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9972935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3-08-10
책 소개
목차
7판 책머리에 부침
1판 책머리에 부침
01 사회학의 탄생과 인간을 위한 사회학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2. 사회학의 태동 배경과 중세사회
3. 사회학은 어떤 학문인가
* 부록: 산업혁명(1차, 2차, 3차, 4차)
02 사회과학이자 경험과학으로서의 사회학
1. 사회학적 관심
2. 사회과학이자 경험과학인 사회학
3. 사회학의 연구영역
* 부록: 자본주의(1.0, 2.0, 3.0, 4.0)
03 사회학을 발전시킨 학자들
1. 콩트(Auguste Comte)
2. 마르크스(Karl Marx)
3. 스펜서(Herbert Spencer)
4. 뒤르켐(Emile Du¨rkheim)
5. 짐멜(Georg Simmel)
6. 베버(Max Weber)
7. 파슨스(Talcott Parsons)
8. 머튼(Robert K. Merton)
9. 푸코(Michel Foucault)
10. 하버마스( Ju¨rgen Habermas)
* 부록: 최근의 사회학자들 I
04 사회학의 연구방법론
1. 사회학적 연구방법이란 무엇인가
2.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
3. 이론적 접근의 중요성과 필요성
4. 과학적 방법
5. 사회조사 방법과 절차
* 부록: 20세기 이후의 사회과학 방법론의 동향
05 사회학의 대표적 이론
1. 구조기능주의이론
2. 갈등이론
3. 상징적 상호작용론
4. 교환이론
5. 민속방법론
6. 해석적 이해의 방법
* 부록: 최근의 사회학자들 II
06 인성과 사회화, 자아
1. 인성
2. 인간의 성격발달에 관한 이론
3. 사회화
4. 자아
5. 사회적 성격
6. 사회심리학이론에서 본 인간의 행동
* 부록: 리스먼(David Riesman)의 고독한 군중
07 문화
1. 문화란 무엇인가
2. 문화의 구조
3. 문화의 구성요소
4. 문화의 기능
5. 문화의 일반적 특성
6.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7. 문화의 종류
8. 문화의 변동
9.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10.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11. 한류와 그 원인, 효과, 한계
* 부록: 구조주의
08 가족제도
1. 가족이란 무엇인가
2. 가족의 정의
3. 가족의 형태
4. 핵가족과 확대가족
5. 가족에 관한 이론
6. 가족의 사회적 기능
7. 가족 변화를 바라보는 시각
8. 변화하는 가족
9.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미래의 가족
10.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가족관
11. 배우자의 선택과 결혼
* 부록: 가족, 무너지는 가정, 아버지 없는 가정
09 종교제도
1. 종교란 무엇인가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4. 종교와 사회변동
5. 변화하는 종교와 종교의 제도화
6. 종교의 세속화
7. 보이지 않는 종교와 시민종교
8. 신흥종교(사이비종교)
9. 한국 사회 종교의 문제점과 대책
* 부록: 종교는 과연 유익한가
10 인구: 저출산과 고령화
1. 인구의 개념과 속성
2. 인구이론 / 302
3. 현대사회의 저출산 이론
4. 인구구조
5. 인구이동
6. 인구변동요인과 그 의미
7. 한국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현상(빠르게 늙어 가는 대한민국)
* 부록: 인구와 경제발전
11 도시화
1. 인간생태학이란 무엇인가
2. 지역사회의 유형(농촌사회와 도시사회)
3. 도시의 유형
4. 도시성
5. 도시화
6. 근교화와 거대도시화
7. 도시의 생태학적 과정
8. 도시의 생태학적 모형
9. 한국의 도시화 과정
* 부록: 현대도시는 슈퍼스타도시의 전성시대
12 일탈행동과 사회통제
1. 일탈이란 무엇인가
2. 일탈행동의 유형
3. 일탈행동의 모순
4. 일탈행동의 기능
5. 일탈행동 관련 이론
6. 사회통제의 선택성과 역기능
7. 일탈의 사회적 효과와 한계
8. 사이버범죄의 특성
13 사회복지제도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2.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필요성
3.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4. 사회복지에서의 인간의 욕구와 자원
5. 사회복지의 목적과 기능
6.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의 범주)
7. 사회복지 발달동기
8. 사회복지의 가치
9.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 부록 I: 한국과 핀란드의 중산층 직장인 가계부 비교
* 부록 II: 사회복지 발달 역사
14 사회계급과 사회계층
1. 사회불평등
2. 사회계층
3. 계층 대 계급
4. 계층체제의 유형
5. 계층구조의 유형
6. 사회계층(계급)이론
7. 계층연구 접근방법
8. 중산층의 정의와 쪼그라드는 한국의 중산층
9. 양극화와 빈곤층
10. 사회이동
* 부록 I: 중남미(Latin America) 사회의 계층과 계급, 아프리카 소국 모리셔스의 계층구조
* 부록 II: 경제민주화
15 세계화
1. 세계화란 무엇인가
2. 개방화·국제화·세계화
3. 세계화의 현상과 발달 배경
4. 세계화의 유형
5. 세계화의 특징
6. 세계화의 충격
7. 세계화의 그늘
8. 세계화의 결과
9. 세계화의 좋은 점
10. 세계화와 위험사회
16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1.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2. 다문화사회 관련 이론
3. 다문화사회의 사회구조 변화와 진입과정
4. 다문화사회에서의 다문화가정
5.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6. 대책 및 제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