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지처리치료 매뉴얼

인지처리치료 매뉴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Patricia A. Resick, Candice M. Monson, Kathleen M. Chard (지은이), 이성직 (옮긴이)
학지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지처리치료 매뉴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지처리치료 매뉴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28464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23-02-20

책 소개

PTSD는 전쟁, 자연재해, 사고를 포함한 심각한 사건으로 극한의 공포감을 겪는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과정에서 개인은 심한 불안감,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끼며 일상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울 정도의 고통을 받는다. 개정판은 다양한 대상의 트라우마 치료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집필되었다.

목차

역자 서문

제1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와 인지처리치료의 배경

제1장 인지처리치료의 기원
CPT의 기원
이론적 영향
CPT의 초기 개발
CPT 보급
PTSD 및 CPT의 생물학적 모델
이름의 변경 및 용어에 대한 설명

제2장 CPT에 관한 연구
무작위 대조군 연구
치료의 2차적 조건과 잠재적 조절변인
프로그램 평가/효과성 연구

제2부 임상적인 단계 준비하기

제3장 치료의 고려 사항
CPT는 어떤 내담자에게 적합한가
CPT 프로토콜은 언제 시작해야 하는가
CPT 형식 선택하기
치료 전 평가
사례개념화
[유인물 3-1] PTSD 체크리스트-5(PCL-5): 척도 및 채점
[유인물 3-2] 환자건강설문지-9(PHQ-9): 척도 및 채점

제4장 CPT 개입 준비하기
CPT 소개하기
소크라테스식 대화
치료사의 준비도
치료사의 문제: 치료사의 실수와 교착점
[유인물 4-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인지처리치료: 계약

제3부 CPT 매뉴얼

제5장 PTSD와 CPT 개요: 1회기
1회기의 목표
1회기 절차
안건 설정하기
PTSD의 증상과 기능적 모델에 관한 논의
인지 이론 설명하기
감정의 역할 논의하기
지표 사건 검토하기
치료 설명하기
첫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유인물 5-1] 트라우마 사건 후 PTSD 증상에서의 회복 또는 비회복
[유인물 5-2] 교착점은 무엇인가
[유인물 5-3] CPT 1회기 후 연습과제

제6장 교착점 찾기: 2, 3회기
2, 3회기의 목표
2회기: 트라우마의 충격 검토하기
2회기 절차
자가보고 척도의 내담자 점수 검토하기
내담자가 트라우마 충격진술문을 읽고 교착점 확인하기
트라우마 충격진술문 및 기타 연습과제를 준수하지 않는 문제 해결하기
사건, 생각 및 감정 간의 연결 검토하기
ABC 워크시트 소개하기
교착점을 더 완전하게 설명하고 논의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3회기: 사건, 생각 및 감정 작업하기
3회기의 목표
3회기 절차
자가보고 척도의 내담자 점수 검토하기
내담자의 연습과제 완료 검토하기
ABC 워크시트를 검토하고 사건, 생각 및 감정을 조사하는 데에 사용하기
트라우마 관련 ABC 워크시트를 사용하여 동화된 인지에 도전 시작하기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와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유인물 6-1] 교착점일지
[유인물 6-2] 감정 확인하기 유인물
[유인물 6-3] ABC 워크시트
[유인물 6-3A] ABC 워크시트 예시 1
[유인물 6-3B] ABC 워크시트 예시 2
[유인물 6-3C] ABC 워크시트 예시 3
[유인물 6-4] 교착점 도움 시트
[유인물 6-5] CPT 2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6-6] CPT 3회기 후 연습과제

제7장 지표 사건 다루기: 4, 5회기
4, 5회기의 목표
4회기: 지표 사건 조사하기
4회기 절차
내담자의 ABC 워크시트 검토하기
인지 처리하기: 동화된 교착점 다루기
의도, 책임, 예측 불가능성 구분하기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5회기: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사용하기
5회기 절차
내담자의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검토하기
문제 사고 패턴 워크시트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유인물 7-1] 책임의 수준 유인물
[유인물 7-2]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유인물 7-2A]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예시 1
[유인물 7-2B]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예시 2
[유인물 7-3] 도전질문지 워크시트를 위한 안내
[유인물 7-4] CPT 4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7-5] 문제 사고 패턴 워크시트
[유인물 7-5A] 문제 사고 패턴 워크시트 예시
[유인물 7-6] CPT 5회기 후 연습과제

제8장 자기 도전하는 법 배우기: 6, 7회기
6, 7회기의 목표
6회기: 문제 사고 패턴 워크시트 및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소개하기
6회기 절차 _ 220
치료 반응에 대한 중간 프로토콜 평가 수행하기
문제 사고 패턴 검토하기 워크시트
정신적 외상의 예시가 포함된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7회기: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및 모듈 소개하기
7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다섯 가지 주제에 대한 개요 제공하기
안전 주제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유인물 8-1]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유인물 8-1A]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예시 1
[유인물 8-1B]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예시 2
[유인물 8-1C]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예시 3
[유인물 8-1D]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예시 4
[유인물 8-1E]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예시 5
[유인물 8-2] CPT 6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8-3] 안전 문제 모듈
[유인물 8-4] CPT 7회기 후 연습과제

제9장 트라우마 주제-안전, 신뢰, 힘/통제: 8~10회기
8, 9, 10회기의 목표
8회기: 안전 다루기 및 신뢰 소개하기
8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신뢰 주제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9회기: 신뢰 처리하기 및 힘/통제 소개하기
9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힘/통제 주제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10회기: 힘과 통제 다루기/존중 소개하기
10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뢰의 별 워크시트 및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존중 주제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유인물 9-1] 신뢰 문제 모듈
[유인물 9-2] CPT 8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9-3] 신뢰의 별 워크시트
[유인물 9-3A] 신뢰의 별 워크시트 예시
[유인물 9-4] 힘/통제 문제 모듈
[유인물 9-5] CPT 9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9-6] 힘을 주고받는 방법 유인물
[유인물 9-7] 존중 문제 모듈
[유인물 9-8] CPT 10회기 후 연습과제

제10장 존중, 친밀감 그리고 미래 직면하기: 11, 12회기 및 후속 지도
11, 12회기의 목표
11회기: 존중 검토하기 및 친밀감 소개하기
11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칭찬 주고받기/행동활성화에 대한 과제 검토하기
치료 종결 논의하기
친밀감 주제 소개하기
새로운 연습과제 제공하기
회기 및 연습과제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확인하기
12회기: 친밀감 처리하기 그리고 최종 트라우마 충격진술문
12회기 절차
내담자의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검토하기
내담자의 기존 트라우마 충격진술문과 새로운 트라우마 충격진술문 검토하기
치료과정 및 내담자의 진전 상황 검토하기
미래에 대한 내담자의 목표 확인하기
후속지도 참고 사항
[유인물 10-1] 친밀감 문제 모듈
[유인물 10-2] CPT 11회기 후 연습과제

제4부 치료 방식의 조정과 특별한 고려 사항

제11장 CPT의 변형: 트라우마 진술문이 있는 CPT, 다양한 기간의 CPT, 급성 스트레스장애를 위한 CPT
트라우마 진술문이 있는 CPT
다양한 기간의 CPT
급성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CPT
[유인물 11-1] CPT+A 3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11-2] CPT+A 4회기 후 연습과제
[유인물 11-3] CPT+A 7회기 후 연습과제

제12장 집단 CPT와 성적 학대의 치료를 위한 CPT
집단 CPT
성적 학대를 위한 CPT
[유인물 12-1] 성적 학대를 위한 인지처리치료(CPT-SA): 치료 개요

제13장 다양한 트라우마 유형을 다루는 문제
전투 및 전사의 기풍
성폭행
친밀한 파트너 폭력
재난 및 사고
뇌 손상, 낮은 지능 또는 노화/치매가 있는 내담자의 트라우마
비애가 뒤얽힌 PTSD
청소년기의 트라우마 그리고 다른 발달 기간에 미치는 영향
[유인물 13-1] 도전질문지 워크시트 수정본
[유인물 13-2]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수정본
[유인물 13-3] 신념 도전하기 워크시트 간소화 버전
[유인물 13-4] 비애와 애도에 대한 문제의 예

제14장 다양성과 문화에 걸친 수정
인종/민족 및 성적 지향의 다양성
종교와 도덕성
다른 언어/문화에 대한 CPT 적용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Patricia A. Resick (지은이)    정보 더보기
Duke University의 정신과 및 행동과학 교수이다. 1988년 University of Missouri-St에서 인지처리치료(CPT)를 개발했으며, 외상 회복 센터를 설립하고 기증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국제 외상 스트레스 연구학회(ISTSS), 행동 및 인지치료협회(ABCT) 회장을 역임했다. 그녀는 ISTSS에서 외상 스트레스 분야의 탁월한 과학적 업적으로 Robert S. Laufer 기념상, VA 심리학 지도자 연합의 리더십상, ABCT의 교육/훈련 개인의 탁월한 공헌상, 미국 심리학회 56부(트라우마 심리학)의 평생 공로상을 받았다.
펼치기
Candice M. Mons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있는 Ryerson University의 심리학 교수이다. 미국 및 캐나다 심리학협회의 펠로우이며, 캐나다 심리학회로부터 올해의 외상 스트레스 심리학자상, ISTSS 및 Canadian Council of Professional Psychology Programs에서 전문 교육 우수상을 수상했다. 또한 CPT와 PTSD에 대한 인지행동 결합치료를 포함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치료 개발, 테스트 및 보급과 함께 트라우마의 대인관계 요인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펼치기
Kathleen M. Chard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시내티 재향군인회(VA.) 의료센터 연구 부국장이자 University of Cincinnati의 정신과 및 행동 신경과학 교수이다. VA CPT 시행 이사이며, 미국 전역의 VA 임상의에게 CPT를 보급하는 일을 감독하고 있다. 또한 Journal of Traumatic Stress의 부편집장이자 ISTSS의 이사이다. VA로부터 임상 관리 리더십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Mark Wolcott 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United Service Organization의 Heroes of Military Medicine 상을 받았다. 민간인과 재향군인을 위한 근거 기반 치료의 보급 및 임상 실행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으며, CPT for Sexual Abuse 매뉴얼 개발자이다.
펼치기
이성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Kentucky 상담심리학 박사 전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교수 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한국상담학회 산하 심리치료상담학회 회장 <저서 및 역서> 부모교육 및 상담(공저, 학지사, 2022) ADHD 전문가를 위한 치료 지침서(학지사, 2020) 인지적 관점에서 보는 불안장애와 공포증(공역, 학지사, 2022) <논문> ADHD 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공동, 상담학연구, 2017) 성인기 ADHD 진단 전후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해석현상학적 분석(상담학연구, 2017) College students with ADHD traits and their language styles(공동,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2015)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