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쉽게 배우는 수학
· ISBN : 9791125101765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16-07-20
목차
머리말 / III
아동의 수 세기 기능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 4
가르기와 모으기에서 0으로 가르는 것을 지도하여야 할 것인가 / 7
받아 올림, 받아 내림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 10
덧셈구구와 뺄셈구구란 무엇인가 / 12
받아 올림이 없는 두 자릿수의 덧셈을 덧셈구구의 완성보다 먼저 지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5
가수분해, 피가수분해, 감수분해, 피감수분해란 무엇인가 / 18
수와 숫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 23
“개수”라고 불러야 하나, “수”라고 불러야 하나 / 27
“덧셈식”이라는 용어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가 / 29
덧셈과 뺄셈을 표현하는 도식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 32
1+1=1이라고 약속하면 그렇게 되는가 / 35
우리말 수사와 한자 수사는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 38
수모형이 편리한가, 연결큐브가 편리한가 / 40
10이 7인 수란 무엇인가 / 42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하기와 표준 알고리즘의 지도 순서는 어떻게 결정하는가 / 44
곱셈의 개념을 배 개념으로 지도하기까지 어떤 우여곡절을 겪었나 / 47
곱하기 기호를 쓰는 데 순서를 지켜야 하는가 / 50
자릿값의 원리란 무엇인가 / 53
짝수, 홀수의 정의는 무엇인가 / 55
계산은 무엇이고, 연산은 무엇인가 / 57
19단 외우기는 과연 효과가 있을까 / 58
큰 수의 세 자리 쉼표는 어떻게 지도하여야 하는가 / 59
‘세로식’, ‘가로식’이라는 용어는 적합한가 / 65
혼합계산에서 사칙연산의 계산 순서는 왜 어떻게 정해졌는가 / 70
위치적기수법이 맞는 말인가, 십진기수법이 맞는 말인가 / 74
자연수의 덧, 뺄셈은 몇 자릿수까지 지도해야 하나 / 76
가분수, 대분수는 어떻게 도입되어야 하나 분수 개념 학습 활동은 어떻게 선택하고 배치하여야 하나 / 80
가분수는 어떻게 도입되어야 하나 / 85
대분수는 어떻게 도입되어야 하나 / 89
자연수를 몇씩 묶어 나눈 양으로서의 분수 개념의 도입 / 93
분수 계산의 결과 답을 꼭 대분수로 고쳐야 하나 분수 계산의 결과는 언제나 기약분수로 답해야 하나 / 96
소수 첫째 자리라고 불러야 하나, 소수점 아래 첫째자리라고 불러야 하나 / 98
소수의 오른쪽에 0을 얼마나 붙여 쓸 수 있는가 / 101
소수 나눗셈에서의 몫은 자연수이어야만 하는가 / 104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수 감각 신장은 제한적이다. / 106
몫 분수 지도의 부실함, 어려움 / 110
네모상자모양이라는 명칭을 지도하여야 하는가 / 1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지도할 때에 네모 상자 모양, 둥근 기둥 모양, 공 모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도 좋을까 / 122
반직선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얼마나 유용한 개념인가 / 124
오목다각형을 초등학교에서 지도하여야 할 것인가 / 126
평면도형, 입체도형은 왜 정의 없이 그냥 사용하는가 입체도형의 정의는 왜 다시 예시적 방법으로 퇴화하는가 / 128
각의 변은 선분, 직선, 반직선 중의 어느 것으로 지도해야 하는가 각 ㄱ, ㄴ, ㄷ의 변을 변 ㄴㄷ으로 읽어야 하나, 반직선 ㄴ, ㄷ으로 읽어야 하나 / 131
원의 중심은 어떻게 정의하나 / 135
컴퍼스의 바른 사용법 / 137
직육면체에서 밑면, 옆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가 / 140
각기둥에서 밑면을 정의하는 일이 수월하지 않다. / 142
입체도형을 읽는 방법 / 143
뿔, 기둥에서는 밑면보다 옆면이 먼저 정의되어야 한다 / 145
각뿔의 전개도는 왜 지도하지 않는가 / 148
측정에서 직접비교와 간접비교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 154
시각과 시간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 156
뼘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157
윤년 이야기 / 158
일광절약시간제 / 160
비율보다는 비의 값이라는 용어가 수학적으로 더 가치 있다. / 162
퍼센트 포인트 이야기 / 164
피타고라스 음계와 순정률 / 166
참고문헌 / 168
찾아보기 /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