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98480554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5-08-28
책 소개
목차
글을 시작하며
1장 신화란 무엇인가
신화를 향한 여러 시선들
신화와 별이 가득한 밤하늘 | 바벨탑 | 신화를 둘러싼 논의
신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신화 이해를 위한 방법론 | 신화와 상징 | ‘참된 이야기’로서의 신화 | 이인삼각 달리기, 신화와 의례
한 시대와 사회를 읽어내는 신화의 힘
‘신화비평’과 ‘신화분석’ | 깊은 우물
2장 한국의 신화 ,한국인의 사회와 문화
한국신화에 대한 일반적 인식
한국신화의 자리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상징의 의미
단군신화 | 호랑이와 동굴 | 한국신화와 샤머니즘
3장 한국의 대표 신화, 바리공주
바리공주 신화의 기본형과 변형
다양한 판본을 가진 바리공주 신화 | 바리공주 신화의 서사구조 변형
바리공주 신화의 신화소 담론
아들과 딸 | 버려짐, 귀환, 그리고 새로운 버림 | 고난과 조력 | 이승과 저승 | 삶과 죽음
의례와 신화의 합주와 변주
신성함과 의례 | 의례와 신화의 역할 | 통과의례와 사회적 드라마
의례와 바리공주 신화
신화와 실재 | 이항대립과 매개, 그리고 변환
바리공주의 신화분석
재귀하는 신화 | 가부장제 | 중심과 주변 | 권력 | 의례와 신화가 의미하는 것
4장 한국신화의 여러 얼굴들
시작과 끝: 천지왕본풀이
생명과 꽃밭: 생불할망본풀이
죽음의 순환: 강님차사본풀이
운명의 굴레: 삼공본풀이
재물과 수명: 사만이본풀이
타자의 이해: 칠성본풀이
집과 가족: 문전본풀이
삶의 풍요: 세경본풀이
글을 마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들에게 신화에 대해 물어보면 대체로 두 가지 답변으로 압축된다. 하나는 ‘신성한 이야기’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황당한 이야기’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화가 이야기라는 것에는 이의가 없는데, 한쪽은 신성하다 말하고 다른 한쪽은 황당하고 엉뚱한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그 어느 쪽도 아니다.
아무리 고결하고 뛰어난 학문이라고 해도 우리의 삶에 기본적으로 접속이 되어 있어야 의미가 생긴다. 신화 역시 고대적 기념비가 아니기에 그것이 어떤 경로를 통해 우리의 삶이나 사회와 접촉을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것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땅의 신화를 살펴보고 분석해야 하는 이유이다.
곰과 호랑이를 신시의 시민과 대립되는 야생의 상징으로 이해하게 되면 많은 것들이 명확해진다. 곰과 호랑이를 동물원에 있는 동물이 아니라 한반도에 살고 있던 사람들로 보게 되면 단군신화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쑥과 마늘만 먹으며 컴컴한 동굴 속에서 일정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