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98680008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13-11-30
책 소개
목차
간행사
머리말 - 나의 학문 나의 실천
김홍남 연보
1. 초기 동아시아의 궁중 미술
북위의 제천의례와 제사건축: 평성기 교사와 명당의 구조와 상징
서윤경
북제 황실석굴과 수련계 연화문: 북향당석굴 북동과 중동 연화문의 연원과 그 의미
소현숙
신라하대 왕릉 조각의 완성,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 재검토: 왕릉 조영과 왕릉 조각의 시기 불일치 문제
임영애
나라 황실의 보고 쇼소인의 나전: 장식 기법을 중심으로
이난희
고려시대 청자 투합의 용도와 조형 계통
장남원
휘종의 매 그림, 복제와 파생의 회화 문화
고연희
원대 북방지역 출토 금은기: 황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국희
2. 조선의 궁궐 미술
조선시대 궁궐의 그림 치장
홍선표
조선시대 군주고사도: 제순고사도를 중심으로
송희경
『세종실록』 「제기도설」의 제정 배경과 조선 초기 예제 미술의 형성
이정은
모리박물관 소장 한국 유물을 통해 본 초기 조선왕실의 물질문화교류: 오우치씨를 중심으로
이상남
중종대 어병 향산구로도와 낙양기영회오로도
유옥경
조선시대 궁중의례용 쌍룡도상의 유형과 함의: 일승일강룡 도상을 중심으로
김주연
'보의'에 관한 소고
명세나
조선궁중의 수화에 대한 시론: 전 인헌왕후작자수의 <춘유방초도>를 중심으로
양수정
조선시대 왕실 소용 도기의 제작 시고
한혜선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의 조형과 성격
윤효정
조선시대 왕실용 백자 관리자로서 상궁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하재일기』의 하상궁 사례를 통하여
구혜인
3. 근대의 궁중 미술
19세기 궁정 조각과 조각가에 대한 연구
조은정
19세기 말 왕실 발원 불사와 서울?경기지역의 불화
최엽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명성황후발인반차도> 연구
박계리
천보구여도의 성격과 그 근대적 계승
김소연
식민지배와 근대성의 표상, 창덕궁 희정당 금강산도
김선정
경복궁 출토 유물로 본 19세기 분원 백자의 제작 특징 및 의미: 소주방지, 흥복전지, 함화당.집경당 행각지를 중심으로
최경화
대한제국기 황실용 백자 이화문 양식기에 관한 연구
송인희
1910년대 한.일 왕실 이미지의 형성과 유통: 『경성일보』와 『매일신보』의 한.일 왕실기사 및 이미지
황빛나.이성례.김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