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7639700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8-11-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통일은 한반도의 희망인가
1 멋진 통일 비전이 멋진 미래를 만든다
2 21세기에 맞는 통일 방안은 무엇인가
3 통일 후 북한 성장 모델을 모색한다
4 4차 산업혁명과 한반도의 미래
Ⅱ 조선 레벌루션, 스마트 메가시티
1 북한의 경제 현황과 문제점
2 4차 산업혁명 시대, 북한의 위기
3 북한이 가진 잠재력, 노동력과 지하자원
4 북한 공동화와 시베리아 진출
5 북한 국토개발 계획과 메가시티 건설
6 북한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 구상
Ⅲ 북한의 분야별 21세기 발전 방향
1 정치, 행정 제도
2 교육제도
3 보건복지제도
4 국방과 치안
5 사법제도
6 언론제도
7 과거사 청산
Ⅳ 통일은 언제쯤 가능할까
1 통일 시나리오와 김정은 체제
2 한반도 통일을 위한 대내외 환경
3 통일의 발상 전환, How에서 When으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런 북한이 한국의 미래가 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이냐고 되묻는 사람이 태반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역설적으로, 북한이 바로 경제적으로 폐허 상태이므로, 김정은 체제 붕괴로 기득권까지 무너지면 북한은 하나부터 열까지 전부 다시 시작해야 하므로 가능하다고 본다.
통일 후 철도와 도로를 다시 건설해야 하는 북한은 미래 어느 시점 당시의 가장 선진 시스템으로 도로와 철도를 건설하면 된다.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시대를 뛰어넘어 바로 도로 위에서 스스로 충전이 가능한 무인차용 도로를 건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인프라 따로, 도로 따로, 철도 따로 건설할 필요도 없다. 지하엔 전력망과 에너지 수송관을 묻고, 그 위에 무인차가 다니게 하면 된다. 2층에선 최대 시속 1,200㎞에 이르는 진공튜브열차(하이퍼루프)가 달리게 할 수도 있다. 지하에 전력망이 있기에 따로 전기선을 끌어올 필요도 없다.
한국이 통일을 주도해도 북한의 경제력은 한국을 추월하기 어렵다. 이유는 북한이 한국을 뛰어넘으려면 혁명적 발상이 필요한데, 한국에서 그런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거의 보지 못했다. 이 책의 목적은 바로 이런 상황, 한국이 북한 변화를 주도할 수 있을 때 북한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담하고 혁명적인 상상력을 만들어 보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