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10909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18-07-15
책 소개
목차
01 서민에 의한, 서민을 위한
02 <고바우 영감>의 탄생
03 풍자와 해학의 이중주
04 두둑한 배짱과 단단한 자존심
05 만화에 ‘필화’가 웬 말?
06 검열의 시대와 만화
07 밀려드는 독자의 편지
08 ‘이민’을 가라는 협박
09 민주화 이후의 풍속도
10 원고지에서 캔버스로
저자소개
책속에서
김성환은 한 언론사와의 한 인터뷰에서 “왜 만화가가 되었는가?”란 질문에 “돈을 벌기 위해서”라고 대답한 바 있다. 실제 김성환은 ‘돈을 벌기 위해’ 만화가가 되었다고 한다. 김성환은 1949년 18세의 고등학생 신분으로 ≪연합신문≫(1949.1.22, 양우정 창간)에 <멍텅구리>를 연재하며 만화가로 데뷔했다. 이를 통해 학비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멍텅구리>는 14회까지 연재됐는데, 당시 다른 작가의 만화가 7∼8회 연재되다 중단되었던 것에 비추어 보면 획기적인 일이었다. 이후 김성환은 여러 잡지에 만화를 실을 기회를 얻게 된다.
‘서민에 의한, 서민을 위한’ 중에서
고등학교 재학 시절에는 책상이 없던 형편이라 김성환은 방바닥에 엎드려 그림을 그렸다. 1949년 고등학교 2학년이 되던 해, 혼자 연습해 그린 만화를 신문사에 보냈다. 학비를 벌어 볼 생각이었다. 이는 ≪연합신문≫에 실렸고, 이 일로 김성환은 만화가로 데뷔할 수 있었다. 당시 그는 ‘18세’라는 어린 나이였다. 곧 김성환은 다양한 잡지에 만화를 실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고바우 영감>의 탄생’ 중에서
<고바우 영감>이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동아일보≫에 연재되던 초기 1년여 동안은 생활 주변 소재를 담은 팬터마임 형식의 유머와 가벼운 세태 풍자를 담았다. 코믹 스트립의 네 컷 형식을 취한 만화로서 이는 당연한 것이었다. ≪동아일보≫ 1955년 2월 1일 자에 실린 첫 번째 만화는 고바우 영감이 추운 날씨에 방안에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화롯불을 쬐고 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곧 고바우 영감이 밖으로 나가 비닐하우스로 들어가고, 그 안에 있던 화분을 모두 밖으로 꺼내 놓고 하우스 안에 누워 햇볕을 쬐는 내용을 담아 웃음을 자아냈다.
‘풍자와 해학의 이중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