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30302058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 고령사회의 노년기 만성질환과 호스피스의 생명정치 [서이종]
1. 돌진적인 고령화 속도와 (초)고령사회로의 진전 1
2. 노년기 건강과 질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생명정치 5
3. 생명윤리정치와 노년의 생명거버넌스 8
1) 생명윤리의 정치학/9
2) 생명윤리정치와 생명거버넌스/10
4. 노년의 생명정치적 연구 12
1) 노화의 생명윤리와 생명정치/12
2) 퇴행성 질환의 생명윤리와 생명정치/14
3) 죽음의 생명윤리와 생명정치/16
제1부 고령사회의 만성질환과 돌봄체계
제2장 노인 만성질환의 통합적 관리와 예방 [조비룡]
1. 노인에서의 주요 건강문제 22
2.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증진: 성공적 노화 모델 23
1) 고전적인 성공적 노화 개념/24
2) 일반 노인들이 생각하는 성공적 노화의 개념/25
3.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및 조절 27
1) 꾸준한 신체적 활동/28
2) 신선하고 균형 잡힌 식이/29
3) 적절한 수면/30
4) 교 육/30
5) 금 연/31
6)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31
7) 실천 가능한 치료/32
4. 건강검진 32
5. 의학적 방법들; 항노화 36
1) 노화의 측정/36
2) 노화방지 프로그램/36
6. 고령친화 건강증진병원과 임상예방서비스 39
7. 요약 및 결론 39
제3장 노인의 만성질환과 민간보험의 한계와 공적 보험 [김종명]
1. 들어가며 41
2. 급격한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의 현황 42
3. 민간의료보험 지출 현황과 구조적 문제점 46
1) 민간의료보험의 지출 현황/46
2) 사례를 통해 살펴본 민간의료보험의 문제점/48
3) 민간의료보험의 구조적 문제점/54
4. 공적 의료보장제도인 건강보험 강화의 필요성과 방안 59
1) 국민건강보험이 민간의료보험에 대해 갖는 우수성/59
2) 건강보험 재원 확충을 통한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61
3) 건강보험 보장 확대의 목표/63
4) 건강보험 보장 확대를 위한 재원마련 방안-사회연대적 보험료 인상/64
5)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시 기대효과/65
5. 고령화 시대 건강보험이 당면한 과제 68
제2부 고령사회의 임종기와 호스피스
제4장 호스피스의 사회?정치적 문제와 생명윤리적 쟁점 [최경석]
1. 머리말 73
2. 호스피스 운용 현황과 문제점 74
1) 호스피스 또는 완화의료의 정의 관련 문제점/74
2)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불공평성/75
3)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의 부족/76
3. 호스피스 관련 사회?정치적 문제 78
1)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자기결정권의 왜곡 현상/78
2) 돌봄의 사회화와 호스피스에 대한 왜곡된 인식/79
3) 의료 환경의 변화와 정치적 문제/81
4. 호스피스 관련 윤리적?철학적 쟁점들 82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담론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82
2) 삶의 질에 대한 고려 필요성/83
3) 의료 정체성의 문제/85
5. 호스피스 정착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87
1) 수가의 현실화/87
2)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착을 위한 법제 정비/88
6. 맺음말 90
제5장 호스피스의 제도화 무엇이 문제인가 [서이종]
1. 들어가는 말: 생명정치의 시각과 호스피스 91
2. 호스피스와 웰다잉의 현실과 주제화 93
3. 호스피스의 미발전(1): 생명문화의 특성 97
4. 호스피스의 미발전(2): 법적 환경과 의료체계 102
5. 호스피스의 미발전(3): 공공재정의 미비 105
제6장 임종기 노인의 고통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박경숙]
1. 머리말 109
2. 고통의 사회, 심리적 차원 111
3. 몸, 마음, 자아, 세계는 일여 115
4. 고통의 연금술 121
5. 임종을 경험한 사람들과의 만남 125
6. 임종기 노인의 고통과정에 대한 유형화 130
1) 고통의 복합적 양상/131
2) 고통에 대처하는 방식/135
3) 죽음을 맞는 태도/139
7. 맺음말 142
제7장 임종의료결정과정에서의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한수연]
1. 들어가는 말 145
2. 노인환자의 임종의료결정 권리-미국과 유럽의 임종의료결정 관련법을 중심으로 149
3.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153
1) 임종의료결정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업무기준/153
2) 우리나라 의료법/장기요양보험법의 사회복지사 업무 기준 및 역할 규정/157
4. 임종의료결정에서에서 사회복지사의 의료사회서비스 158
5. 맺는 말 161
참고문헌 165
찾아보기 179