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9888657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3-11-28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보험이 바꾼 것, 그리고 보험이 바꿔야 할 것들
1장 보험의 탄생
1 보험은 가난에서 시작되었다
-함무라비 법전과 노아의 방주
2 고객은 무엇을 원하는가
-커피와 해상보험
3 사고는 보험을 발전시킨다
-런던 대화재와 화재보험
4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돕는 방법
-보험의 아버지, 벤자민 프랭클린
5 돈보다 소중한 것을 잊지 마라
-미국의 부끄러움, 노예보험
6 고난은 과학과 제도를 발전시킨다
-자연재해는 일본 보험의 원동력
7 남은 사람들을 위하는 마음에서 출발하다
-고아와 과부, 그리고 생명보험
8 한국의 근대보험은 가축에서 출발했다
-농경사회에서 가장 소중한 재산인 소와 보험
2장 보험의 진화
1 먼저 숫자를 이해하라
-아랍인의 숫자와 과학적 사고
2 확률의 나비효과에 주목하라
-파치올리와 카르다노의 승률 분석
3 리스크를 분석하라
-파스칼의 고민과 내기이론
4 리스크를 평가하라
-페르마와 보험수학의 발전
5 위험 분산에 집중하라
-드 므와브르와 생명연금 이론
6 멀리 보는 눈을 가져야 한다
-드 위트와 공적연금의 가치 평가
7 인구의 흐름을 파악하라
-그란트와 인구통계학
8 과학적으로 평가하라
-천체물리학자 핼리와 생명표
9 보험이 필요한 사람은 누구인가
-베르누이 가문과 보험경제학
3장 보험의 조건
1 우연한 사고에 대해서만 보상한다
-도피성은 우연한 사고의 피난처
2 피해를 입은 만큼만 보상한다
-남자와 여자, 그리고 외모에 따른 실손보상의 원칙
3 타인의 물건에 보험을 들 수 없다
-다른 사람의 목숨과 피보험이익의 원칙
4 채무와 빚보증은 끝까지 따라 다닌다
-보증보험의 구상권과 대위의 원칙
5 자살도 우연한 죽음으로 인정할 수 있을까
-불륜 주부의 자살과 최대선의의 원칙
6 모르면 역으로 당한다
-역선택과 고지의무의 원칙
4장 보험의 변화구
1 널뛰듯 변하는 가격의 리스크를 해결하는 법
-보험에서 출발한 선물의 역사
2 옵션도 중요한 위험 헤지 보험이다
-이스라엘의 조상 야곱과 선택권의 거래
3 보증은 약자를 지원하고 상거래를 촉진한다
-보증보험과 신용거래
4 이익이라는 달콤함으로 유혹하는 스왑
-스왑의 부메랑을 조심하라
5장 보험의 과학
1 사람마다 리스크를 보는 눈이 다르다
-손가락 길이와 선택의 차이
2 창조경제는 모험과 보험에서 시작한다
-모험적 기술개발과 보험
3 과학은 보험을 춤추게 한다
-과학기술의 나라 미국과 보험의 발전
4 좋은 기술도 재앙이 될 수 있다
-의료기술과 보험 발전의 패러독스
6장 무엇이 우리를 보호해주는가
1 돈, 은행에 맡기지 마라
-금융자산의 변화와 은행의 미래
2 고령화 시대를 살아가는 기술
-보험과 연금의 톡톡한 효자 노릇
3 리스크 없는 수익은 결코 없다
-금융기관들의 최고 격전지, 퇴직연금 시장
4 보험과 자본시장의 융합을 노려라
-주식을 이용한 보험설계
5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봐라
-보험과 연금이 주식시장을 키운다
6 한 쪽만 보면 덫을 피할 수 없다
-구성의 모순과 금융제도의 함정
7 플러스알파를 갖춰야 살아남는다
-사업비의 딜레마와 설계사의 운명
8 보험증권도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을까
-생명보험의 수익률과 전매제도
9 보험은 행복한 삶의 동반자다
-국민행복 시대의 보험
10 보험은 착한 사마리아인이다
-어려울 때 가장 효자가 되는 보험
11 신뢰가 없으면 발전도 없다
-보험이 살아남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저자소개
책속에서
로이즈는 고객에게 커피를 파는 데 그치지 않고 단골손님이 원하는 정보를 열심히 모아 제공했다. 그 과정에서 그들이 원하는 또 하나의 니즈needs, 즉 보험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발견해 상품까지 만들어 많은 돈을 벌 수 있었다. 끊임없이 고객이 원하는 것을 찾으려는 로이즈의 노력은 오늘날 보험회사나 설계사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이다. 고객이 단순히 돈을 버는 영업의 대상이 아니라,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열정을 쏟을 때 신뢰관계가 구축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새로운 역할이 창출되어 또 다른 수익으로 연결되는 원리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_‘고객은 무엇을 원하는가?’ 중에서
수명이 증가한다는 것은 퇴임 후의 삶이 증가한다는 것과 같다. 때문에 많은 국민들이 연금보험에 더욱 관심을 갖고 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실버산업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금보험과 실버산업을 연계해 통합형 상품으로 개발하면 보험사에게는 새로운 수익모델이 탄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노후준비를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_‘인구의 흐름을 파악하라’ 중에서
21세기 보험시장의 발전은 어떻게 도덕적 위태를 차단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는 보험료 인상 요인을 줄이고 대다수 선량한 보험가입자를 보호하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_‘좋은 기술도 재앙이 될 수 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