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인/연극이야기
· ISBN : 978899787120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5-12-1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배우란 누구인가
1.<정도전>에서 이인임 역으로 주목받았던 박영규
“이인임 역은 먼저 간 아들에게 내가 주는 선물”
2. ‘2인자의 미학(美學)’ 정진각
“버릴 건 버리는 게 좋은 연기”
3. 비현실적 카리스마의 배우 김학철
“좋은 배우란 남의 연기를 잘 받아들이는 배우”
4. 연극계의 차세대 에이스 한명구
“내게 연기는 삶, 숨쉬기와 같아”
5. 연극가족 이룬 전무송
“내 연극의 출발점은 허영”
6. 연극계의 영원한 파수꾼 이호재
“진하게 어울리기엔 연극이 최고”
7. 배우·라디오진행자로 맹활약하는 손숙
“연극은 ‘돌아온 옛사랑’”
8. 50년간 한 해도 공연 거르지 않은 박정자
“대사(臺詞)는 기도(祈禱)다”
9. 모든 연극 장르 섭렵한 김성녀
“배우는 긴 호흡으로 시간을 견뎌야”
10. 8년간 공직생활 마치고 배우로 돌아온 유인촌
“백성희·박정자 같은 배우가 되고 싶다”
11. 쿠웨이트 박(朴) 최주봉
“배우(俳優)는 타인(他人)을 행복하게 해 주는 사람”
12. 마당극 30년 윤문식
“재주도 있고 싸가지도 있는 광대가 진짜 광대”
13. 뮤지컬의 최정원
“최고의 상업극은 최고의 프로페셔널리즘과 통한다”
14. 한 작품을 11년간 연속 공연한 이도경
“연극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15. 개그맨 하다 연극계로 돌아온 이원승
“연극을 하기 위해 피자를 굽는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 좋은 배우란 어떤 존재입니까?
“남들을 진지하게 고민하도록 만드는, 깊고 넓은 화두(話頭)를 던지는 사람, 다양한 삶의 공통분모를 끌어내는 사람이죠. 인생의 가장 밑바닥에서 로 앵글(low angle)로 세상을 바라보는 인간. 사랑하는 사람들의 가슴 속에 들어갔다 나오는 존재. 어느 분야의 사람과도 감정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사람. 그 경지까지 가려면 철학과 연륜을 길러야겠지요. 사관(史觀)도 바로 세우고, 나라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고민도 하고, 정치가는 아니지만 어떻게 보면 정치가 못지않은 기여를 할 수도 있는 존재가 배우니까요. 진정한 소통이란 내 생각과 상대방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고 토론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배우는 그 토론이 열릴 수 있도록 정서적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현존하는 한국 연극연출가 가운데 가장 우뚝한 봉우리가 임영웅(林英雄·78)과 오태석(吳泰錫·74)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임영웅은 한국 신극사(新劇史)의 정통흐름인 리얼리즘 연출론의 계승자이며 오태석은 연극의 원초적인 놀이성과 신명을 우리 정서에 맞춰 되살리고 극대화시킨 창조적 파괴자다.
이 둘과 작업을 함께 했고 이 둘로부터 모두 극찬을 받는 배우, 놀이성과 지적(知的) 서사(敍事)와 진지함 같은 한 몸에 깃들기가 어려운 요소들을 두루 구비한 배우가 있다. 한명구(韓明求·54)다. 많은 연극평론가들은 한명구를 ‘차세대 한국연극의 에이스’로 꼽는다. ‘차세대’라지만 그도 벌써 50대 중반이다. 얼핏 보아 양립(兩立)하기가 쉽지 않을 듯한 두 거장(巨匠)의 연극세계를 누빈 한명구의 능력과 에너지의 원천은 무엇일까. 그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대한민국 현대사는 격동의 역사다. 이 땅에 살던 사람들에게 주어진 건 불확실(不確實)과 불안(不安)이었다. 모두가 당장 내일의 끼니와 생존을 걱정해야 했다. 그래서 갈망했다. 누군가가 중심(中心)을 잡아주었으면, 어떤 고난에도 흔들리지 않고, 어떤 역경을 만나도 묵묵히 자기 역할을 수행해 내는 그런 존재가 있었으면….
그래서 박정자(朴正子·71)다. 관객들은 그녀의 연기가 보여주는 견고함에 감탄하고 그녀의 경력이 증거하는 꾸준함에 탄복한다. 50년이 넘도록 단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공연을 계속하는 집요한 일관성(一貫性), 중성적(中性的)인 음색(音色)에 지나치리만큼 정확한 발음으로 낮게 깔리며 공연장 저 먼 구석까지 흘러가는 목소리, 절제와 자유로운 동작을 오가는 신체연기. 그렇다. 박정자는 ‘이 정도면 우리는 저 배우를 믿고 의지해도 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묵중하고 압도적인 존재감을 무대 위에서 연기처럼 내뿜는 배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