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10749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01 만화와 게임의 관계성
02 만화와 게임의 발전 방향과 요소
03 일본 만화와 게임: 초기 시대적 상황
04 북미 만화와 게임: 초기 시대적 상황
05 일본 만화와 게임: 현 상황 및 발전 방향
06 북미 만화와 게임: 현 상황 및 발전 방향
07 만화의 게임화 사례 분석
08 게임의 만화화 사례 분석
09 만화와 게임 OSMU 성공 전략
10 차세대 만화와 게임의 미래
책속에서
한 개의 만화 혹은 게임이 성공하면 다른 미디어로 제작되는 것은 현재에는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런 개념을 OSMU(One Source Multi Use)라고 하며, 글자 그대로 원소스멀티유즈, 즉 하나의 콘텐츠를 만화, 게임, 영화, 음반, 애니메이션, 캐릭터 상품, 책 등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인기를 끈 하나의 소재를 다양한 상품으로 변형해 만들어 판매하면 기본적인 마케팅 비용은 줄이면서도 수익 구조를 다양화하고 제품 판매를 촉진하는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만화와 게임의 관계성 ’ 중에서
게임은 크게 만화를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과 그렇지 않은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만화가 큰 성공을 거두면 파생작품으로 게임을 선택하는 때도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드래곤 볼>을 들 수 있다. 이런 작품들을 만화 IP를 기본으로 한 작품이라고 하며, 여기서 IP(Intellectual Property)란 지적 재산권을 의미한다. 게임 자체의 재미만을 바탕으로 제작하는 때도 있지만, 만화에서 생성된 캐릭터성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게임을 제작하게 되면 게임을 접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친숙한 내용을 바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므로 게임이 성공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만화와 게임의 발전 방향과 요소’ 중에서
OSMU의 가장 큰 핵심은 원본 콘텐츠의 질이라고 할 수 있다. 원본 콘텐츠의 질이 높으면 동시에 여러 방면으로 사업을 진행해서 성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오히려 크게 실패하는 경우도 생긴다. 매력적이고 재미있는 콘텐츠가 여러 개 나온다면 소비자 관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원본 콘텐츠 혹은 기획 단계에서 이를 굉장히 조심스럽게 생각하고 콘텐츠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만화와 게임 OSMU 성공 전략’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