하랄라야 행차
21. 말리앙의 반역자
22. 융성하는 제국
23. 난다나의 사랑
24. 효심의 사원
25. 참파 정벌
26. 상실과 회복
27. 성도 앙코르 톰
28. 반디따의 소망
29. 중원의 사신
30. 바켕의 일몰

부록
ㆍ앙코르 왕들의 연대기와 유적 일람표
ㆍ앙코르 제국의 영역
ㆍ시엠립 관광지도

저자소개

이형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0년 서울대 외교학과 졸업하고 외교부에 입부. 외교통상부에서 여권과장, 경제기구과장, 주OECD 대표부 참사관 등으로 재직. 2012년 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주캄보디아 대사관에서 총영사로 근무. 現 외교부 소속 외교관.
펼치기

책속에서

붓다는 만인의 평등을 주장했다
자야는 불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자야는 막연하게 불교는 중생들을 불쌍히 여기고 이들이 갖는 삶의 고해에서 해방시켜 주고자 한다고 알고 있었다. 그리고 붓다는 사람은 누구나 수행을 통하여 해탈할 수 있으며 만인의 평등을 주장했다고 들었다.
자야의 부친이 불교도였다고는 하나 앙코르의 백성들이 믿고 있는 보편적 종교는 힌두교였다. 힌두교는 브라흐마, 비슈누 그리고 시바 신을 믿었는데, 이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삼신일체를 이루었다. 힌두교는 인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앙코르 제국 훨씬 이전부터 이 땅의 족장과 통치자들은 힌두교를 받아 들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는데 이용하였다.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새 종교는 불교
수바드라 선사가 잠시 말을 끊었다. 그리고 심각한 표정으로 힘주어 다음 말을 이어나갔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새로운 종교가 필요합니다. 그것은 불교입니다. 불교도 힌두교 못지않게 역사가 깊고 뜻이 거룩합니다. 다만 우리가 인도와 긴밀히 통교하다 보니 그들에게서 흥한 종교를 우리도 공유하게 되어 힌두교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허나 힌두교의 원시성은 제국을 이끌어 가는 이념으로는 부족합니다. 이제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새 정신이 되어야 합니다. 그동안 앙코르의 제왕은 시바 신이나 비슈누 신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서 신과 같은 지위를 가졌습니다. 그래서 왕은 멀리 떨어진 존재였고 궁궐 안에 숨어있는 무시무시하고 신비스러운 존재였습니다. 이제는 제왕이 신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같은 인간인 백성을 이끌어 가야 합니다. 제왕은 많은 중생들의 고해를 이해하고 그들을 구원해야 합니다. 일찍이 수리야바르만 왕도 국교로 시바신을 섬겼으나 불교를 허용했습니다. 그래서 불교도를 지원하여 브라만들을 견제하려 하였습니다. 부왕이신 다란인드라바르만 왕은 불교를 처음으로 왕실에 공식 도입했습니다.”


불교제국에서 자비로써 신민들을 보살펴야겠다
자야도 차츰 힌두교와 불교의 차이에 눈뜨게 되었고, 불교에 귀의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생각했다. 힌두의 왕은 백성이라는 존재관념이 없고 오직 신에게 제사와 사원에 봉헌함으로써 그의 지위를 보존하려 하였다. 나아가 힌두교에 기반한 세계에서 왕은 신과의 특별한 관계 속에서 신에 상응하는 지위를 가졌다. 왕은 신에 준하는 존재가 아니라 우월한 인간의 모습으로 인간들을 이끄는 존재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생각이 자야의 믿음이 되어갔다.
그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여 자신의 제국을 건설하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의 불교제국에서 자비로써 신민들을 보살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