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352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목차
Part 1 서 론
Chapter 01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교육내용의 체계… 오원환
Part 2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이념과 사상
Chapter 02 갈등과 위기에 맞선 ‘해결지향 평화저널리즘’과 ‘시민성’의 역할… 정의철
Chapter 03 통일담론의 변화와 통일비용, 분단비용… 김해영
Chapter 04 북한의 언론 사상… 윤성수
Chapter 05 남북 미디어 교류협력의 미래… 김선호
Chapter 06 북한 인권의 현실과 우리의 과제… 임종석
Part 3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제도와 기획
Chapter 07 통일언론정책과 대북보도, 통일언론 리터러시… 임종석
Chapter 08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 협력 정책 방향… 홍문기
Chapter 09 한국언론의 북한과 통일에 관한 보도 방식ㆍ내용ㆍ태도… 김찬중
Chapter 10 통일ㆍ북한 관련 프로그램 기획과 현황… 윤복실
Chapter 11 전략적 통일 커뮤니케이션… 홍문기
Part 4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와 실천
Chapter 12 북한의 미디어… 김선호
Chapter 13 북한의 모바일 콘텐츠와 사회문화 변화… 하승희
Chapter 14 국내외 대북방송… 조수진
Chapter 15 국제정세와 남북관계 외신보도… 최종환
Chapter 16 북한방송 말하기의 이해… 조수진
Part 5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수용과 이해
Chapter 17 종편의 탈북민 프로그램이 그리는 ‘북한’… 방희경
Chapter 18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영향… 최종환
Chapter 19 북한 정보의 한계와 제한적 보도에 따른 비판적 읽기… 김활빈
Chapter 20 남북한 수용자의 언론관과 미디어 리터러시… 김해영
Chapter 21 독일 통일 과정에서의 서독 TV방송의 역할과 시사점… 이종희
Part 6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공유와 문화
Chapter 22 평화ㆍ통일감수성, 다름과 공존의 이해와 적용… 박상영
Chapter 23 성숙한 시민의식과 민주시민교육 … 이종희
Chapter 24 평화ㆍ공존ㆍ공영의 의미… 곽선혜
Chapter 25 민족공동체의식의 회복과 성찰적 민족주의… 오원환
저자소개
책속에서
통일 이후의 남북한 사회와 남북한 주민의 마음 통합을 위한 준비도 필요하겠지만, 먼저 온 미래라고 불리는 현재 우리 사회의 북한이주민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는다. 한국을 떠난 탈남탈북민을 통해서 우리는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통합의 걸림돌이 무엇인지 찾고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 Chapter 01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교육내용의 체계
‘평화저널리즘’의 정착을 위해서는 언론현장을 넘어 전 시민사회 차원에서 공존과 연대, 공감을 중시하는 ‘시민성’ 교육이 필요하며, 그 근간에는 동등한 관계를 전제로 대화와 교류를 강조하는 ‘상호문화주의’가 작동해야 한다.
- Chapter 02 갈등과 위기에 맞선 ‘해결지향 평화저널리즘’과 ‘시민성’의 역할
최근 들어 ‘평화통일’은 물론 ‘통일’의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 통일은 민족과 국가체제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남북한 평화 공존과 교류 활성화, 정서적 공감대 형성 등을 통일의 핵심 개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Chapter 03 통일담론의 변화와 통일비용, 분단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