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28809811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8-04-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대중음악과 공연 예술
대중음악
공연 예술의 개념과 특징
공연 예술 경영
대중음악 공연의 현황
02 기획 단계
기획
조직화
03 제작 단계
섭외
대관
무대와 무대장치, 하드웨어 선정
마케팅
홍보
입장권 판매
펀드레이징
04 실행 단계
무대 · 하드웨어 시스템 설치와 점검
큐시트 작성
스태프 회의
리허설
공연 진행
공연 정리
05 결산과 평가 단계
결산 · 평가 항목
평가 결과의 환류
06 융합형 대중음악 공연 기획
융합 콘텐츠
CT
공연 콘텐츠의 융합 유형
융합형 대중음악 공연 기획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중음악 공연은 대중음악을 공연의 주요 소재로 하는 공연 예술의 한 장르이며, 대중음악과 함께 댄스나 연기 등의 퍼포먼스와 무대 기술, 영상 기술을 비롯한 첨단 기술이 공연의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 대중음악 공연은 노래가 포함된 공연과 노래가 포함되지 않은 공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실제로 상당수의 공연은 노래가 포함된다. 노래가 없고 연주만으로 구성되는 공연은 재즈 공연이나 특정 악기의 연주회 등이지만 양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다. 한 대중음악 공연은 음악 장르에 따라서 분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음악 장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격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한국의 대중음악 장르는 대략 발라드, 포크, 재즈, 록, 댄스, 힙합, 트로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음악 장르에 따른 공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_ “01 대중음악과 공연 예술” 중에서
기획 단계에서는 무엇보다도 공연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연 아이디어는 공연 기획의 모체와도 같은 것이며, 아이디어가 얼마나 독창적이고 예술적 가치를 담보할 수 있으며 그 시점에서 시장의 요구를 잘 담아낸 것인가 하는 점이 공연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핵심 내용이기 때문이다.공연 기획 아이디어는 어떤 동기를 담게 되는데 영리, 명성, 문화 복지, 이외 특별한 개별적 동기 등을 목적으로 공연이 기획되며, 기획자는 공연 기획의 전반에서 이런 동기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민간 차원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대중음악 공연은 영리적 목적을 저변에 두고 있으나 기획자는 영리 추구 이외에 예술성 제고, 사회 공익 실현 등 함께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_ “02 기획 단계” 중에서
네트워크 기술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먼 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공연을 실시간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나아가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해 여러 곳에서 동시에 이뤄지는 각각의 공연을 하나의 무대에서 실연시킴으로써 융합 공연을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대중음악 공연을 예를 들면 댄서들은 부산의 스튜디오에서, 연주자들은 광주의 합주실에서, 가수는 관객들이 모여 있는 서울의 공연장에서 동시에 공연에 참여할 수 있으며, 부산과 광주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는 서울의 공연장에서 첨단 영상 기술을 통해 가수의 퍼포먼스와 함께 관객들에게 제공된다.
_ “06 융합형 대중음악 공연 기획”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