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70872290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4-08-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서문 | 전시 성폭력을 다시 질문하다_김은실
1부.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대한 성찰
1. 야마시타와 영애 사이에서: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 ‘위안부’ 운동_야마시타 영애
2.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한다는 것의 의미: 영화 〈귀향〉의 성/폭력 재현을 중심으로_권은선
3. ‘우리 할머니들’의 이야기는 어떻게 물화되는가: 일본군 ‘위안부’ 표상과 시민다움의 정치학_허윤
4. 어째서 공창과 ‘위안부’를 비교하는가: 정쟁이 된 역사, 지속되는 폭력_박정애
5. 배봉기의 잊힌 삶 그리고 주검을 둘러싼 경합: 포스트식민 냉전 체제 속의 ‘위안부’ 문제_김신현경
2부. 일본군 ‘위안부’ 연구를 역사화하기
6. ‘위안부’ 망언은 어떻게 갱신되는가: 신자유주의 역사 해석으로 결속하는 수정주의 네트워크_김주희
7. ‘인정’ 이후 글로벌 지식장: 영어권의 일본군 ‘위안부’ 연구의 동향과 과제_김은경
8. 유동하는 ‘위안부’ 표상과 번역된 민족주의: 1991년 이전 김일면, 임종국의 ‘위안부’ 텍스트를 중심으로_이지은
9. 일본군 ‘위안부’는 셀 수 있는가: ‘숫자의 정치학’에서 벗어나 ‘바다의 기억’으로 나아가기_이혜령
10. 군 위안부 논의에서의 강제성 쟁점: 여성주의와 민족주의는 대립하지 않았다_정희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동안 한국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전장에 필요한 물자로서의 여성 동원이라는 차원보다 제국에 의한 식민지 여성의 강제 동원이라는 측면이 더 크게 다뤄져왔다. 비록 한국에서의 ‘위안부’ 논의가 두 측면을 어느 정도 포괄하고 있기는 하지만, 식민주의 청산이라는 인식 틀이 더 강하게 운동을 추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오랫동안 일본 정부와 싸워왔던 ‘위안부’ 운동이 일본 정부만이 아니라 ‘위안부’ 문제를 일본군의 전쟁범죄에서 제외시킨 연합군의 잘못 또한 피해자들의 회복을 위한 싸움의 의제로 제기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 <서문_전시 성폭력을 다시 질문하다>
‘위안부’ 생존자들뿐만 아니라 활동가들도 식민 지배로 인해 민족적 피해를 겪었던 트라우마를 안고 있기 때문에, 짐작건대 국민기금과의 투쟁은 민족적 피해에 대한 분노로 표출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일본 정부에 이 모든 책임을 지라고 요구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나, 일본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든 하지 않든(고노 담화에서 한 번 인정했다) 피해자로서 받은 고통을 스스로 완화시켜가는 노력이 향후 전개될 운동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렇다면 생존자와 활동가 들 간에 한층 돈독한 관계를 구축하고 서로 또 다른 상처를 내는 일 없이 문제 해결과 피해 치유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운동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이상이 내가 생각한 바였다.
- <1. 야마시타와 영애 사이에서: 틈새의 시점에서 본 일본군 ‘위안부’ 운동>
중요한 것은 필름에 담는 세계, 그리고 대상과의 관계에서 취하는 태도일 것이다. <귀향>은 일종의 국민 이벤트로서 일본군 ‘위안부’의 재현에 대한 시민들의 욕망이 응집된 영화다. 일본군 ‘위안부’를 잊지 말고 기억하자는 7만 5,000여 명의 소망이 투사된 영화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귀향>은 무엇보다 국내 관객에게 보이기 위해 제작된 영화다. 그렇다면 이 지점에서 일련의 질문이 발생한다. 도대체 이러한 의미를 가진 영화에서, 가해자의 시선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성/폭력을 재현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관객에게 가해자의 시점으로, 가해자의 입장에서 영화적 디제시스에 참여하도록 추동한다는 것은 어떤 함의를 갖고 있는가. ‘위안부’ 할머니의 증언을 토대로 한 이야기에서 왜 남성 가해자의 시선을 경유해야 하는가. 강간 피해 경험에 대한 증언은 왜 가해자의 시선으로 전도되었을까.
- <2.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한다는 것의 의미: 영화 <귀향>의 성/폭력 재현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