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876975
· 쪽수 : 469쪽
· 출판일 : 2024-06-17
책 소개
목차
호모 아토포스 라이브러리 발간사
책머리에
제1부
유이민, 디아스포라, 서발턴
조선시대 시가의 유민 형상과 호모 아토포스적 면모 | 이형대
1. 문제의 소재
2. 유민의 길과 장소상실 또는 비장소
3. 유민의 비정체성, 다중정체성
4. 결론을 대신하여: 공감과 저항의 비정형적 네트워크
구술 서사와 소수자의 정의 | 조현설
1. 구술 서사와 정의의 접점
2. 신화적 서사는 정의에 대해 말하는가?
3. 비신화적 서사는 정의를 어떻게 소환하는가?
4. 환영, 소수자의 정의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 | 고지혜
1. 탈경계의 시대와 디아스포라 담론의 대두
2. 한국문학의 탈영토화와 한민족문학사의 (불) 가능성
3. 타자들의 발견과 한국문학의 성찰적 재구성
4. 결론을 대신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 | 유승환
1. 들어가며
2. 한국현대문학의 하위주체들
3. 하위주체성과 재현의 문제
4. 하위주체론과 한국근현대문학(사)의 탈구축
5. 한국현대문학연구의 하위주체론을 위한 몇 가지 제안
제2부
국경, 네이션, 위치성
비장소의 쓰기-기록 | 소영현
1. 일인칭 쓰기-기록, 에세이와 문화기술지 사이
2. 입양 서사: 거짓의 축조물, 접힌 굴절면
3. 굴절면, 경계, 비장소에 대한 사유
4. 옆에서 듣고 읽는다는 것
5. 대표성에서 관계성으로
양모와 생모 | 장영은
1. 어머니 찾기와 여성되기의 글쓰기
2. 양부모보다 고귀한 한국 어머니
3. 엄마의 몸이 내 몸으로 변해가는 시간
4. 피의 언어로 쓴 편지
여신이 된 '환향녀' | 최빛나라
1. 들어가며: 숭배와 혐오
2. 통곡의 화번공주
3. 교차하는 환향여신
4. 나가며: '환향여신'의 민중적 가치
제3부
신체, 연결망, 공동체성
『쇄미록』을 통해 본 조선시대 노-주의 연결망과 공동체성, '아카이브 신체' | 최기숙
1. 노-주 연결성의 복합성과 확장성
2. 노비의 사회적 관계망과 노-주의 연결성·상호성
3. 물리적 환경의 공유와 생명적 노-주 공동체
4. 정서적 환경과 감성의 노-주 공동체
5. '아카이브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조립식 신체'의 노-주 연결성
'가족- 조상'으로의 소통과 연결 | 이은우
1. 서론
2. 서울굿 말명 신격의 연행 양상: 진적굿, 새남굿, 진진오기굿을 중심으로
3. 가족'과 '소통'으로 대표되는 말명 신격의 의미 확장
4. 결론
실학자의 장애의식 | 정창권
1. 조선은 장애/비장애의 통합사회였다
2. 실학자의 선진적인 장애의식
3. 실학, 장애를 뛰어넘다
아픈 몸'과 계급 | 최은혜
1. 질병·장애에 대한 은유적 사유를 넘어
2. 억압과 착취가 새겨진 몸의 현전
3. 산재, 존재와 연대의 가능성
4. 결론
거부와 기피 사이, 비군인의 장소 | 허윤
1. 들어가며
2. 병역기피의 일상화와 군인 되(지 않)기
3. 나쁜 군인들과 '말하지 않음'의 사이공간
4. 거세된 탈영병과 군인되기의 미수행
5.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수록 논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