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29013910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19-09-24
책 소개
목차
I. 닭의 개량
1. 닭에서 품종과 계통이란?
2. 닭의 계통조성(종자개발) 방법은?
3. 닭의 계통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몇 세대가 지나야 하는가?
4. 닭의 계통 유지보존을 위해서는 어떤 교배 방법이 좋은지?
5. 닭의 능력개량을 위하여 선발 및 도태는 언제 어떻게 하는지?
6. 닭의 순계 1계통 유지보존을 위한 검정수수는?
7. 닭의 개체식별을 위한 익대(Wing band)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8. 순계, 종계, 실용계는 어떤 의미인가?
9. 신품종(실용계)은 어떤 방법으로 생산되는지?
10. 녹색(청색)계란을 낳는 닭?
II. 토종닭 종자보존과 개발
1. 토종닭 유래는?
2. 토종닭 재래종과 토착종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3. 토종닭 재래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4. 토종닭 토착종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5. 토종닭 특수계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6. 우리맛닭 실용계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7. 우리맛닭 실용계의 사육관리 및 출하는?
III. 닭의 핵심 번식기술
1. 종계 암수 합사 시 정상 수정률을 얻을 수 있는 기간은?
2. 종계 합사 시 암수의 적정비율은?
3. 군사 케이지에서 암수 합사 시 적정 사육밀도는?
4. 토종닭 평사 사육 시 적정 사육밀도 및 암수 비율은?
5. 종계 관리 시 산란율 저하 시 점검 포인트는?
6. 닭의 인공수정 방법은?
7. 가금 인공수정용 희석액 제조방법은?
8. 가금 인공수정용 희석정액의 보관기간별 수정률은?
9. 닭 인공수정 시 1회 주입되는 정자 수는 얼마인가?
10. 닭의 정액주입 적기와 인공수정 후 종란의 수집 시기는?
11. 닭에서 수정 종료 후 수정란을 생산할 수 적정 기간은?
12. 무정란과 수정란의 판별 방법은?
13. 모계부화 할 때 적정 포란 수는?
14. 모계부화 시 어미 닭 관리는?
15. 가금류의 부화일수 및 부화기의 최적 온습도는?
16. 부화기 관리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17. 종계의 평사사육에서 방란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18. 종란이 오염되면 어떠한 일이 발생되는지?
19. 종란수집은 산란 후 몇 시간 내에 하는 것이 좋은지?
20. 종란 세척은 부화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21. 닭의 종란소독제는 일반적으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22. 종란, 부화실 및 축사의 훈증소독 방법은?
23. 종란 세척 소독 방법?
24.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종란이나 식란을 세척할 수 있는지?
25. 좋은 종란 선택 기준은?
26. 종란의 취급 및 보관 요령은?
27. 훈증 소독된 닭 종란의 보관기간에 따른 부화율은?
28. 세척 소독된 종란의 보관기간별 부화율은?
29. 종란 보관 중 전란이 부화율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30. 종란보관 시 둔예단 위치 형태별로 부화율 차이가 있는지?
31. 종란의 부화율은 난중에 따라 다른가?
32. 종란보관 중 온도 변화가 있을 때 부화율은?
33. 부화기에 따라 부화율의 많은 차이가 있는지?
34. 부화 중 검란 시 수정률이 낮은 원인은?
35. 부화 중 검란 시 중지율이 높은 원인은?
36. 부화 중 검란 시 사롱률이 높은 원인은?
37. 부화발생 시간이 늦는데 그 이유는?
38. 부화발생 시간이 빠르고 늦은데 따라 암수 차이가 있는지?
39. 부화 중 손실되는 수분량은? 병아리는 알 무게의 얼마인가?
40. 인공부화 시 발생 중인 병아리는 언제 꺼내는 것이 좋은가?
41. 닭의 암수 감별법은?
42. 부화발생 시간에 따라 육추초기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지?
43. 병아리 운송·보관 상태에 따른 육추초기 생존율은?
44. 병아리를 잘 기르는 방법은?
45. 부화 일령별 배자발육 단계별 상세 설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