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9972623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03-10
목차
머리말
제1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제1장 사람과 사회, 사회복지
1. 사람과 복지
2. 인간과 사회
3. 도덕성과 이타주의에 대한 새로운 통찰
4. 새로운 사회복지의 인식과 지향
제2장 현대사회와 사회복지
1. 상호부조의 사회복지
2. 가족과 사회복지
3. 현대사회의 문제와 사회복지
4. 현대 사회복지의 제도적 경향
제3장 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
1. 개념 정의
2. 사회복지의 제도적 특성
3. 사회복지의 정책 범주
4. 사회복지의 공급 방법
제2부 사회복지의 이념과 역사
제4장 사회복지의 동기와 이념
1. 사회복지의 제도적 동기
2. 사회복지의 배경 이념
3. 분배와 정의에 관한 사상
4. 사회복지의 실천적 이념
제5장 각국의 사회복지 역사
1. 근대 이전의 사회복지
2. 16세기 근대국가의 성장과 사회복지
3. 영국의 사회복지
4. 미국의 사회복지
5. 일본의 사회복지
제6장 한국 사회복지 제도사
1. 사회복지 제도의 형성기 (1950~1970년대)
2. 사회복지 제도의 확대기 (1980~1990년대)
3. 사회복지 제도의 변혁기 (2000년대 이후)
4. 우리나라의 현행 사회복지 제도와 체계
제3부 사회복지의 필요와 방법
제7장 사회 문제와 필요
1. 사회 문제란
2. 빈곤과 불평등의 사회 문제
3. 사회적 필요
4. 필요 충족을 위한 공동체의 범주
제8장 사회복지 정책 및 행정
1. 정책과 행정, 실천의 관계
2. 사회복지 정책
3. 사회복지 행정
4. 휴먼서비스의 사회복지 정책과 행정
제9장 사회복지 전문 실천
1.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
2. 개인과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
3. 집단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
4. 매크로 사회복지 실천
5. 자원봉사 실천
제4부 사회복지 분야
제10장 사회복지의 대상 인구
1. 대상 인구
2. 빈곤층 복지
3. 아동복지
4. 노인복지
5. 장애인 복지
6. 소수자 인권 복지
제11장 사회복지 서비스
1. 사회복지 서비스란
2.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형
3. 사회복지 서비스의 장
4. 전문 영역별 사회복지 서비스
제5부 한국 사회복지의 현안
제12장 복지국가의 전망
1. 복지국가란
2. 복지국가의 유형
3. 복지국가에 대한 비판
4. 우리나라 복지국가의 장래
제13장 사회서비스와 거버넌스
1. 사회서비스의 일반적 개념
2.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등장 배경
3. 사회서비스 제도의 발달과 현황
4. 사회서비스의 거버넌스
5. 사회서비스의 민관협력
제14장 커뮤니티 케어
1. 커뮤니티 케어란
2. 커뮤니티 속성의 사회적 돌봄
3. 사회서비스 패러다임 전환과 커뮤니티 케어
4. 커뮤니티 케어의 정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