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97649013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2-04-20
목차
제 1 부 지역노동시장의 구조
■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식별 : 경남의 고용권역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1. 개념
2. 선행연구
3. 방법론
Intramax 분석 방법
통근권(TTWA) 자급률 분석 방법
4. 자료
Ⅲ. 경남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구조
1. 기초공간단위
2. 시군별 노동유동 기초 분석
1) 시군별 통근 흐름의 현황
2) 시군별 노동유동 지수: 노동수급자급률과 거주지-근무지비율
3. 지역노동시장 권역의 식별
1) 통근권 분석 결과
2) Intramax 분석 결과
4. 고용 권역의 구조와 동향
1) 고용 권역의 구조와 고용 현황
2) 고용 권역별 노동유동
Ⅳ. 결론 : 지역노동시장 권역 식별의 의의
1. 요약
2. 학문적 의의 :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
3. 고용노동부 경남 지역 지방행정관서 관할구역과의 비교
4. 정책적 함의
1) 지역 경제정책의 대상
2) 규모의 경제 실현
3) 관련 조직과 예산의 정비
4) 노동시장정보망의 구축과 활용
Ⅴ. 맺음말
제2부 경남 지역노동시장 권역별 고용동향 :
2011년 1분기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 분석
■ 김해·양산·밀양 권역의 고용 동향
Ⅰ. 고용동향 개관
1. 고용지표 총괄
2. 취업자와 실업자의 변화
3. 고용률과 실업률의 추이
Ⅱ. 부문별 고용동향
1.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
2.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3. 비경제활동인구의 추이
4.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변화 경험
5. 임금 근로자의 고용계약 형태와 기간
Ⅲ. 시사점
■ 창원·함안·의령·창녕권역의 고용 동향
Ⅰ. 고용동향 개관
1. 고용지표 총괄
2. 취업자와 실업자의 변화
3. 고용률과 실업률의 추이
Ⅱ. 부문별 고용동향
1.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
2.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3. 비경제활동인구의 추이
4.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변화 경험
5. 임금근로자의 고용계약 형태와 기간
Ⅲ. 시사점
■ 진주·사천·하동·남해·산청권역의 고용 동향
Ⅰ. 고용동향 개관
1. 주요고용지표와 취업자
2.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3. 비경제활동인구
Ⅱ. 부문별 고용동향
1. 일자리구조의 변화
2. 실업구조의 변화
3. 비경제활동인구의 추이
4.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변화 경험
5.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희망구조
■ 고성·통영·거제 권역의 고용 동향
Ⅰ.고용동향 개관
1. 주요고용지표와 취업자
2.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3. 비경제활동인구
Ⅱ. 부문별 고용동향
1. 일자리구조의 변화
2. 실업구조의 변화
3. 비경제활동인구의 추이
4.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변화 경험
5.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희망구조
■ 함양·거창·합천권역의 고용 동향
Ⅰ. 고용동향 개관
1. 고용지표 총괄
2. 취업자와 실업자의 변화
3. 고용률과 실업률의 추이
Ⅱ. 부문별 고용동향
1.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
2.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3. 비경제활동인구의 추이
4.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의 고용상태 변화 경험
5. 임금 근로자의 고용계약 형태와 기간
Ⅲ. 시사점
■ 경남 소지역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
Ⅰ. 시작하면서
Ⅱ. 데이터 및 연구방법
Ⅲ. 소지역별 일자리 변화와 특징
1. 경제활동권역별 일자리 변화와 특징
2. 시지역의 일자리 변화와 특징
Ⅳ. 정책 함의
제 3 부 경남의 노동 수요와 공급 전망
■ 경남의 노동 수급 중장기 전망
Ⅰ. 서론
1. 국내 인력수급 모델 및 선행연구 검토
Ⅱ. 분석방법 및 통계자료
1. 분석방법
2. 통계자료
3. 노동공급 전망 절차
4. 노동수요 전망 절차
Ⅲ. 노동공급 및 수요변화
1. 노동공급 변화
2. 노동수요 변화
Ⅳ. 노동공급 및 수요예측
1. 노동공급 및 수요예측
2. 노동수요 예측
Ⅴ. 시나리오별 노동수요 전망 및 소결
1. 경제상황 변화에 따른 노동수요 전망
2. 예상시나리오 변화에 따른 노동수요 전망
3. 소결
Ⅵ. 경남 시·군별 노동공급 및 수요전망
1. 시·군 노동수요와 공급 현황
2. 노동 수요와 공급의 전망방법
3. 시·군 노동수요 전망
4. 시·군의 노동공급 전망
5. 시·군별 경제활동인구와 노동수요 전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