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10633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18-12-28
책 소개
목차
01 비디오게임, 정의와 캐릭터
02 1980년대 이후 비디오게임
03 아케이드 게임기
04 거치형 콘솔 게임기
05 휴대형 콘솔 게임기
06 비디오게임의 장르
07 시뮬레이션 게임과 롤플레잉 게임
08 비디오게임 판매 방식의 변천
09 한국 비디오게임의 시대별 변화
10 한국 발매 콘솔 기기와 게임
책속에서
기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의 규칙에 따라 처리되고, 진행 중인 내용이나 결과가 디지털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것이 다른 게임과 구분되는 비디오게임의 특징이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내용은 그림이 될 수도 있고, 글자, 소리 등 다양한 디지털 신호가 포함된다.
비디오게임은 크게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두 개의 조합으로 다양한 비디오게임을 즐길 수 있다. 어떤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피시 게임, 콘솔 게임, 휴대용 게임, 아케이드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비디오게임, 정의와 캐릭터’ 중
시뮬레이션 게임은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없는 것을 게임 내에서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일종의 모의 시험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 피시(PC) 게임에서 발달한 장르로 피시에서 성공을 거둔 작품들이 콘솔로 이식되는 경향이 높다. 시뮬레이션 게임은 건설 시뮬레이션, 육성 시뮬레이션, 전략 시뮬레이션, 연애 시뮬레이션, 비행 시뮬레이션, 드라이빙 시뮬레이션, 인생 시뮬레이션, 스포츠 시뮬레이션 등의 하위 장르로 나뉜다.
현실적인 요소를 얼마나 잘 반영했는지는 일반적인 장르의 게임이냐, 시뮬레이션 장르에 특화된 게임이냐를 가르는 요소다. 하지만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게임에 너무 많은 것을 담다 보면 게임의 본질인 재미를 찾기 쉽지 않으므로 어디까지 재미를 추구하고, 어디까지 현실 반영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두 가지를 적절히 배합해야 시장에서 성공하는 게임이 되기 때문이다.
‘시뮬레이션 게임과 롤플레잉 게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