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감독/배우
· ISBN : 9791128800870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19-04-18
책 소개
목차
01 배우의 시적 언어와 사실주의 연기
02 연기의 미적 체험
03 배우 연기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04 배우의 카리스마
05 마술적 추임새, 셔레이드
06 캐릭터와 관객, 퍼스낼리티
07 정서의 기억과 치유, 앙상블
08 캐릭터 연구
09 관객과 배우의 나르시시즘, 반전과 발견
10 캐릭터의 윤리적 의무와 메서드 연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배우는 신체 훈련으로 기예를 수련하는 존재라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배우를 작품의 주체가 아니라 기능의 한 부분으로 치부한다. 배우는 미적 즐거움의 대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배우는 재능을 타고난다는 고정관념도 이런 평가에 한몫한다. 관객과 배우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배우는 수동적인 존재로서 작품의 주체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배우는 미적 즐거움의 주체이지 객체가 아니다. 배우가 주체로서 작품을 이끌어갈 때 관객이 캐릭터에 감정이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우 미학은 배우의 주관적 가치 판단이 어떻게 관객에게 미적 즐거움으로 전이되는지 규명한다.
- “배우란 무엇인가” 중에서
배우의 몸짓인 ‘셔레이드(charade)’는 정서를 소통하는 기술이다. 셔레이드는 캐릭터의 심리 상태나 성격을 시각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한다. 대사(언어)는 거짓이지만 배우의 몸짓 언어인 셔레이드는 진실에 가깝다. 셔레이드는 인간의 내면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캐릭터의 성격과 심리를 거짓 없이 관객에게 전달한다. 슬픔에 잠긴 캐릭터가 “슬프지 않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감정을 억누르지 못해 스며 나오는 경련이나 손짓을 감출 수는 없다.
- “배우 연기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중에서
캐릭터가 가지는 근원적인 충동과 욕망은 퍼스낼리티의 원천이다. 배우는 캐릭터의 퍼스낼리티를 구축하는 사람이다. 캐릭터의 욕망은 배우에 의해 생명력을 얻는다. 관객은 배우를 통해 캐릭터가 가지는 욕망의 층위를 체험한다. 배우는 캐릭터의 핵심 체험을 알아내고 분석함으로써 욕망을 찾아낸다. 관객에게 캐릭터의 근원적 갈등은 핵심 특성에 의해 형성된다.
- “캐릭터와 관객, 퍼스낼리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