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28817793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2-03-10
책 소개
목차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적 쇠퇴
01 스마트 디클라인, 축소 도시
02 스마트 쇠퇴
03 지방소멸
04 인구 감소
05 러스트 벨트와 도시 쇠퇴
06 브라운필드와 도시 문화 콘텐츠
07 스마트 쇠퇴와 리질리언스 도시계획
08 스마트 축소 맞춤형 국토 및 도시계획
09 축소 도시와 부동산 자산 젠트리피케이션
10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과 4차 산업혁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창조적인 것과 쇠퇴는 상반된 개념이다. 죽어 간다는 의미의 소멸이나 쇠퇴가 창조적일 수 없으며, 창조적인 것이 죽어 간다는 의미인 소멸이나 쇠퇴일 수 없기 때문이다. 축소 도시라는 표현이 오랫동안 거부되거나 금기시되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축소라는 단어 자체가 부정적인데 거기에 도시를 붙인 축소 도시가 긍정의 의미라거나 긍정의 개념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성장하는 도시가 있으면 축소되는 도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이 동시적으로 동시대의 도시에서 진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소 도시에 대한 이해가 바뀌었다.
“01 스마트 디클라인, 축소 도시” 중에서
일본 자치단체 등 특정 지역에서의 인구 감소가 ‘자연적 감소’보다는 자발적 이동 등의 ‘사회적 감소’에 기인하는 측면이 큰 것도 한정된 지역에 사람들이 밀집하는 극점사회로의 변화를 가속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극점사회로 언급되는 대도시인 도쿄도 23구 지역은 인구의 ‘사회적 증감’ 비율이 약 30%, 오사카시와 나고야시는 약 10%, 후쿠오카시는 약 20%의 ‘사회적 증가’를 보였지만 그 밖의 지역인 지방 시·정·촌에서는 최대 80% 이상의 ‘사회적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03 지방소멸” 중에서
도시 차원에서 리질리언스가 주목 받고 있는 것은 현재 도시 또는 지역이 처한 다양한 문제 해결에 리질리언스로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도시 리질리언스다. 자연재해로는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9월 12일 발생했던 역대 최대 5.8 규모의 경주 지진이 대표적인 사례다. 도시 및 지역 차원에서 회복력으로서의 리질리언스가 요구되는 상황들로는 지진, 홍수 등 도시 재난 및 도시 안전, 글로벌 경제위기나 질병 확산, 기후변화 등 도시 체계의 복잡성에 기인하며 그 문제들 또한 국가와 도시에 따라 다양하다.
“07 스마트 쇠퇴와 리질리언스 도시계획”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