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9940274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4-06-30
목차
Chapter 01 교육의 과정과 교육평가의 역할
1. 교육관과 교육평가 15
1) 선발적 교육관 / 2) 발달적 교육관
2. 측정관과 평가관 19
1) 측정관 / 2) 평가관
3. 교육평가의 개념과 학교에서의 교육평가 기능 22
1) 교육평가의 개념 / 2) 학교에서의 교육평가 기능
Chapter 02 교육평가의 유형
1. 교육관 및 참조에 따른 평가 유형 29
1) 규준참조평가 / 2) 준거참조평가 / 3) 능력참조평가 4) 성장참조평가
2. 평가목적 및 시점에 따른 평가 유형 38
1) 진단평가 / 2) 형성평가 / 3) 총합평가 / 4) 진단?형성?총합평가의 비교
Chapter 03 평가도구의 질 판단 조건
1. 타당도 51
1) 내용타당도 / 2) 예언타당도 / 3) 공인타당도 / 4) 구인타당도
2. 신뢰도 60
1) 검사-재검사 신뢰도 / 2) 동형검사 신뢰도 / 3) 반분신뢰도 / 4) 문항 내적 합치도
3. 객관도 67
4. 실용도 69
Chapter 04 교육목표와 평가
1. 교육목표분류학과 인간 행동의 이해 75
1)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와 평가 / 2)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와 평가 / 3) 심체운동기능 영역의 교육목표와 평가
2. Gagne의 학습의 조건 98
1) 언어 정보 / 2) 지적 기능 / 3) 인지전략 / 4) 운동기능 / 5) 태도
3. 교육목표와 평가 105
1) 평가에서 교육목표의 중요성 / 2) 교수목표 진술방법
Chapter 05 정의적 행동특성의 평가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중요성 117
1) 정의적 특성의 개념 / 2) 정의적 특성 평가의 중요성
2.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120
1) 질문지법 / 2) 관찰법 / 3) 평정법 / 4) 사회성 측정법 / 5) 의미분석법 / 6) 투사적 방법
Chapter 06 평가문항의 제작
1. 문항 제작의 조건과 절차 145
1) 평가문항의 제작 조건 / 2) 평가문항의 제작 절차
2. 평가문항의 유형 157
1) 선택형 문항 / 2) 서답형 문항
Chapter 07 평가문항의 분석
1. 문항 분석 189
1) 고전검사이론 / 2) 문항반응이론
2. 점수 보고 206
1) 원점수 / 2) 등위점수 / 3) 백분위와 백분점수 / 4) 표준점수
Chapter 08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217
1) 수행평가의 필요성 / 2) 수행평가의 목적
2. 수행평가의 개념과 관련 용어 224
1) 수행평가의 개념과 특징 / 2) 수행평가 관련 용어
3. 수행평가의 유형과 방법 228
1)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 / 2) 구술시험 / 3) 토론법 4) 실기시험 / 5) 실험?실습 / 6) 면접 / 7) 관찰 / 8)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 / 9) 연구보고서 / 10) 포트폴리오
4. 수행평가의 개발 및 적용절차 241
1) 수행평가 과제 개발 및 내용타당도 검증 / 2) 수행과제 실시 / 3) 수행평가 채점기준 개발 / 4) 채점자 훈련 실시 / 5) 채점 실시 / 6) 채점자내신뢰도와 채점자간신뢰도 검증 / 7) 수행결과에 대한 등급 부여 / 8) 학생과 학부모에게 통보
5. 수행평가의 적용 247
1) 졸업 기념품 제작을 위한 기획안 작성하기 / 2) 수행과제 / 3) 채점기준
Chapter 09 학교생활기록부
1. 학교생활기록부의 성격과 변천과정 255
2.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능과 작성기준 258
1)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능 / 2) 학교생활기록부의 작성기준
3.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요령 265
1)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원칙 / 2)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예시 및 기재요령
4. 교과학습 발달상황의 평가 및 관리 277
1) 학교생활기록부와 성취평가제 / 2)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 3) 평가의 목표, 내용 및 방법 / 4) 학업성적 평가결과의 처리
5. 나이스(NEIS)를 활용한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및 관리 285
Chapter 10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1. 우리나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근거 293
2.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 294
3.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역사적 배경 295
4. 현행 우리나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특징 296
Chapter 11 입학사정관제의 이해
1. 입학사정관제의 개념 303
2. 입학사정관의 자질과 역할 303
3. 미국의 주요 대학 입학사정관제 분석 305
1)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 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 3)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4) Amherst College
4. 입학사정관제 도입의 배경과 현황 309
5. 입학사정관제의 가치와 문제 311
1) 입학사정관제의 긍정적 가치 / 2) 입학사정관제의 문제
6.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 313
1) 입학사정관제의 공통 전형절차와 기준 / 2)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역할 / 3) 대학의 역할 / 4) 고등학교의 역할
7.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 319
1)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 / 2) 학생의 잠재력과 창의성 사정 / 3) 객관적인 평가기준 마련 / 4)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