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8548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이상무 만화의 스승
02 이상무 만화의 시작
03 이상무 만화의 영웅
04 이상무 만화의 갈등
05 이상무 만화의 가족
06 이상무 만화의 야구
07 이상무 만화의 도전
08 이상무 만화의 정착
08 이상무 만화의 역할
10 이상무 만화의 전승
책속에서
야구 모자를 푹 눌러쓰고 안경을 쓴 주근깨 선수의 이야기. 탁구공 모양의 동그란 얼굴에 머리카락 두 가닥이 더듬이처럼 길게 나 있는 독고탁이 처음 등장한 작품이다. 주근깨는 변장한 탁의 닉네임이다. 주근깨 소년이 야구를 잘하면 잘할수록 사람들의 관심은 증폭되고 탁이 감추고 싶은 정체가 드러나게 된다. 잘하면 잘할수록 위험해지는 상황. 주근깨 소년은 정체를 들킬까봐 멀리했던 동료들의 도움을 받기도 하고 반대할 줄 알았던 가족으로부터 응원을 받기도 한다.
‘이상무 만화의 영웅’ 중에서
인물의 성격을 전달하기 위한 에피소드와 장면 연출은 <한국인>을 이상무의 대표작으로 꼽기에 손색이 없다. 그중 백미는 형에 대한 분노로 형과 같은 등번호를 달고 라이벌 구단에 입단한 독고탁이 “저 태양은 언젠가는 변해…차갑게 식는다”며 최고의 타자인 형도 언젠가는 패자가 될 것이라고 말하는 대목이다. 독고탁은 곧이어 “내겐 바람이 없어. 있다면 하나… 이후로는 내게 패배가 없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어떤 시련과 고통이 따르더라도 라이벌인 형에게 지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상무 만화의 갈등’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작품 속에서 탁이네 가족이 겪고 있던 문제의 원인들이다. 고령으로 퇴직한 아버지, 장애를 가진 누나, 고시와 스포츠로 신분 상승을 꿈꾸고 이를 통해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한 부모 가정의 아이들. 1970년대를 살았던 이들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던 이런 가족들의 문제는 사실 현재의 복지 기준과 사회 안전망 차원에서 보면 탁이네 가족의 문제나 책임으로만 돌릴 수 없다. 무능한 가장과 돌파구를 찾을 수 없을 만큼 무기력한 가족 구성원의 문제가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국가 사회가 함께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었다.
‘이상무 만화의 가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