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5199487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4-07-31
책 소개
목차
PART
01 과학적 연구
① 과학적 HRD 연구(김태성) 3
▸들어가며 3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6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7
▸어떻게 연구를 정당화할 것인가? 13
▸나가며 15
PART
02 명제에 대한 실증
② 측정도구 개발(이재은) 21
▸들어가며 21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위한 필독서들 23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위한 기본개념들 27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절차 34
▸HRD 분야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동향 37
▸HRD 분야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제언 49
③ 구조방정식모델 연구(박지원) 57
▸구조방정식모델이란 57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59
▸구조방정식모델 연구절차 60
▸맺음말 77
④ 다층모형 연구(유상옥) 81
▸들어가며 81
▸다층모형의 필요성: 다층화 된 구조로 세상을 바라보기 83
▸다층이란? 다층화 된 데이터에 대한 이해 85
▸다층모형의 단계 88
▸다층모형에서의 고려사항 96
▸맺음말 100
PART
03 현상의 의미 탐구
⑤ 질적연구 설계(강현주) 107
▸들어가며: HRD 영역에서 질적 연구의 위치와 확대 107
▸연구 패러다임과 연구방법론 109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111
▸질적 연구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113
▸질적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이슈 124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127
▸나가며 130
⑥ 근거이론 연구(유기웅) 135
▸근거이론 방법과 생성되는 이론 135
▸근거이론 방법에 적합한 연구주제 선정을 위한 전제 138
▸적합한 연구주제 140
▸연구 설계 144
▸연구 참여자 선정 원리 146
▸자료 분석 방법 147
▸연구의 윤리성, 타당성, 신뢰성 163
PART
04 지식의 통합과 확장
⑦ 문헌연구(이재영) 173
▸들어가며 173
▸문헌고찰의 중요성 174
▸문헌고찰 유형 175
▸문헌고찰 연구 가이드 184
▸결론 187
⑧ 메타분석(이윤수) 193
▸메타분석의 정의 193
▸메타분석의 필요성 194
▸메타분석의 절차 194
▸분석 모형 200
▸출판 편향 201
▸메타 회귀분석 202
▸메타 SEM 203
▸맺음말 206
PART
05 실행 및 응용 연구
⑨ 역량모델링 연구(박용호) 211
▸역량, 역량모델, 역량모델링 212
▸역량모델링 연구 특징 214
▸역량모델링 절차 216
▸연구문제 설정 및 선행연구 분석 219
▸연구방법 222
▸연구결과 및 결론 225
▸역량모델링 연구 수행 시 유의점 227
⑩ 사회연결망 분석(현영섭) 233
▸사회연결망의 개념과 분석의 시작 233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 절차 236
▸사회연결망의 수치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 분석 244
▸의미망 분석 253
▸사회연결망 분석의 발전 방향 258
⑪ Q방법론(백평구) 265
▸Q방법인가 Q방법론인가 265
▸Q방법론의 위치 268
▸Q연구의 절차 269
▸Q연구에 의한 HRD 논문 작성 276
▸결어 279
⑫ 피플 애널리틱스(정보영) 285
▸들어가며 285
▸머신러닝과 같은 인공지능을 사회과학 도구로 쓰는 것은 타당한가? 287
▸연구방법론이 되고 싶은 피플 애널리틱스 293
▸나가며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