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지역 간호학
· ISBN : 978899860902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12-26
목차
Ⅰ. 이론적 개요와 응용
제1장 지역사회간호학의 개념과 필요성 = 11
1. 지역사회간호와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정의 = 11
2. 지역사회간호 이론의 구성요소 = 11
1) 지역사회간호 대상(지역사회)
2) 지역사회간호 행위(직접간호, 보건교육, 관리)
3) 지역사회간호 목표(건강, 자기건강관리능력의 향상, 적정기능수준 향상)
4) 지역사회간호 과정
5) 기능연속 지표
6) 지역사회간호 방법 및 수단
3. 지역사회간호 개념틀에 관련된 이론 = 28
1) 체계이론
2) 교환과정
3) 기획과정
제2장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 49
1. 직접간호제공자 = 49
2. 교육자 = 50
3. 관리자 = 50
4. 협력자 = 51
5. 상담자 = 51
6. 변화촉진자 = 52
7. 대변자 또는 옹호자 = 52
8. 알선자 = 53
9. 정보수집자 및 보존자 = 53
10. 연구자 = 54
11. 평가자 = 54
12. 사례관련자 = 54
제3장 지역사회간호 과정 = 61
1. 지역사회건강 진단을 위한 정보수집 = 62
2.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지침 및 기준의 확인 = 67
3. 지역사회간호 문제의 우선순위 설정 = 68
4. 우선순위화된 문제별 목적 설정 = 69
5. 방법 및 수단의 선택 = 70
6. 집행계획 = 70
7. 평가계획 = 72
8. 집행계획의 수행 = 73
9. 평가 및 재계획 = 76
Ⅱ. 지역사회간호 실습 지침
제1장 보건소 현장 실습 및 수기 지침 = 105
1. 실습 목적 = 105
2. 실습 목표 = 105
3. 실습 계획 = 105
4. 실습 과제 = 106
5. 보건소, 보건진료소 실습에 관한 Check List = 110
6. 보건소 유형별 행정체계와 특징 = 114
7. 지역보건법에 명시된 보건소 설치 목적과 설치 기준 = 126
8. 조직표의 업무부서에 따른 직무내용 = 128
9. 지역보건법과 실습 현장의 비교 = 130
10. 의료법 시행령 제2조 사항과 실습 현장에서의 간호활동 비교 = 132
11. 지역사회의 정의와 종류의 요약 = 134
12. 지역사회간호의 개념적 틀(김화중의 개념적 틀) = 136
13. 지역사회간호 과정 = 138
14. 지역사회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 140
15. 대상 지역사회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의 분석 = 142
16. 우선순위 설정 = 150
17. 목표설정 = 152
18. 방법 및 수단의 선택 = 154
19. 보건소사업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물적 지역사회자원 = 156
20. 공문서 관리 = 158
21. 부서별 약품 및 물품관리 = 160
22. 실습 소감 = 162
23. 지역사회 실습에 관한 자가평가표 = 164
제2장 학교보건 실습 = 165
1. 실습 목적 = 165
2. 실습 목표 = 165
3. 실습 계획 = 165
4. 실습 과제 = 166
5. 학교보건 실습에 관한 Check List = 170
6. 학교보건 사업의 계획 = 174
7. 학교보건실의 5가지 기본적 업무공간의 설계 = 178
8. 학교보건실의 업무 영역별 설비 및 비품 = 180
9. 정보 시스템에 의한 공문서 관리 = 182
10. 공문서 작성의 예 = 200
11. 각종 기록의 종류와 일례 = 202
12. 의뢰기관 파악 = 204
13. 간호방법 및 수단의 파악 = 206
14. 예산관리 = 208
15. 약품관리 = 210
16. 물품관리 = 212
17. 교육실습일지 작성의 예 = 214
18. 학교보건교육 실습에 관한 자가평가표 = 216
19. 학습지도계획(교안) 작성방법 = 218
20. 학습지도계획(교안)의 일 예 = 228
참고문헌 = 232
부록 = 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