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28840418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7-08-14
책 소개
목차
서문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선언
1부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입문
1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의미 탐색
2장 주류의 인적자원개발 개념과 거리 두기
3장 주류의 인적자원개발 이론적 토대와 거리 두기
2부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전통
4장 미국 대 영국, 교육학 대 경영학의 체스판
5장 비판 이론과 비판적 접근
6장 비판적 경영 연구
7장 비판적 페다고지
3부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현재
8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교육
9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연구 동향
10장 사회적으로 의식화된 인적자원개발
4부 인적자원개발의 인식론- 이론적 관점- 방법론
11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과 인식론에서 방법론으로의 흐름
12장 인적자원개발 연구 생태계에서 종(種)의 다양성
13장 인적자원개발 연구 방법론에 대한 문제 제기
5부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미래
14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이론적) 비판
15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실천에 대한 접근
16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실행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고민의 목적은 조직과 인적자원개발 실천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나 실천의 새로운 지침을 제공하기 위함이 아니다. 성찰과 반성,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의 다음 세대를 위한 진지한 고민을 요구하는 것이다. 문제 해결 이상으로 문제 제기를 중시하는 것이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서문: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선언」중에서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은 주류의 성과지향의 인적자원개발 실천에 대한 도전, 실증주의에 편향된 인적자원개발 연구 경향에 대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인적자원개발의 실천과 연구를 연결하는 이론적 가교다. 이것이 저자가 생각하는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이론적) 위상이다. 그리고 비판적 페다고지와 비판적 경영 연구가 이러한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1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의 의미 탐색」중에서
우리가 무비판적으로 담담하게 수용하는 조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전환하는 것에서부터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은 새로운 시작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으로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이 조직에 대한 입장에서 일종의 진영 논리에 갇혀 있다는 지적도 가능하다. 그러나 진정한 문제는 프레임에 갇히는 것 이상으로 프레임이 없거나 혹은 하나의 프레임에만 안주하는 것이다.
---「‘14장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이론적) 비판」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