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린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한 후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내외 여러 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바 있으며, 교육 목적에 관한 여러 글을 저술한 것을 포함하여 이 책 이외의 주요 저서로는 '아동의 권리' '민주주의, 학교교육, 정치교육' 등이 있다. 영국교육철학회의 창립회원이었으며, 교육철학자 국제교류협력 회원이다. 2002년까지 영국 킬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같은 대학교의 명예교수로 있다.
펼치기
김정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University of Keele에서 교육철학을 공부하여 철학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국민대학교, 중앙대학교, 홍익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시간강사를 하였으며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특별연구원을 거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한때 제15대 한국교육철학회장, <한국교육신문> 논설위원, <미래한국> 편집위원, 하이에크 아카데미 원장, 한국청소년개발원 객원연구위원을 역임한 바 있고, 주요 언론에 시사 칼럼을 쓰고 여러 학회에서 활동하였다. 정치철학과 가치문제를 중심으로 공부하다가, 마이클 폴라니와 데이비드 봄의 책을 읽고 번역하면서 문명과 진화 그리고 형이상학적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은 문인(文人)이다.
저서로는 본서인 <폴라니의 암묵적 영역: 의미와 적용>(2025)을 비롯하여, 아동권리향연 시리즈인 <아동권리향연 마당>(2022), <아동권리향연 플러스>(2022), <증보 아동권리향연>(2020)이 있으며, 문명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꾸는 나>(2022)와 <세상을 바꾸는 힘>(2022, 공저)을 낸 바 있다. 그 이전에 <문맹기초연구>(2018), <민주시민교육비판>(2013), <진보의 굴레를 넘어서>(2012), <고혹 평준화해부>(2009), <공교육과 자유주의 교육정책>(2009), <전교조비평>(2008), <서양교육사 절요>(2004), <권리이론과 교육권>(1998)을 썼다.
역서로는 <암묵적 영역(마이클 폴라니)>(개정 2025; 2015), <봄의 창의성(데이비드 봄)>(2021), <권위, 책임, 교육(리처드 피터스)>(2021), <지식의 조건(이스라엘 쉐플러)>(2017), <플라우든 비평(리처드 피터스 편)>(2021, 공역), <초등교육문제론(로버트 디어든)>(2015), <아동의 자유와 민주주의(로즈마리 챔벌린)>(2015), <교육과 개인(브렌다 코헨)>(2014), <교육목적론(콜린 린지)>(2013), <대중을 위한 경제학(진 캘러핸)>(2013,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