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이은혜](/img_thumb2/979112881463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14631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01 1990년대의 공통 감각, 순정만화
02 정통파 순정 <댄싱 러버>
03 해피엔딩 시대의 연애 모험 <점프트리 A+>
04 ‘이은혜 월드’의 완성 <BLUE>
05 감성적 자아 기획으로서의 <BLUE>
06 이은혜 유일의 가족극 <금니는 싫어요>
07 미완의 1990년대 <파인 키스>
08 여자 친구 되기
09 미학적 이미지의 승리
10 순정의 종말과 ‘이은혜 월드’의 끝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은혜의 이런 인기는 어디서 왔을까? 이은혜는 이미지와 문화적 취향이 고급화되었던 1990년대 감수성을 가장 잘 활용한 작가였다. 그는 패션모델, 댄스 가수, 댄서 등 1990년대 대중문화 산업을 만화의 배경으로 삼고, 이를 적극적으로 참조한다. 게다가 서태지와 아이들에서부터 이승환, 푸른하늘 등이 부른 당시 유행하던 노래의 제목이나 가사를 만화에 직접 삽입하여 숨은그림찾기식의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이후 이은혜가 직접 노래 가사를 쓰고 CD를 제작하는 등의 활동으로 이어진다. 이은혜는 <BLUE>의 OST를 직접 가수를 섭외하고 만화 속 내레이션을 가사로 바꾸는 방식으로 제작했다. 영화나 드라마가 아닌 출판만화의 OST는 처음 있는 일이었지만, CD는 발매되자 두 달 만에 10만 장 정도가 판매되었다.
-‘1990년대의 공통 감각, 순정만화’ 중에서
<댄싱 러버>는 화려한 댄스 가수와 그녀의 조력자를 중심으로 한 삼각관계라는 트렌디한 요소를 만화로 표현함으로써 대중문화 시장이 팽창하던 1990년대 한국 사회에서 눈길을 끌었다. 1986년 김완선이 데뷔하면서 한국 사회는 여성 솔로 댄스 가수를 목도하게 되었다. 댄서들을 데리고 춤을 추는 여성 솔로 가수가 세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대형 스타가 되는 것이다. 유채린의 데뷔 과정을 보면 라디오방송국과 음반제작회사, 가수 제작 시스템이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지고, 노래는 보는 것만이 아니라 듣는 것이기도 하다는 감각이 생겨나는 시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런 대중문화의 변화는 이은혜의 작품 속에 긴밀하게 반영되었다.
-‘정통파 순정 <댄싱 러버>’ 중에서
이은혜의 순정만화는 이 유미주의적 쾌락에 리얼리티를 더한다. 이은혜가 그리는 캐릭터는 때로는 코믹하게, 때로는 아름답게 등장하여 독자가 독서 이후에 그 일러스트를 향유할 수 있도록 만든다. 순정만화의 내레이션과 클로즈업은 독자와 가까운 거리를 형성하며 공감하고 감정이입하기 쉽게 한다. 이은혜식 순정만화가 강렬한 이미지로 남는 것은 클로즈업을 중심으로 내레이션을 배치함으로써 캐릭터의 얼굴을 전면에 내세우기 때문이다. 이은혜에게 등장인물의 내면은 대사나 행동이 아니라 이미지로 완성된다.
-‘미학적 이미지의 승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