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9855500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3-07-09
책 소개
목차
제Ⅰ장 문화예술경영의 이론적 지평
01 문화예술경영의 경영학적 토대와 창의적 확산
02 문화예술경영, 복합학문으로서의 전망
03 예술에서의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제Ⅱ장 문화예술시설 경영의 실제
01 문화예술시설, 공공성과 경영효율성
02 박물관 건립계획(Museum planning)의 필요성
03 만화창작 진흥과 박물관의 역할
04 기념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략
05 폐산업시설 활용 예술공간의 운영
제Ⅲ장 문화예술경영의 정책적 전략
01 예술가 해외거주 프로그램(Artist-in-residence)의 확산과 진화
02 문화중심도시와 도시 발전 전략
03 폐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정책의 구도와 방향
04 프랑스 폐산업시설 활용 예술공간 Friche의 역사적 전개와 의의
05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란 무엇인가
수록 논문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문화예술경영은 예술이 갖는 자기 성찰력과 자기 변화력, 그리고 창의성을 사회화하는 활동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매개 활동(극장, 박물관, 미술관이라는 시설을 매개로, 그리고 기획과 교육, 마케팅 등의 활동을 매개로)을 통해 보급하고, 그것이 갖는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활동의 목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문화예술경영학은 실천적인 학문이라 하겠다. 그리고 예술 활동이 벌어지는 생생한 현장에 근거하기 때문에 실무에 기반한 실용학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자체로 학문적 한계가 주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본다. 오히려 실용학문이어서 더욱 매력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곧 환경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하고, 그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동시에 자신을 단일한 분과학문으로 규정하지 않고, 그 방법론을 열어 놓으며, 다양한 적용과 응용을 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늘 새로운 학문적 기반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문화적 가치를 잃지 않는다는 점에서 언제나 창의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학문이라는 사실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