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99712111
· 쪽수 : 771쪽
· 출판일 : 2017-07-13
목차
Part I. 보완대체의사소통 소개
Chapter 01.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과정
AAC란 무엇인가
누가 AAC에 의존하는가
AAC 전략에 대한 의존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의 목적
보조 테크놀로지는 해결책의 일부일 뿐이다
미래를 위한 준비
개관
Chapter 02. 메시지 관리: 어휘, 스몰토크 및 내러티브
AAC 메시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화 메시지
의사소통 방식과 상황에 따른 어휘 요구
의사소통 능력에 따른 어휘 요구
어휘 자료
어휘 유지
Chapter 03. 상징과 속도 향상
상징에 대한 개관
상징 이해의 발달
비도구적 상징: 제스처와 발성
비도구적 상징: 수화 체계
도구적 상징: 유형 상징
도구적 상징: 그림 상징
도구적 상징: 철자 및 철자 상징
연합상징 체계
속도 향상 기법
Chapter 04. 대체 접근
선택 세트
선택 기법
피드백
메시지 출력과 입력
Chapter 05. 평가 원리
AAC 중재에 관여하는 사람들
AAC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팀 구성
AAC 평가 모델
평가의 단계
참여 형태와 요구 파악
기회 장벽
접근 장벽
Chapter 06. 특정 능력 평가
능력 평가 접근법 개관
평가 영역
능력 평가의 목적과 양
Chapter 07. 의사결정, 중재 및 사정의 원리
기회 장벽 중재
현재와 미래를 위한 중재 계획 및 이행
중재 성과의 측정 및 평가
추후 관리
Part II.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중재
Chapter 08.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관련 이슈
뇌성마비
지적장애
자폐범주성장애
농맹
아동기 말 실행증
Chapter 09. 초기 의사소통자를 위한 참여와 의사소통 지원
참여 모델과 초기 의사소통자
CCN을 지닌 어린 아동 대상의 기회 장벽 해결과 참여 증진
CCN을 지닌 학령기 아동 대상의 기회 장벽 해결과 참여 증진
CCN을 지닌 청소년과 성인의 기회 장벽 해결과 참여 증진
결론
비상징적 의사소통에 대한 촉진자 반응 훈련
비상징적 의사소통에 대한 반응 및 확장 전략
상징적 의사소통 소개하기: 시각 스케줄과 ‘토킹 스위치’ 기법
Chapter 10. 언어 발달과 중재: 문제점, 지원 및 교수 접근
AAC 의존자의 언어 발달
언어 학습과 발달 지원하기
교수 접근법
Chapter 11. 언어적·사회적 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
의미론적 발달 지원하기
구문론적 발달 지원하기
문법형태소 사용 지원하기
화용언어 발달 지원하기
Chapter 12.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들의 문해 중재
문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생적 문해 기술 촉진하기
관습적 문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중재의 핵심 요소
기본적인 관습적 문해 기술 가르치기: 읽기와 쓰기 학습
진전된 문해 기술 가르치기
문해 지원을 위한 보조 기술
요약
Chapter 13.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학생들의 교육 통합
완전통합교육이란 무엇인가
유아원에서 학교로의 전이
참여 모델: 학급 전체에 대한 조정 계획
참여 모델: 학생 중심의 조정 계획
Part III. 후천성 장애인을 위한 AAC 중재
Chapter 14. 후천성 지체장애를 지닌 성인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길랭-바레 증후군
파킨슨병
뇌간 뇌졸중
결론
Chapter 15. 중도 실어증과 말 실행증을 지닌 성인
실어증 대상 AAC 중재
평가
중재 이슈
Chapter 16. 퇴행성 인지·언어장애를 지닌 성인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치매
헌팅턴병
Chapter 17. 외상성 뇌손상을 지닌 사람들
출현율과 병인
말과 관련된 자연스러운 능력 중재
AAC 수용과 사용 패턴
접근 평가 및 중재
Chapter 18. 집중, 급성 및 장기 치료 환경에서의 AAC
급성치료 환경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급성치료 환경에서 AAC 서비스 제공하기
AAC 중재 모델
자료와 웹 사이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