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미술관/박물관
· ISBN : 978899875178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0-06-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 10
1. 사람 이야기_ 바위 아래 오래된 부처님 얼굴
땅속에서 나타난 오백 명의 나한들 ● 12
나한의 얼굴, 강원의 얼굴 ● 14
강원의 얼굴의 오랜 조상들 ● 16
구석기시대 조상들의 도구 만들기 ● 18
내 고장에 남은 구석기시대의 흔적 ● 20
백두산에서 흑요석을 가져온 사람들 ● 22
신석기시대의 어부와 사냥꾼 ● 24
‘암하노불’이 열어 갈 평화로운 세상 ● 28
2. 집 이야기_ 동굴집에서 패시브하우스까지
찾아서 들어간 동굴집, 나와서 지은 움집 ● 32
신석기시대 움집 마을의 아침 풍경 ● 34
집일까, 무덤일까? ● 36
대학 캠퍼스에서 발견된 석기시대의 동굴집 ● 36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남긴 수수께끼 ● 39
자연에서 문명으로, 달라지는 사람 세상 ● 40
벽을 세워 창을 내고 부뚜막 지어 구들 깔고 ● 42
조상 덕에 따뜻하게 잘 수 있어요 ● 45
귀틀에 굴피 얹고 음매 소도 식구처럼 ● 46
전원주택과 패시브하우스 ● 48
3. 밥 이야기_ 잡곡밥 한 숟갈에 고등어속젓 얹어
옛사람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 52
들쥐에서 매머드까지 ● 52
참돔에서 고래까지 ● 54
칡뿌리에서 도토리죽까지 ● 56
잡곡밥에서 쌀밥까지 ● 57
더 많이! 덜 고르게? ● 60
옛사람들은 어떻게 먹었을까? ● 62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 63
단단하고 매끄럽게 ● 66
무엇을 담는 그릇일까? ● 69
재미있는 옛사람들의 음식 이야기 ● 74
신라의 연회장으로 배달된 강원도 젓갈 택배 ● 74
<홍길동전>과 음식백과 ● 76
4. 자연과 여행 이야기_ 단발령에 올라가 금강산을 그려 볼까?
시인과 화가의 금강산 여행 ● 80
누구나 가고 싶은 그리운 금강산 ● 84
그냥 갈 순 없지, 내친 김에 관동팔경! ● 86
그림에 담은 강원의 풍경들 ● 90
가고 싶지만 갈 수 없는 곳에 대한 상상 ● 94
금강산만 산이냐? 설악산도 산이다! ● 96
찾아가는 산, 찾아드는 산 ● 99
선비가 숨어든 아홉 구비 골짜기 ● 104
산과 산 사이로 강과 길이 굽이굽이 ● 110
또 하나의 산수화, 우리 옛 지도 ● 114
사돈댁을 찾아온 정약용 선생? ● 117
5. 종교와 민속신앙 이야기_ 부처님과 산신령, 누가 더 신통할까?
사자를 탄 문수 씨의 길고도 긴 여행 ● 122
문수보살 퍼즐 맞추기 ● 124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128
부처와 보살은 어떻게 다를까? ● 128 ┃ 부처일까, 보살일까? ● 130
“소원을~ 말해 봐!” ● 132
절집이 산속으로 들어간 까닭 ● 136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 138
“우리 스승님은 부처님 급이야!” ●140
멀리 계신 부처님, 가까운 삼신할미 ● 142
산에는 산신령, 바다에는 영등과 용왕 ● 144
사람이든 신이든 서로서로 사이좋게 ● 147
났노라, 살았노라, 죽었노라! ● 148
청풍부원군은 임금이 내린 가마를 타고 어디로 갔을까? ● 152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최고! ● 154
6. 행정 이야기_ 조선시대 원님들의 일곱 가지 숙제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게! ● 158
그제는 백제, 어제는 고구려, 오늘은 신라의 땅 ● 159
소머리 고을, 아스라이 먼 고을, 북쪽의 작은 수도 ● 162
차별해서 망하고, 오만해서 망하고 ● 166
삭방도에서 강원도까지 ● 172
‘도관찰출척사겸감창안집전수권농관학사제조형옥병마공사’라는 벼슬 ● 176
조선시대 강원도의 공무원은 몇 명이었을까? ● 180
암행어사가 매긴 원님들의 성적표 ● 182
강릉 빼고 양양, 원주 빼고 춘천? ● 184
7. 학교 이야기 _ 공부해서 남 주자!
서당에서 성균관까지 ● 188
‘하늘 천, 따 지’에서 ‘공자 왈, 맹자 왈’까지 ● 190
성균관에 들어가 대과에 합격하는 꿈 ● 191
‘공부의 신’ 이율곡의 합격 보장 공부법? ● 193
“학교가 모자라니 우리가 세웁시다!” ● 194
“그런데 님은 어느 서원 다니시우” ● 196
“훌륭한 스승을 본 받읍시다!” ● 198
8. 여성 이야기 _ 생명을 그리고, 자유를 꿈꾸고, 침략에 맞선 여인들
자연과 생명을 그린 멋진 화가, 신사임당 ● 204
현모양처라고요? 훌륭한 사람입니다! ● 205
작은 생명들을 그린 ‘진경’ 화가 ● 206
사임당의 그림을 감상하는 또 하나의 방법 ● 209
자유를 꿈꿈 시인, 허초희 ● 211
가지와 잎 그리도 향기롭더니 ● 212
맑은 향기는 끝내 죽지 않으니 ● 214
연꽃 스물일곱 송이 붉게 떨어져 ● 215
허난설헌이 쓰고 신사임당이 그리면? ● 217
침략자에게 호통을 친 의병 대장, 윤희순 ● 218
남녀가 유별한들 나라 없이 소용 있나 ● 219
조선 선비의 아내 윤희순의 경고장 ● 222
이름 없는 여인들의, 이름보다 또렷한 뜻 ● 223
총을 든 할머니 교장 선생님 ● 226
“옳은 도리가 무엇인가를 생각하며 살아가길 바란다” ● 227
상자 글 _ 상상하는 박물관, 다시 보는 우리 문화
노잼이 꿀잼 되는 석기 관람법 ● 60 ┃ 시로 느껴 보는 중도식 토기와 중도 문화 ● 72
조선 선비들의 여행법, “그냥 놀면 못써! 읽고 쓰고 깨달아야지!” ● 88
열네 살 소녀의 금강•설악 여행기, “넓은 세상 이 가슴에 품지 못하랴!” ● 102
알고 보면 다시 보이는 ‘팔경’과 ‘구곡’ 이야기 ● 106 ┃ 금동불의 패션쇼, 철불의 침묵 ● 170
세상에 없는 임금의 명령? ● 177 ┃ 나의 반쪽은 어디에 있을까? ● 179
이야기를 마치며 ● 230
사진과 그림 자료 출처와 도움 주신 곳 ● 232
리뷰
책속에서
이 얼굴들 좀 보세요. 웃는 얼굴, 찡그린 얼굴, 기쁜 얼굴, 슬픈 얼굴···, 살짝 토라진 듯한 얼굴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