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일 커뮤니케이션

통일 커뮤니케이션

오원환, 정의철, 김해영, 윤성수, 김선호, 임종석, 홍문기, 김찬중, 윤복실, 하승희, 조수진, 최종환, 방희경, 김활빈, 이종희, 박상영, 곽선혜 (지은이)
지금(도서출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70원
26,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일 커뮤니케이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일 커뮤니케이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3528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방송문화진흥총서 226권. 이념 및 세대 간 간극을 줄이고, 다양한 통일 담론과 연구 지형을 탐색하는 책이다. '한반도 통일’이라는 대주제하에서 평화, 통일, 한반도 문제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성찰적으로 탐색한다.

목차

Part 1 서 론
Chapter 01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교육내용의 체계… 오원환

Part 2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이념과 사상

Chapter 02 갈등과 위기에 맞선 ‘해결지향 평화저널리즘’과 ‘시민성’의 역할… 정의철
Chapter 03 통일담론의 변화와 통일비용, 분단비용… 김해영
Chapter 04 북한의 언론 사상… 윤성수
Chapter 05 남북 미디어 교류협력의 미래… 김선호
Chapter 06 북한 인권의 현실과 우리의 과제… 임종석

Part 3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제도와 기획

Chapter 07 통일언론정책과 대북보도, 통일언론 리터러시… 임종석
Chapter 08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 협력 정책 방향… 홍문기
Chapter 09 한국언론의 북한과 통일에 관한 보도 방식ㆍ내용ㆍ태도… 김찬중
Chapter 10 통일ㆍ북한 관련 프로그램 기획과 현황… 윤복실
Chapter 11 전략적 통일 커뮤니케이션… 홍문기

Part 4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와 실천

Chapter 12 북한의 미디어… 김선호
Chapter 13 북한의 모바일 콘텐츠와 사회문화 변화… 하승희
Chapter 14 국내외 대북방송… 조수진
Chapter 15 국제정세와 남북관계 외신보도… 최종환
Chapter 16 북한방송 말하기의 이해… 조수진

Part 5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수용과 이해

Chapter 17 종편의 탈북민 프로그램이 그리는 ‘북한’… 방희경
Chapter 18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영향… 최종환
Chapter 19 북한 정보의 한계와 제한적 보도에 따른 비판적 읽기… 김활빈
Chapter 20 남북한 수용자의 언론관과 미디어 리터러시… 김해영
Chapter 21 독일 통일 과정에서의 서독 TV방송의 역할과 시사점… 이종희

Part 6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공유와 문화

Chapter 22 평화ㆍ통일감수성, 다름과 공존의 이해와 적용… 박상영
Chapter 23 성숙한 시민의식과 민주시민교육 … 이종희
Chapter 24 평화ㆍ공존ㆍ공영의 의미… 곽선혜
Chapter 25 민족공동체의식의 회복과 성찰적 민족주의… 오원환

저자소개

정의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다. 미국 럿거스대학에서 소통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정치팟캐스트와 정치유튜브>(2022, 공저),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2021, 공저), <유튜브의 이해>(2021, 공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 건강: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분석과 대안 모색>(2020, 교육부·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논문으로 <지역방송 저널리즘 강화와 해결지향 저널리즘의 역할>(2022), <자기민속지학을 통한 자가격리 이야기 방역소통 성찰과 대안 탐색>(2022), <감염병 위기 속 ‘시민됨’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성찰>(2021),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정의철의 다른 책 >
방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대우교수다. 동국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쳤고, 서강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문화 연구와 담론 연구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2021, 공저),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2019, 공저), <김성환>(2018), <PD 저널리즘: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일탈>(200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조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양학(미디어트랙) 교수다. 1994년 극동방송 보도부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 1999년부터 2011년까지 극동방송 PD와 아나운서로 활동했다.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방송영상학 석사, 국민대학교에서 <민간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방송의 변화>로 언론정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관련 분야 연구로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2021), <민간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2020, 공저), <민간대북방송의 현황과 제작진의 인식연구>(202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방송학 석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아넨버그스쿨 졸업(언론학 박사) 현재: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 저서: 『미디어바우처를 통한 언론후원제도』(공저), 『뉴스룸 다양성』,『통일 커뮤니케이션』(공저), 『VR 저널리즘 연구』(공저), 『모바일 뉴스 포맷과 디자인』(공저) 등
펼치기
윤복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KBS 라디오에서 리포터로 방송생활을 시작해 KBS, iTV, KTV 등에서 시사·교양·다큐멘터리 장르의 구성작가로 활동했다. 방송매체에 담긴 동양철학에 관심을 두고,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나타난 가족이데올로기 체계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논문으로 <K 드라마 영웅서사에 내재한 충서(忠恕)사상-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를 중심으로>(2022), <플랫폼 전쟁, OTT 스토리텔링 생존공식>(2022,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탈북청소년 교육공동체 셋넷학교의 교장이다. 편견으로 갈라진 세상에서 학교 밖 한반도 청소년들과 공감 감수성을 훈련하고 평화 감수성을 연습해 왔다. 따또학교(따로 또 같이 만드는 학교, 1995), 난나학교(난나공연예술아카데미, 2001), 똘배학교(2003)를 거쳐 셋넷학교 길잡이 교사로 살고 있다. 최근 저서로 <통일 커뮤니케이션>(2022, 공저), <왜그래,가 아니라 괜찮아: 다름과 차이를 이어주는 공감의 다리 놓기>(2022), <윗마을 학생과 아랫동네 선생>(2020) 등이 있으며, 2019년부터 브런치에 글을 연재하고 있다.
펼치기
오원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군산대학교 미디어문화학과 교수다. 군산대 인문도시센터장, 한국언론학회 통일과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연구회장, 주관성연구 편집이사로 활동 중이다. 고려대와 플로리다대에서 수학했고,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2011)로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탈북민에 관한 문화연구를 수행해왔고, 최근 관련 논문으로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2022), <탈북민 정착과 사회적 통합을 위한 정과 친절, 환대(우대)의 정치학>(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공익성과 미디어 사업자 간 이해관계에 관심을 가져 <TV홈쇼핑 송출수수료 거래연구>(2021), <OTT플랫폼 시대 케이블SO의 차별화 전략 연구>(2021) 등을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정책 캠페인 설계자의 시각에서 남북한의 통일문제와 관련된 사회적 갈등 이슈에 관심을 가지며, 통일비용과 국민 통합을 위한 북한 관련 캠페인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윤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겸임교수, YTN 기자(부장)로 재직 중이며, 텍사스주립대(오스틴)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2020년에 <주민 갑질에 경비원 극단적 선택>으로 올해의 방송기자대상, 휴머니즘상(한국방송기자클럽), 이달의 기자상(한국기자협회), 대상(한국방송기자협회) 등 9개 부문 단독보도 특종상을 수상했으며, <대통령선거 텔레비전뉴스에 나타난 언어와 영상프레임분석>(2020)으로 경희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기타 연구로 <텔레비전 정치광고영상의 의미작용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16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2005)가 있다.
펼치기
임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외래교수이다.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을 졸업하고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미세먼지 예방행동 연구>(2019)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주투데이신문과 TBN강원교통방송에서 기자와 PD로 재직했다. 한국소통학회 기획이사·연구이사,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한국언론학회 통일과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연구회 총무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김찬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정치·언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iTV 경인방송에서 사회부 기자로 활동했으며, TNS Korea에서 정치사회 분야 여론조사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국내외 학술지에 다양한 집단 간 갈등(외국인 이주민 갈등, 성별 갈등, 영호남 갈등 등)을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메타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학(사회문화언론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과 대구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재직 시절에는 한 달가량 남북 접경 지역을 돌아다니며 한반도의 변화상에 관한 기획 기사를 썼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한 미디어 콘텐츠와 미디어 외교 등이며, 관련 분야의 연구 논문으로 <메타버스의 지각된 특성이 남북교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주저, 2022), <탈북민 유튜버가 재현하는 정체성의 사회학>(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교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독사회과학회 회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부회장,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토론팀장,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강사, 한국소통학회 부회장, 한국사회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최근 연구로 <사회학 이론: 시대와 관점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공역), <유권자와 정당의 연결 플랫폼: 독일 발-오-맡(Wahl-O-Mat)과 민주시민교육>(2022), <청년 정치대표성의 현황과 개선과제>(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곽선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라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경희대학교에서 언론학으로 학·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업에서는 한국방송협회 대외정책협력 전문위원, 한국BI기술사업화협회 신사업성장동력사업 사무국장, 한국언론학회/한국방송학회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학회 및 지역발전을 위해 한국광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 등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원주시 인사위원회 위원, 원주시 옥외광고발전기금 운용심의원회 위원, 한국메세나협회 평가위원, 문화재청 전통산사문화재 활용사업 평가위원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통일 이후의 남북한 사회와 남북한 주민의 마음 통합을 위한 준비도 필요하겠지만, 먼저 온 미래라고 불리는 현재 우리 사회의 북한이주민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는다. 한국을 떠난 탈남탈북민을 통해서 우리는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통합의 걸림돌이 무엇인지 찾고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 Chapter 01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교육내용의 체계


‘평화저널리즘’의 정착을 위해서는 언론현장을 넘어 전 시민사회 차원에서 공존과 연대, 공감을 중시하는 ‘시민성’ 교육이 필요하며, 그 근간에는 동등한 관계를 전제로 대화와 교류를 강조하는 ‘상호문화주의’가 작동해야 한다.
- Chapter 02 갈등과 위기에 맞선 ‘해결지향 평화저널리즘’과 ‘시민성’의 역할


최근 들어 ‘평화통일’은 물론 ‘통일’의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 통일은 민족과 국가체제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남북한 평화 공존과 교류 활성화, 정서적 공감대 형성 등을 통일의 핵심 개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Chapter 03 통일담론의 변화와 통일비용, 분단비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