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9111202982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5-07-24
목차
머리말: 깨달음으로 가는 첫걸음 1
제1장. 깨달음 11
1.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12
2. 깨달음의 여정: 목적과 목표 22
3. 행복 32
4. 무엇을 깨달아야 할까? 38
제2장. 무아와 극복해야 할 착각들 44
1. 무아 그리고 ‘나’라는 관념: 관찰로 깨닫는 참된 삶 45
2. 허무한 마음이 일어난다면: 집착을 벗어나 자유로 51
3. 극복해야 할 착각들
3-1 첫 번째 착각: 몸을 주체로 보기 58
3-2 두 번째 착각: 생각, 감정, 감각을 내가 일으킨다고 보기 63
3-3 세 번째 착각: 감각을 진짜 대상(실체)으로 보기 68
제3장. 착각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들: 나를 붙잡는 깨달음의 장벽 74
1. 인지적 이유
1-1 무의식의 빠른 속도: 첫 번째 장벽 75
1-2 감각의 생생함: 두 번째 장벽 80
1-3 동화와 일체감: 세 번째 장벽 86
1-4 의지가 나를 강화함: 네 번째 장벽 92
1-5 기억으로 만드는 이야기: 다섯 번째 장벽 99
2. 사회·문화적 이유
2-1 언어 사용의 문제점과 습관: 여섯 번째 장벽 105
2-2 사회적 강화와 집단 환상: 일곱 번째 장벽 110
3. 감정·본능적 이유
3-1 두려움과 불안: 여덟 번째 장벽 116
3-2 비교와 경쟁: 아홉 번째 장벽 121
3-3 감정적 보상 추구: 열 번째 장벽 126
3-4 시간과 변화에 대한 오해: 열한 번째 장벽 132
3-5 진화의 유용성: 열두 번째 장벽 137
4. 실천적 이유
4-1 무관심: 열세 번째 장벽 143
4-2 수행에 대한 오해: 열네 번째 장벽 150
제4장. 수행: 착각을 넘어 자유로 가는 길 156
1. 정견: 수행의 뿌리이자 필수 준비물 157
2. 수행의 의미와 지속: 즐거움이 이어지는 평화의 길 166
3. 수행, 고통이 아닌 즐거움으로: 내려놓음으로 찾는 길 172
4. 내려놓는 수행과 구하는 수행: 부처님 당시와 후대의 비교 181
5. 무상·고·무아관: 쉽고 효율적인 수행 191
6. 위빠사나와 사마타: 마음의 균형과 상기 극복을 위한 수행법 200
7. 형상의 흐름: 세상을 새롭게 보는 렌즈 210
8. 인가(印可): 수행의 끝인가 시작인가? 222
제5장. 감각과 실체: 상(想)이 그린 세상, 그 너머230
1. 감각이란 무엇인가: 창작된 상(想)과 그 너머의 모름 231
2. 감정이란 무엇인가: 수(受)에서 시작된 창작물 246
3. 생각이란 무엇인가: 상(想)과 행(行)이 교차하는 감각의 흐름 254
4. 상(想)과 상(相): 오온, 중관학, 유식학 설명과 비교 264
5. 상(想)과 앎: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깨달음의 경계 278
6. 몸과 마음: 일상의 착각과 불교의 통찰 287
7. 식(識)의 기원과 오온의 본질: 유식학의 현대적 해석 295
제6장. 나를 넘어 하나로: 무아에서 연기까지의 여정 305
1. 무아와 법계: 비움에서 흐름으로, 자유와 충만함으로 306
2. 부처의 삶과 중도: 나를 넘어 흐르는 자유 314
3. 무아의 오해를 넘어: 운명과 책임의 지혜 322
4. 윤회: 연기인가, 생사의 순환인가? 329
제7장. 오류와 변질을 넘어: 깨달음의 본질로 341
1. 부처님 가르침과 불교의 변질: 본래로 돌아가기 342
2. 마음을 실체로 보는 환상: 불교와 수행을 가리는 언어의 덫 351
3. 「아는 것」이 ‘나’라는 착각: 연기와 무아를 거스르는 수행의 오류 360
4. 「이미 다 갖추었다」는 말의 함정: 수행 없는 깨달음은 가능한가? 371
5. 「모름」의 통찰과 불교 개념 실체화 비판: 방편과 집착 사이 379
6. 나는 작동되는가?: 수행이 깊어도 못 받아들이는 통찰388
7. 과학과 불교: 텅 빈 세상과 깨달음의 간극 397
8. 깨달음의 빛: 모든 이에게 열린 길 407
맺음말: 지금, 여기, 깨달음의 길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