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김수철, 윤신희, 전규찬, 박성우, 김한상, 이광석, 이희영, 방희경, 류지현, 이용균 (지은이)
앨피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900원 -10% 590원 10,120원 >

책 이미지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430575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모빌리티 사회이론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모은 국내 연구자들의 모빌리티 인문학 연구서. 대상과 매개, 행위성 측면에서 모빌리티 연구를 전개한다. 모빌리티 ‘대상’은 도시 공간, ‘매개’는 미디어 테크놀로지, ‘행위성’은 인적 모빌리티라는 구체적인 분야로 접근한다.

목차

머리말 모빌리티 사회이론과 생활세계_ 김수철

1부 모빌리티와 사회적 공간의 생산

모빌리티스 개념에 관한 지리학적 성찰 _ 윤신희

뉴 모빌리티스Mobilities 개념의 선행 이론
새로운 모빌리티스 개념 및 네트워크 공간
고-이동성 사회의 새로운 자본 출현

위기의 도시 공간에서 문화연구하기: 존 피스크의 비판적 공간사유를 다시 읽기_ 전규찬
재난의 도시 공간 현실과 문화연구의 탈문맥화 위기
도시 공간의 문제 설정과 한국 미디어문화연구의 궤적
피스크, 도시 공간의 위기 스테이트state를 절망적으로 응시하다
산책의 가능성과 위기 시대 도시 변용의 문화주의 전술
도시라는 이상한 희망의 공간에서 지속하는 변증법적 문화연구
고현학考現學, 생명 위기의 도시 현실 참여를 위한 문화연구 방법론

초국적 모빌리티 시대의 도시 공간: 타자와 공생 _ 김수철 … 119
타자와의 대면을 이론화하기
다문화주의의 위기: 내적 위기와 외적 위기
공생: 도시 공간에서 타자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 찾기
메트로폴리스와 공통적인 것the common
‘투과도시porous city’ 그리고 협력의 가능성
타자와 도시 공간 이론

2부 모빌리티와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진화

미디어화와 소외: 모빌리티 시대의 파르마콘_ 박성우

포스트미디어시대와 미디어 테크놀로지
미디어화 논의
쿨드리의 미디어화 연구 사례들
미디어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선 미디어화의 철학적 문제들

‘테크노피아’ -1980년대 자동화 담론과 새로운 이동체계_ 김한상
“인간과 기술의 만남”
80년대의 자동화 열풍
자동기계와의 충돌
자동화와 도시 공간의 재구조화
신자유주의의 에토스로서 자동화

동시대 청년의 모바일 노동문화 연구_ 이광석
청년, 노동과 테크노미디어
청년 알바노동의 물질적 조건
청년 ‘모바일 노동문화’ 연구, 출발과 방법
청년 알바의 재구성: ‘모바일 노동문화’의 다면적 관찰
모바일 청년 노동문화의 다른 경로

3부 모빌리티와 인간의 이동

국제 인권장치와 비극의 서사: 독일로 간 탈북 난민들의 삶에 관한 보고서_ 이희영

국제 난민에게 ‘이동을 허하다’
21세기 탈북 난민과 국제 인권장치
자본주의 사회의 위물성과 비극 서사의 (재)구성
탈북 난민에서 유럽 사회의 국민으로
국제 인권장치와 초국적 탈북 난민의 탄생

서울 지하철 모빌리티와 여성 경험: 근대적이고도, 전근대적인_ 방희경.류지현
지하철 공간에 대한 ‘어젠더/어젠다a-gender/agenda’
자기기술지auto-ethnography 방법론
지하철 등장과 변화의 사회구조적 배경
특성 없는 공간, 특성 없는 인간
서울 지하철, 여성의 경험, 그리고 장소
지하철 모빌리티 공간과 여성 주체성

모빌리티의 생성과 모빌리티 렌즈로 보는 세상 읽기: 광주에서 오키나와로의 이동을 중심으로 _ 이용균
모빌리티의 생성
모빌리티 렌즈로 세상 읽기

저자소개

전규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영어영문학과(학사) University of Illinois 커뮤니케이션(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 커뮤니케이션(박사) 경력: 한국방송개발원 선임연구원, 강원대학교 부교수, MBC 평가원, EBS 시청자위원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교수 저서: 『다큐멘터리의 역사』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창작론』 『TV 이후의 텔레비전』 등
펼치기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김한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샌디에이고(UCSD)와 라이스대에서 박사후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조국근대화를 유람하기: 박정희 정권 홍보드라이브, “팔도강산” 10년》, 《김승호: 아버지의 얼굴, 한국영화의 초상》(공저), The Palgrave Handbook of Mass Dictatorship(공저), Cultures of Yusin: South Korea in the 1970s(공저) 등이 있으며, The Journal of Asian Studies와 Journal of Korean Studies, 《역사비평》, 《사회와 역사》 등에 논문을 실었다.
펼치기
이용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빌리티, 이주, 인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구와 사회》, 《모빌리티인문학의 적용과 모델링》(공저), 《모빌리티 에토스 공통문화》(공저), 《모빌리티 생활세계학》(공저), 《글로벌 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 등이 있다.
펼치기
방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대우교수다. 동국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쳤고, 서강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문화 연구와 담론 연구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2021, 공저),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2019, 공저), <김성환>(2018), <PD 저널리즘: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일탈>(200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디어문화 연구자로 현재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대중문화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다. 미디어 기술의 기술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도시 공간, 모빌리티, 대중문화, 문화산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그 결과를 다수의 국내외 학술저 널에 출판했다. 주요 저역서로는 『모빌리티 인프라스트럭처와 생활세계』(공저, 2020),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2019), 『마르크스, TV를 켜다: 마르크스주의 미디어 연구의 쟁점과 전망』(공역,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우송대학교 글로벌미디어영상학과 교수이다. 비재현적 방식의 문화 연구, 디지털과 기술 철학, 언론과 권력의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런던 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 문화연구센터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1년까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누군가의 사물인터넷, 디지털시대의 정신병리학’ 국제 연구 협업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현재 새물결 출판사 인문학적 기술 비평 총서 ‘UP TO YOU’ 시리즈의 공동 에디터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 한국의 언론과 언론운동 성찰』(공저),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자동화 사회 1: 알고리즘 인문학과 노동의 미래』(공역), 『인터넷, 신화를 넘어 공공성으로』(공역)가 있다. 연구 논문으로는 「미디어화, 해방과 소외의 파르마콘」, 「기술적 대상과 디지털 밀리유의 정치경제학: 질베르 시몽동과 기술문화연구의 접합」, 「버밍엄 문화연구에 대한 재고찰과 비재현적 문화연구의 필요성: 스튜어트 홀과 주요 연구자들의 사유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윤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 지리학과에서 인문지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모빌리티스 주요 구성요인의 타당성 검증>, <새로운 공간 개념으로서의 모빌리티스>, <모빌리티스Mobilities 개념의 주요 구성 요소 및 측정변수 분석>, <새로운 모빌리티스New Mobilities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이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독일 카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분단의 행위자 네트워크와 수행성》(공저), 《판도라 사진프로젝트》(공저), 《상징에서 동원으로》(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이주 여성들, 정치를 관통하다〉, 〈생활세계로서의 용산〉, 〈아날로그의 반란과 분단의 번역자들〉 등이 있다.
펼치기
류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여성’과 ‘공간’ 문제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지하철 공간의 여성 경험, 근대화에 던지는 하나의 의심>(공저), <‘장치’로서 지하철 공간, 젠더 차별적 주체의 생산>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43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