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72131531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4-11-14
책 소개
목차
서문: 페미니스트답게 질문하기 (허윤)
1부. 온라인 여성혐오, 기술과 함께 진화하다
1장 디지털 시대, 고어 남성성의 등장 (손희정)
2장 메갈 밥줄 끊기의 역사 (이민주)
3장 딥페이크 이미지는 어떻게 실제와 연결되는가 (김애라)
4장 온라인 공간을 횡단하는 여성들 (김수아)
2부. 디지털 사회 속 여성주의 지식을 생산하다
1장 ‘위치지어진’ 개발자들과 페미니스트 인공지능 (이지은·임소연)
2장 성차별, 있는데 없습니다 (권현지·황세원·노가빈·고민지·장인하)
3장 디지털 시대의 페미니스트-연구자 되기 (김미현)
4장 지역 여성주의 네트워킹을 되짚다 (김혜경)
3부. 차별과 맞물리는 신자유주의적 현실을 보다
1장 능력주의는 어떻게 구조적 성차별과 공모하는가 (엄혜진)
2장 젠더 이후의 젠더 정치학 (김보명)
3장 돈 되지 않는 몸을 가진 남성-피해자들 (김주희)
4장 성평등한 일-돌봄 사회로 (신경아)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어가 상품이 되는 시장은 점점 확장되고 있다. 사야크 발렌시아의 섬뜩한 통찰은 지금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어떻게 담론화하고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영감을 준다. 멕시코와 대한민국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지만, 두 국가 모두 정경유착을 바탕으로 약자에 대한 착취·폭력뿐만 아니라 위험을 자본 축적의 수단으로 삼는다는 점에서만큼은 서로 비견될 만하며, (…) 모든 것이 이미지가 된 것처럼 상상되는 시대에도 폭력은 정확하게 신체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나는 폭력은 ‘온라인 유희’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신체 훼손과 인간 존엄의 훼손을 상품으로 하는 ‘폭력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_손희정, 〈디지털 시대, 고어 남성성의 등장〉중에서
메갈 색출은 ‘남성혐오’ 반대라는 표면적 이유와 불매라는 형식적 유사성 탓에, 정치적 소비자 운동의 일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메갈 색출은 소비자가 기업에 대항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정치적 소비자 운동과 차별화된다. 이는 최초 사례인 넥슨 성우 교체 사건에서 소비자 행동이 조직된 맥락을 살펴보면 더 명확해진다. (…) 넥슨 성우 교체 사건에서의 소비자 행동은 소비자 대 기업이 아닌 남성 소비자가 상정하는 ‘남성 게임계’ 대 ‘메갈 여성 노동자’의 대립구도 위에서 조직된 행동이었다. 소비자들은 메갈 논란을 반사회적 여성 개인의 문제로 의미화했고, 그러면서 메갈 노동자가 끼친 경제적 피해에 합리적인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맞서는 그림을 만들고자 했다. _이민주, 〈메갈 밥줄 끊기의 역사〉 중에서
기술매개 성폭력은 사이버나 온라인 등 오프라인과는 구분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온 경향이 커서, 때로 비물질적 피해로 여겨지고 이에 따라 전통적 성폭력 개념에 의거해 더 ‘가벼운’ 피해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사회학자 니컬라 헨리와 범죄학자 아나스타샤 포웰은 정신-몸, 온라인-오프라인이라는 이원론적인 분리는 기술매개 성폭력의 실체화된 피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현실과 가상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 기술매개 성폭력은 사회 관계와 일상을 파괴하고 피해자가 사회적·일상적으로 고립되기를 초래하고 강제한다. 개인에게 일종의 ‘추방’인 셈이다. _김애라, 〈딥페이크 이미지는 어떻게 실제와 연결되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